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61262222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장애인복지의 개념
1. 장애의 개념
1) ICIDH-1
2) ICIDH-2
3) ICF
2. 장애인복지의 개념
제2장 장애인복지의 이념
1. 인권존중과 평등사상
2. 리해비리테이션 이념
3. 노멀라이제이션 이념
4. 자립생활 이념
5. 생활의 질 향상
제3장 장애인복지의 발달
1. 서구
1) 고대의 장애인복지
2) 중세의 장애인복지
3) 근대의 장애인복지
4) 현대의 장애인복지
2. 한국
1) 정부 수립 이전
2) 정부 수립 이후
3)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 실시 이후
3. 장애인복지 발달과정에서의 개념적 변화
1) 의식: 분리에서 사회통합으로
2) 책임: 개인에서 사회로
3) 접근방법: 재활에서 자립생활로
제4장 장애인복지의 관점
1. 장애인복지 관점의 변화 동향
2. 장애인복지실천모델
1) 의료모델
2) 심리사회적 모델
3) 사회적 모델
3. 장애인복지 이론
1) 생태체계적 이론
2) 임파워먼트 이론
4. 장애인복지모델 변화의 의미
제5장 우리나라 장애인 실태와 생애주기
1. 우리나라 장애인 실태
1) 추정 장애인 수와 원인
2) 장애인의 생활 실태
3) 복지서비스 욕구
2. 장애인의 생애주기
1) 영유아기(0~6세)
2) 학령기(7~18세)
3) 성인기(19~64세)
4) 노년기(65세 이상)
제6장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1. 전달체계의 개념
1) 전달체계의 개념
2) 전달체계의 원칙
2. 전달체계의 유형
1) 공공전달체계
2) 민간전달체계
3.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1) 행정전달체계의 전문직
2)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4.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 수직적 전달체계
2) 전문인력의 부족
3) 연계성과 통합성의 부족
4) 역할 분담의 미비
제7장 장애인복지 재정
1. 장애인복지 재정의 의미와 구분
2. 공공재원
1) 장애인복지예산
2) 장애인복지예산 구성
3) 비용
3. 민간재원
1) 법인 재산
2) 수익사업
3) 정부보조금
4) 서비스 이용료
5) 후원금
6) 사회복지 공동모금
7) 세제상 지원
제8장 장애인복지 대상
1. 장애유형과 장애진단
1) 장애유형
2) 장애진단서 작성 기준
3) 장애등급과 장애판정
2. 장애유형
1) 신체적 기능의 장애
2) 정신장애
제9장 장애인복지 접근 방법
1. 장애인복지 정책적 방법
1) 소득보장
2) 고용보장
3) 의료보장
4) 교육보장
2. 장애인복지시설 및 서비스
1) 장애인복지시설의 개요
2) 장애인복지거주시설
3) 장애인지역재활시설
4) 장애인직업재활시설
5) 장애인의료재활시설
6)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3. 장애인복지 실천적 서비스
1)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2) 성년후견제도
3) 발달장애인지원서비스
제10장 장애인 접근권
1. 접근권의 의미
2. 접근권의 원칙
3. 접근권의 내용
1) 접근권의 범위
2) 접근권의 법적 내용
4. 무장애 환경
1) 무장애 환경의 의미
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
5. 접근권의 과제와 전망
제11장 선진국의 장애인복지
1. 스웨덴의 장애인복지
1) 장애인복지의 목표
2) 정책기구
3) 정책
2. 미국의 장애인복지
1) 장애인 정의
2) 미국장애인법
3) 정책기구 및 전달체계
4) 정책
3. 일본의 장애인복지
1) 장애인복지의 동향
2) 정책의 방향
제12장 장애인복지의 과제
1. 장애인복지의 발전 방향
2. 장애인복지의 발전 과제
1) 소득보장 및 사회보장의 현실화
2) 탈시설화와 지역사회보호의 강화
3) 배리어 프리 및 이동권 확보
4) 사회참여의 확대
5) 장애인 권익 강화
부 록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