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과학소설(SF) > 한국 과학소설
· ISBN : 979117332318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5-09-11
책 소개
★박서련·이주혜 추천
★SF어워드 중·단편소설 부문 대상 수상 작가
엉성해도 있는 힘껏 달리는 명랑한 존재들
한없이 능청스럽고 더없이 사랑스러운 아밀의 세계
2018, 2020 SF어워드를 연이어 수상하며 한국 SF 문단에 돌풍을 일으킨 아밀. 2025년 첫 소설집 《로드킬》이 영국에서 번역 출간되며 데뷔작만으로 단번에 해외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신작 소설집 《멜론은 어쩌다》에는 경계를 허무는 대범한 상상력으로 가득한 여덟 편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작가의 전작 《로드킬》이 환상과 디스토피아, 신화와 전설을 넘나들며 억압에 맞서는 소녀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너라는 이름의 숲》이 ‘아이돌’이라는 존재를 통해 여성, 퀴어, 환경이라는 동시대 의제를 드러냈다면, 《멜론은 어쩌다》는 위트로 중무장한 채 현실의 차별과 소외를 거울처럼 비춘다. 자신만의 가족을 찾아 한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뱀파이어, 첫사랑에게 큰 상처를 받고 섹스 로봇과 연애를 연습하는 부치, 동성애가 당연한 세상에서 이성과 비밀 연애를 시작한 여성 등, 범상치 않지만 더할 나위 없이 사랑스러운 인물들이 눈앞의 벽을 제각기 방식으로 훌쩍 뛰어넘는 모습은 짜릿한 쾌감을 선사한다.
“갓 씻어낸 제철 과일처럼 신선한 상상력과
곧 그 껍질을 저며낼 칼처럼 예리한 시선이 공존하는 이야기들,
마녀의 소설이 아닐 리 없다.” _박서련(소설가)
《멜론은 어쩌다》는 논쟁적인 소재를 성역 없이 다루며 경쾌한 리듬으로 힘 있게 서사를 이끌어간다. 인공지능이 탑재된 고기능 섹스 로봇,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모태 아이돌’ 등 비범한 설정은 대범한 상상력과 천연덕스러운 유머 덕에 생생하게 힘을 얻는다. 그러나 이 작품은 단지 기발함과 유희성에 머물지 않는다. 겉으로 유쾌해 보이는 이야기 속에 현실의 억압을 고발하는 묵직한 힘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나의 레즈비언 뱀파이어 친구〉는 퀴어이자 뱀파이어라는 이중의 소수자성을 지닌 인물 통해 현시대의 혐오를 포착하고,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은 신체적 조건과 성별, 인종에 따른 편견으로 좌절하는 동양인 여성 피아니스트의 모습을 담아낸다. 이렇듯 작품은 현실을 비틀고 겹치며 총천연색의 세상을 펼쳐 보이는 동시에 현실 사회의 문제를 정확하게 겨냥한다.
이주혜 작가의 말처럼 《멜론은 어쩌다》에서는 “레즈비언이자 뱀파이어인 친구를 사랑하는 일이 이상하지 않고, 인간보다 인간을 더 깊이 이해하는 로봇이 익숙하며, 이성애자가 성소수자로 차별당하는 일이 예사”로 일어난다. 현실의 위계가 거꾸로 뒤집힌 자리에서 소설은 경쾌한 외피를 입고 우리가 직면해야 할 혐오의 목소리를 선명히 상기시킨다. 아밀이 펼쳐내는 ‘멜론의 세상’은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새로운 가능성의 세계를 보여줄 것이다.
목차
나의 레즈비언 뱀파이어 친구 … 7
어느 부치의 섹스 로봇 사용기 … 43
아이돌 하려고 태어난 애 … 79
노 어덜트 헤븐 … 109
성별을 뛰어넘은 사랑 … 149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 … 177
인형 눈알 붙이기 … 211
야간 산책 … 249
작가의 말 … 327
저자소개
책속에서
“너는 이상한 데서 둔감해. 그리고 지독하게 이기적이지.”
미나의 입에서 나온 날 선 비난에 기영은 흠칫했다. 미나가 기영의 턱을 젖히더니 목덜미에 입을 가져갔다. 다른 쪽 팔로는 기영의 허리를 감았다. 그다지 힘이 들어가지 않은 손길인데도 기영은 꼼짝할 수 없었다.
“잘 생각해봐. 너야말로 나를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_<나의 레즈비언 뱀파이어 친구>
하지만 섹스하기 싫다고 하는 섹스 로봇이라니, 그런 건 정말 어디에도 안 팔리겠지.
영민은 섹스하자고 하면 멋대가리 없게 그런 걸 대놓고 말로 한다고 핀잔하고, 스킨십부터 하면 지금 그럴 기분 아니라고 짜증 내고, 가만히 있으면 너는 내가 여자로 안 보이냐고 화를 내던 첫사랑을 떠올렸다.
이제부터 너의 망령에서 벗어날 것이다.
영민은 굳게 마음먹고 리아의 입술에 입을 겹쳤다. 리아의 입술은 따뜻했다. _<어느 부치의 섹스 로봇 사용기>
여자애 하나를 싫어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하며 숭고한 대의명분까지 있다고 믿는 사람들. 모아를 죽여야만 생명윤리가 바로 서고 인권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보전된다고 믿는 사람들. 그런 식의 증오를 받는 건 도대체 어떤 기분일까?
해연은 죽었다 깨어나도 알 수 없을 터였다. _<아이돌 하려고 태어난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