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58485580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20-12-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생략 현상의 연구 현황
1.1.1. 중국에서의 연구 현황
1.1.2. 한국에서의 연구 현황
1.2.3. 선행연구의 한계
1.3. 이론적 기초
1.3.1. 화용론에 입각한 언어 사용의 경제성 원리
1.3.2. 텍스트언어학의 ‘결속장치’ 및 ‘응집성’
1.3.3. 인지언어학의 ‘원형이론’과 ‘적합성이론’
1.3.4. 대조언어학의 ‘대조분석’
1.4.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1.4.1. 연구 절차
1.4.2. 연구 방법
2. 문어 텍스트 주어 생략 연구의 전제
2.1. 주어의 성격
2.1.1. 중한 주어의 정의
2.1.2. 주어의 의미적 범주
2.2. 생략의 성격
2.2.1. 생략의 개념
2.2.2. 생략의 조건
2.3. 생략의 유형 및 범주의 설정
2.3.1. 형태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
2.3.2. 의미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
2.3.3. 의미적 연관성에 의한 생략
2.3.4. 인지적 정보의 생략
2.4. 분석 참조항과 주어 생략 현상
2.4.1. 분석 참조항의 설정
2.4.2. 참조항을 적용한 주어 생략의 실제
3. 중한 문어 텍스트 주어 생략 대조
3.1. 중한 원문 텍스트 주어 생략 양상
3.1.1. 텍스트별 주어 생략 빈도
3.1.2. 중한 텍스트 주어 생략 빈도 대조
3.2. 번역 텍스트에서의 대응 양상
3.2.1. 번역 텍스트에서의 실현 빈도
3.2.2. 번역 텍스트 주어 생략 대응 양상
3.3. 한중 텍스트 주어 생략의 특징 및 번역 전략
3.3.1. 한중 텍스트 주어 생략의 특징
3.3.2. 한중 주어 번역 전략
4. 중한 주어 생략 현상의 전략적 효과 분석
4.1. 생략 현상의 텍스트 응집 효과
4.1.1. 텍스트 결속장치로서의 생략 현상
4.1.2. 생략 현상과 텍스트 응집성
4.2. 생략 현상과 맥락의 구성
4.2.1. 화제 유지 장치로서의 생략 현상
4.2.2. 배경 전환 표지로서의 생략 현상
4.3. 생략 현상의 기타 효과
4.3.1. 생략 현상의 정보성 상승 효과
4.3.2. 생략 현상의 독자 결속 효과
5. 결론
参考文献
표 목차
<표 1> 의미적 특성에 따른 중국어와 한국어의 주어
<표 2> 생략의 유형 1
<표 3> 생략 유형 및 범주
<표 4> 참조항의 설정
<표 5> 소설 《蛙》 유형별 주어 생략 빈도
<표 6> 소설 《紅瓦》 유형별 주어 생략 빈도
<표 7> 소설 《蛙》의 ‘형태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의 각 유형
<표 8> 소설 《红瓦》의 ‘형태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의 각 유형
<표 9> 소설 <국화꽃향기> 유형별 주어 생략 빈도
<표 10> 소설 <엄마를 부탁해> 유형별 주어 생략 빈도
<표 11> 소설 <국화꽃향기>의 ‘형태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의 각 유형
<표 12> 소설 <엄마를 부탁해>의 ‘형태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의 각 유형
<표 13> 중한 텍스트 주어 생략 빈도 대조
<표 14> 생략의 범주에 따른 빈도 대조
<표 15> 중한 텍스트 형태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 대조
<표 16> 중한 번역 대응 빈도
<표 17> 한중 번역 대응 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