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59051623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17-04-07
책 소개
목차
여성작가연구총서 머리말_ 봉인된 편지
책머리에
제1장 잃어버린 목소리
1. 출생배경과 성장과정
2. <사상계> 입선과 지식인 여성의 감수성
3. 작품개관과 연구목적
4. 선행연구자들의 평가
제2장 전후(戰後) 여성작가의 세대 특수성
1. 동시대 여성작가와 비교
2. 역사와 개인 간의 거리
3. 감성적 개인의 출현
제3장 1950∼60년대 여성지식인 소설
1. 지식인 여성의 소명 의식
2. 현대인의 자존감 상실과 스위트 홈 판타지의 허실
3. 계몽과 감성의 착종
제4장 1970년대 학원소설과 소녀판타지의 기원
1. 학원소설의 의의
1) 학원소설의 미디어 변용
2) 예비 시민으로서 여학생의 육성
2. 소년 소녀의 성장 과정
1) 성장통으로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2) 소녀, 아름다운 마음씨의 소유자
3) 경제성장과 청소년의 방황
3. 영화에 나타난 소녀판타지
1) 청춘남녀의 사랑과 섹슈얼리티의 강조
2) 유신체제와 소녀에 대한 동경
4. 청순한 소녀의 기원과 확산
제5장 1970년대 청춘소설과 여성시민의 윤리
1. 청춘소설의 의의
1) 여성시민 담론의 배경과 전개
2) 성적(性的) 주체로서 여성이라는 시민
3) 시민 윤리로서 성(性) 윤리
2. 시민으로서 여성의 윤리
1) 숭고한 사랑의 완성
2) 건강한 생활인의 육성
3) 윤리와 생활의 이원화 경계
3. 청춘소설의 공과
제6장 1980년대 여성소설과 여성성 탐구
1. 에로티시즘에 대한 이해
2. 눈먼 에로티시즘과 여성의 부덕(不德)
1) 에로티시즘의 양가성-쾌감과 죄의식
2) 섹슈얼리티, 상식 밖의 부덕(不德)
3) 에로티시즘으로부터 사랑의 분리
3. 순정(純情)과 자기희생
4. 성적(性的) 자기 결정권의 부재
제7장 한국전쟁 소설과 기억의 정치학
1. 1970년대 기억-장편 <안개의 肖像>의 잡지 연재본과 단행본 간의 간극
1) 1970년대 전후(前後) <주부생활>에 나타난 주부(主婦)의 윤리
2) 연재본 ?안개의 肖像?-청춘남녀의 사랑과 이별
3) 단행본 <안개의 肖像>-해방공간과 한국전쟁에 대한 탐구
4) 주부 윤리와 반공정신
2. 1980년대 기억-한국전쟁기 남한사회 좌익 여성포로의 행로
1) 여학생의 6?25 체험-인민군과 국군에 의한 이중고
2) 주홍 글씨 지우기
3. 2000년대 기억-봉인 해제
1) 청춘 비망록
2) 공간 너머의 기억
3) 강요된 전향
4) 전향, 그 후의 삶
5) 말할 수 있는 것과 말해야 하는 것
제8장 다시 찾은 목소리
주석
참고문헌
초출일람
작가 연보
작품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