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자기계발
· ISBN : 9791158742454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AI 시대 나는 누구인가?
Part 1. AI가 주도하는 디지털 세상은 무엇이 다를까?
1. 모든 것은 흔적을 남긴다.
2. AI는 디지털로 생각한다
3. 데이터를 먹고 사는 AI
4. AI가 나보다 나를 더 잘 안다고?
5. AI 윤리가 진정한 경쟁력
Part 2. AI 리터러시가 있어야 질문할 수 있다
1. 디지털 세상의 문해력
2. 숏폼에서 다시 텍스트로
3. MDDAI 리터러시 이해하기
4. 알고리즘은 어디로 나를 인도할까?
Part 3. 디지털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습관
1. 개성 있는 독서 생활: 텍스트가 힙하다
- Plus box 책과 친해지는 방법 10가지
2. 가짜 정보 판별 능력 기르기
3. 디지털 공간에서의 예절과 책임
4. 나를 위한 디지털 디톡스
Part 4. AI 디지털 교과서 똑똑하게 활용하기
1. 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모든 것
2. AI 디지털 교과서의 양면성: 변화와 선택의 순간
3.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키워드 분석법
4. 갈수록 중요해지는 질문력
5. AI는 만능이 아니다
- Plus box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따른 교사, 학부모, 학생의 역할
에필로그 AI의 시대, 우리는 개척자가 될 것인가?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학생들이 인터넷 게임과 소셜 미디어만으로도 스스로를 통제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학교에서조차 디지털 기기를 가까이한다면 디지털 세상에 더욱 빠져들 수밖에 없고 자기 통제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음을 우려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로 인한 문해력 저하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AI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더욱 다가가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2008년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과 함께 ‘싱귤래러티(기계가 인간을 넘어서는 특이점) 대학’을 설립한 피터 디아만디스는 저서 『컨버전스 2030』에서 오늘날의 빠른 기술 변화와 속도를 강조했습니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인구의 95%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도전하는 세상이 그 예입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컨버전스, 즉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혁신을 이뤄내는 과정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컨버전스는 단순한 기술 발전이 아닌, 서로 다른 기술들이 결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2024년 7월에 발표된 보고서 ‘생성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한 AI 모델은 붕괴한다’는 AI가 생성한 데이터로만 학습한 모델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과정에서 점점 더 많은 저품질의 데이터와 오류가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결국 AI 시스템의 신뢰성이 크게 손상된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AI가 생성한 데이터로 학습을 진행할수록 AI는 점차 일관성 없는 결과를 보였으며, 결국에는 시스템이 붕괴되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