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58523879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3-05-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논제1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머리글
∙도덕과 윤리의 공통성과 차별성
- 도덕과 윤리의 공통성
- 도덕과 윤리의 차별성
∙도덕성의 의미와 그의 특성
- 신경과학적 관점
- 통합적 관점
∙맺음글
논제2 인간은 선한가?
∙머리글
∙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
- 공자의 인성관
- 맹자(孟子)가 말하는 성선(性善)의 근거
- 순자(荀子)가 말하는 성악(性惡)의 근거
∙인간이 선한가에 관한 통합적 논의
- 통합적 논의
∙맺음글
논제3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머리글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의 물음에 내포된 의미와 논점
- 자기 삶의 지향성에 관한 성찰
- 도덕성의 내용적 구성 요소에 관한 논란
∙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의 물음에 대한 답변
- 외재적 동기의 답변
- 내재적 동기의 답변
- 내가 도덕적이어야 하는 이유
∙맺음글
논제4 앎과 행동이 늘 일치하지만은 않는 까닭은 무엇인가?
∙머리글
∙주자(朱子)와 왕양명(王陽明)의 지행관
- 주자의 지행병진론(知行竝進論)
- 왕양명의 지행합일론(知行合一論)
∙지와 행 사이의 심리적 공간에서 작동하는 기제와 그 함의
- 지행 간의 심리적 기제(psychological mechanism)
- 심리적 기제의 함의: 자신의 행동 경향성 성찰
∙맺음글
논제5 우리의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는 무엇인가?
∙머리글
∙블라시(A. Blasi)의 도덕적 행동의 동기화론
- 도덕적 정체성
- 자아 모델
- 도덕적 인격 모델
- 도덕적 정체성 동기화론의 의의
∙우리의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에 관한 종합적 논의
∙맺음글
논제6 우리는 왜 부도덕한 행동을 하는가?
∙머리글
∙부도덕한 행동의 근원적 배경
- ‘부도덕한’과 ‘비도덕적’의 의미적 차이
- 도덕규범의 등장과 인간의 위선
∙부도덕한 행동의 심리적 기제와 그 함의
- 도덕적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
- 부도덕한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
- 심리적 기제의 함의: 도덕적 상상력과 자아 효능감
∙맺음글
논제7 공감의 정서는 도덕성 발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머리글
∙공감(empathy)의 의미
∙공감의 구성 요소, 생물학적 토대, 발달 기제
- 공감의 구성 요소
- 공감의 생물학적 토대
- 공감의 발달 기제
∙도덕성 발달에서의 공감 정서의 역할
∙맺음글
논제8 죄책감과 수치심은 도덕성 발달을 저해하는가?
∙머리글
∙죄책감과 수치심의 개념적 차이
- 수치심과 죄책감의 차이점
∙죄책감과 수치심의 발달
- 죄책감 윤리와 수치심 윤리
∙도덕성의 발달과 관련한 죄책감과 수치심의 명암(明暗)
- 죄책감의 명암
- 수치심의 명암
∙맺음글
논제9 도덕성은 언어의 감옥에 갇혀 있는가?
∙머리글
∙도덕성과 언어의 기원 및 발달의 상관성에 관한 관점들
- 도덕적 영역의 특성
- 발달심리학적 관점
- 진화심리학적 관점
- 신경과학적 관점
∙도덕성과 언어의 발달론적 상관성
- 불가분리의 관점
- 언어 결정론의 관점
- 상호결정론의 관점
∙맺음글
논제10 나의 도덕성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머리글
∙도덕성의 구성적 발달을 위한 예비적 논의
- 도덕성 발달의 관점들
- 도덕 판단의 정당화 문제
∙도덕성의 구성적 발달 방안
- 일상 현상의 도덕화와 도덕어의 선용
- 도덕 판단 근거의 보편화 가능성 탐색
- 언어의 기능을 활용한 도덕적 사고의 습관화
∙맺음글
찾아보기
∙인명 색인
∙내용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