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60451481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7-03-02
책 소개
목차
[제1편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제1장 지방자치의 본질』
1.1 지방자치의 의의
1.2 지방자치의 유형
1.3 지방자치의 가치
1.4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제2장 지방자치의 경향과 변천』
2.1 지방자치의 발달과 현대적 경향
2.2 한국 지방자치의 변천과정
[제2편 지방자치단체]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이론』
3.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와 구성요소
3.2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3.3 보통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제4장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4.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4.2 집행기관의 구성
4.3 교육·과학 및 체육에 관한 기관
4.4 지방의회의 구성
4.5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관계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지방자치권)』
5.1 지방자치권의 본질
5.2 지방자치권의 형태
『제6장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6.1 지방사무
6.2 국가와 자방자치단체간의 기능배분
6.3 지방행정서비스
『제7장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7.1 지방재정의 일반이론
7.2 지방재원의 구성요소
7.3 지방재정운영의 기본원칙
7.4 우리나라 지방재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8장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8.1 지방행정구역의 의의
8.2 지방행정구역의 설정기준
8.3 지방행정구역의 개편
8.4 지방행정구역의 실태
[제3편 지방자치단체의 관계]
『제9장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
9.1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이론
9.2 중앙통제
『제10장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
10.1 지방자치단체의 관계이론
10.2 지방자치단체간의 협력관계
10.3 지방자치단체간의 분쟁관계
『제11장 지방자치단체와 주민관의 관계』
11.1 주민
11.2 주민참여
11.3 로컬 거너번스
[제4편 지방자치의 운영]
『제12장 지방자치경영』
12.1 개설
12.2 경영수익사업
12.3 제3섹터
12.4 민간위탁
12.5 민자유치
12.6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12.7 경영관리기법
『제13장 지방선거』
13.1 지방선거의 의의
13.2 지방선거제도
13.3 지방선거와 정단참여
『제14장 지방자치의 발전방향』
14.1 지방자치환경의 변화와 방향
14.2 지방자치의 발전과제
14.3 21세기 지방정부의 역할
[제5편 주요국가의 지방자치제도]
『제15장 영·미계국가의 지방자치제도』
15.1 영국의 지방자치제도
15.2 미국의 지방자치제도
『제16장 유럽 대륙계 국가의 지방자치제도』
16.1 프랑스의 지방자치제도
16.2 독일의 지방자치제도
『제17장 아시아계 국가의 지방자치제도』
17.1 일본의 지방자치제도
17.2 타이완의 지방자치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