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PC/게임/디지털 카메라 > 게임
· ISBN : 9791161758510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1부. 이론
1장. Welcome to 게임 시나리오
1.1 달라진 게임의 위상 그리고 게임 시나리오
1.2 한국형 게임 시나리오의 현주소
1.3 게임 시나리오의 이해
1.4 게임 시나리오 구성 요소
1.5 게임의 문법
1.6 게임 시나리오의 역할
1.7 게임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하는 이유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2장. 전지적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 시점
2.1 게임 시나리오를 디자인하는 직업
2.2 게임 시나리오 직군의 구성
2.3 게임 시나리오 직군의 수요와 공급
2.4 게임 제작 단계에 따른 게임 시나리오 업무
2.5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현실
2.6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는 어떻게 될 수 있나?
2.7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경험치 쌓기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3장. 게임 스토리를 전달하는 장치들
3.1 스토리텔링의 진화
3.2 텍스트 스토리텔링
3.3 연출 스토리텔링
3.4 환경 스토리텔링
3.5 사운드 스토리텔링
3.6 상호작용 스토리텔링
3.7 시스템 스토리텔링
3.8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3.9 사용자 스토리텔링
3.10 스토리텔링을 위한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자세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2부. 심화
4장. 게임 세계관 설정
4.1 게임 세계관의 이해
4.2 게임 세계관의 본질
4.3 세계관의 원형
4.4 세계관을 구성하는 요소들
4.5 세계관 설정 템플릿
4.6 핵심 가치에 따른 세계관 설계
4.7 설정도 잘하는 기획자
4.8 어떻게 해야 설정을 잘할 수 있을까?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5장. 게임 캐릭터 설정
5.1 게임 캐릭터의 이해
5.2 캐릭터의 원형 활용하기
5.3 매력적인 캐릭터
5.4 어떤 캐릭터가 매력적일까?
5.5 게임 속 악당들
5.6 캐릭터를 욕망에 빠뜨리자
5.7 캐릭터를 인간답게 만드는 결핍
5.8 캐릭터 설정 가이드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6장. 게임 스토리 작법
6.1 백지의 공포
6.2 스토리의 시작, 주제
6.3 스토리의 재료, 소재
6.4 스토리 방향을 설명하는 한 문장, 로그라인
6.5 플롯의 활용
6.6 게임 스토리 창작 가이드
6.7 글의 완성은 퇴고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7장. 게임 스토리텔링의 꽃, 대사
7.1 게임 대사의 이해
7.2 게임 대사의 기능
7.3 좋은 대사, 나쁜 대사
7.4 서브텍스트와 명대사
7.5 좋은 대사를 쓰기 위한 가이드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3부. 응용
8장. 퀘스트 기획
8.1 퀘스트의 현주소
8.2 퀘스트의 역할
8.3 퀘스트 기획자가 하는 일
8.4 퀘스트 시스템
8.5 알아 두면 쓸모 있는 연출 시스템
8.6 퀘스트 리스트
8.7 내가 사랑한 퀘스트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9장. 게임 시나리오 포트폴리오
9.1 포트폴리오 관리의 중요성
9.2 포트폴리오의 유형
9.3 포트폴리오 핵심 대상
9.4 포트폴리오의 구성
9.5 포트폴리오에 담아야 할 3가지
9.6 당신의 인생 게임은 무엇인가요?
나의 게임 기획자 일지
에필로그
GAME LIST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책과 영화와 같은 매체에서는 우리가 그 스토리에 참여하는 것을 상상하지만, 게임에서는 내가 직접 스토리에 참여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게임 시나리오는 게임 제작을 목적으로 한 대본이 아닌 게임 제작을 전제로 게임을 체험하는 데 필요한 이야기를 다양한 형태로 기술한 스크립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3 게임 시나리오의 이해」 중에서
책을 읽고 드라마를 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의 근본은 게임에 있습니다. 게임은 책이나 드라마와 달리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유일한 콘텐츠입니다. 게임을 플레이한 만큼 게임 내러티브를 이해하게 되고, 응용할 수 있습니다. 흔히들 게임 스토리텔링 문법이라고 이야기하는 부분이죠.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를 꿈꾸면서 게임을 하지 않는 건, 소설가가 되고 싶은데 책을 읽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 「2.7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경험치 쌓기」 중에서
게임 장르나 플랫폼에 따라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다르고 개발하는 회사마다 스토리텔링 여건이 각기 다릅니다. 그래서 주어진 환경을 잘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줄 아는 기획자가 더 좋은 스토리텔링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 「3.10 스토리텔링을 위한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자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