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7278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8-07-1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금융투자업계에 꼭 필요한 남북한 경제협력 지침서
머리말 | 한반도의 새로운 경제공동체로 통일 미래를 준비한다
1부 현실로 다가오는 한반도 경제공동체
1장 1972년 2월 닉슨과 마오쩌둥의 정상회담
01 미국 닉슨 행정부(1969~1974년)
02 중국 마오쩌둥 집권기(1949~1976년)
03 1972년 2월 닉슨과 마오쩌둥 정상회담의 영향과 시사점
2장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 시대
01 중국: 동아시아에서 중화사상을 기반한 강력한 패권 추구
02 미국: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팽창 견제
03 2018년 동아시아 국제정치체제 변화: 미국과 북한의 담판 전략
3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01 핵무력 완성으로 북한경제의 중국 예속화, 미국과 비핵화 담판이 필요하다
02 4·27 판문점 선언과 6·12 북미정상회담
03 2018년 한반도 비핵화 과정: 신속하고도 의미 있는 진전 예상
04 북한의 정상국가화
05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4장 한반도 경제공동체
01 1834년 독일 관세동맹
02 유럽석탄철강공동체
03 한반도 경제공동체
2부 장막에 가려져 있던 북한경제와 잠재력
1장 북한경제의 어제와 오늘
01 김일성 시대의 경제: 군산복합체 중심의 계획경제
02 김정일 시대의 경제: 고난의 행군과 시장화 도입
03 김정은 시대의 경제: 시장화 확산
2장 북한경제의 잠재력
01 인구
02 과학기술
03 지하자원
3부 한눈에 보는 남북경제협력 시나리오
1장 개성공단, 첨단산업단지로 화려한 변신
01 개성공단 현황
02 개성공단 사업 중단: 남한기업들의 베트남 진출 급증
03 개성공단 재가동
04 개성공단, 첨단산업단지로의 환골탈태
2장 관광사업 확대
01 북한의 관광정책
02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03 북한의 카지노 사업과 전망
3장 남한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01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추진 체계도
02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내용
4장 북한의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01 김정일 시대의 경제특구
02 김정은 시대의 경제개발구
03 성과와 한계
5장 북한 인프라 개발
01 북한 인프라 현황
02 북한 인프라 개발전략
6장 한국-러시아 가스관 프로젝트
01 배경
02 현황
03 효과
4부 남북경제협력의 시너지 효과
1장 베트남의 성공과 벤치마킹
01 1975년 베트남 통일: 인도차이나 패권 장악
02 1986년 도이모이 경제개혁: 시장경제 도입
03 1995년 미국과 수교: 경제도약 발판
04 2009년 남한 기업들의 공격적인 베트남 투자: 경제고도성장
2장 북한, 제2의 대동강의 기적
01 1950년대 대동강의 기적
02 제2의 대동강의 기적
3장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 2040년 세계 5위 경제대국
01 한국경제의 위기: 반도체 호황으로 착시현상
02 한반도 경제공동체: 침체에 빠진 한국경제의 돌파구
5부 정부의 역할과 기업 및 개인의 대응전략
1장 정부의 역할
01 현실주의에 입각한 대북 경제정책 추진
02 북한 진출 기업과 개인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2장 기업의 대응전략
01 금융회사: 북한 진출 기업에 대한 금융서비스 제공
02 섬유와 IT기업: 개성공단에 진출
03 건설, 중공업, 철강, 전선, 에너지 기업: 북한 인프라와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사업에 진출
04 자동차, 조선업: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에서 생산기지 구축
05 음식료, 유통업체, 중소기업: 경제특구/개발구 진출 및 돈주와 제휴사업 전개
3장 개인의 대응전략
01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대응
부록 1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부록 2 6·12 북미정상회담 합의문
부록 3 북한의 주요 정치사
미주
그 외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953년~1961년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리차드 닉슨은 부통령을 역임했다. 닉슨은 캘리포니아 상원의원 출신으로 미국 공화당의 대표적인 보수 강경파 정치인이었다.
남한과 북한은 유럽석탄철강공동체와 같은 경제공동체를 수립해야 한다. 가칭 한반도 경제공동체의 탄생이다. 한민족의 번영과 발전을 위해서 남한의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북한의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전략을 연계해 한반도의 종합적인 경제개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중략)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몰락하기 직전인 1989년 일인당 GDP는 북한이 811달러로 중국 400달러, 베트남 94달러 대비 월등히 좋았다. 1991년 소련 해체 이후부터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을 통한 체제 안보를 위해서 경제를 희생했다. 한반도 경제공동체가 출범될 경우 북한이 중국, 베트남과 유사한 수출지향적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면 북한 경제는 유례없는 경제성장률을 성취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1954년부터 1963년까지 공업 총생산액의 연평균성장률이 34.8%를 기록했다. 이를 두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여성경제학자 조안 로빈슨은 한국의 기적(Korean Miracle)이라고 칭했다. 한반도 경제공동체는 남한과 북한 경제가 인류역사상 유례없는 경제성장을 보여줄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 <1부 현실로 다가오는 한반도 경제공동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