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75120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ICT와 교육 혁신이 만드는 포스트 코로나의 미래
1부 디지털 뉴노멀의 시대
1장 포스트 코로나, 미래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01 코로나 사태 이전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없다
02 역사 속 위기를 통해 본 코로나 사태의 의미
03 코로나 이후 세계 경제 전망
04 포스트 코로나는 디커플링의 시대
05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개인과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2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가 왜 중요한가
01 21세기 일본에서 일어난 아날로그 촌극
02 비대면을 앞세운 ICT기업들이 전통의 제조업을 앞지르다
03 언택트에서 온택트로의 진화
04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 5G, 클라우드, AI
2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트렌드가 온다
1장 홈의 재정의, 집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한다 63
01 집, 세상을 품다
02 서재로 출근하는 홈 오피스 시대
03 랜선 상권 시대, 분주해진 로봇과 드론
04 다양한 홈 엔터테인먼트로 즐기는 슬기로운 ‘집콕’ 생활
2장 디지털로 변해야 산다, 기업들의 DX 도입 가속화
01 언택트, 비즈니스의 뉴노멀로 자리잡다
02 직원의 절반 이상이 집에서 일하는 시대
03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승자 기업의 조건
04 코로나가 각 산업별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05 세계의 공장은 없다, 글로벌 리쇼어링 가속화
3장 AI 맞춤교육과 온라인 평생교육으로 미래 변화에 대비하라
01 코로나로 변화된 세상, 교육도 변해야 한다
02 미래 교육 패러다임, ICT로 학습하라
03 통신 ICT에 대한 적극적 투자가 에듀테크 강국을 만든다
4장 원격진료 본격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열린다
01 ICT는 코로나 팬데믹을 미리 알고 있었다
02 코로나 위기 속에 활약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03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의료 데이터의 통합과 표준화
5장 영화관 대신 집, 공연장 대신 가상공간에서 즐기는 미디어
01 미디어 산업에 드리운 코로나19의 명과 암
02 집에서 개봉하는 신작 영화, 집에서 촬영하는 TV쇼
03 콘서트장보다 뜨거워진 가상 공연 시장의 열기
04 We ‘Knew’ the ‘New’ Normal
6장 코로나가 두렵지 않다, 인간을 대신하는 로봇
01 코로나 사태 속 재조명 받는 로봇
02 로봇 도입으로 안전과 생산성을 동시에 잡다
03 인간을 위한 따뜻한 로봇의 등장
3부 디지털 뉴딜이 만드는 코로나 이코노믹스
1장 디지털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한국형 뉴딜
01 경제 위기의 구원투수, 뉴딜 정책
02 ICT 강국이 추구하는 디지털 뉴딜
03 한국형 뉴딜의 키워드 ‘디지털’과 ‘친환경’
2장 ICT 기반 뉴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01 디지털 전략 자산의 중요성
02 공공 부문 클라우드 도입
03 공공 데이터 정제사업
04 광 인프라 고도화 정책 추진
3장 AI 활용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01 코로나로 빼앗긴 일자리, 교육으로 되찾는다
02 평생교육 시대, ICT를 활용한 재교육 플랫폼 구축
03 AI를 활용한 잡매칭 플랫폼의 구축
04 AI/로봇 활용 인적 역량 강화로 리쇼어링 및 생산성 향상
4장 ‘친환경’과 ICT의 만남, 그린 뉴딜로 코로나를 극복하다
01 그린 뉴딜의 목표는 2050년 탄소 제로
02 세계 각국이 앞다투어 추진하는 그린 뉴딜 정책
03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그린 뉴딜
04 ICT로 친환경 세상을 만드는 그린 뉴딜의 미래
감사의 말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전 생활보다 더 나은 생활을 꿈꾸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코로나 사태 이전과 이후 세상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Untact) 문화의 확산’이라 할 수 있다. 코로나의 세계적인 유행으로 전 세계의 항공편과 공항은 문을 걸어 잠궜고, 직장 업무와 학교 교육은 모두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기업과 교육, 의료, 유통 등 모든 생산과 소비 활동이 디지털 세상으로 몰려들었고, 세계를 향해 나아가던 기업들이 모두 자국 내로 방향을 전환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 각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추진되어 오던 디지털로의 전환이 0.1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한 작은 바이러스로 인해 불과 몇 개월 사이에 급속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완전히 변해 버린 지구촌은 어떤 모습일까? 도시, 집, 결혼, 외식, 공연, 피트니스, 여행 등 우리를 둘러싼 생활 전반의 모습은 코로나가 지나가고 난 후 어떻게 변해 있을까? 코로나로 영향 받고 있는 국내외 사회 각 영역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본다. - <1부 디지털 뉴노멀의 시대>의 <1장 포스트 코로나, 미래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중에서
AI의 활약상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코로나로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무인화, 자동화에 대한 니즈도 늘어나고 있다. 사람을 대신해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역시 AI가 필요하다. 미국 최대 오프라인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온라인으로 주문된 식료품 배송을 위해 AI 로봇 기술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월마트의 온라인 주문 배송 플랫폼인 ‘알파봇(Alphabot)’ 로봇은 사람보다 10배 빠르게 주문을 받고 포장할 수 있다. 알파봇은 거대한 매장 내부를 돌아다니며 약 4,500개의 품목 중에서 고객이 주문한 식료품을 골라 담아 포장한다. 고객들이 온라인으로 주문한 식료품을 자동으로 선별해 포장하고 배송까지 하는 것이다. 현재 월마트는 뉴햄프셔의 살렘에 위치한 20,000스퀘어피트 매장에 30개의 로봇을 배치해서 운영 중이다. - <1부 디지털 뉴노멀의 시대>의 <2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가 왜 중요한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