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퀀트 투자를 위한 머신러닝

퀀트 투자를 위한 머신러닝

(파이썬으로 배우는 머신러닝 기반 팩터 투자)

기욤 코케렛, 토니 귀다 (지은이), 김성진(퀀트대디) (옮긴이)
에이콘출판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36,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6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32,7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퀀트 투자를 위한 머신러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퀀트 투자를 위한 머신러닝 (파이썬으로 배우는 머신러닝 기반 팩터 투자)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언어 > 파이썬
· ISBN : 9791161759234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투자의 영역에서 어떻게 하면 금융 머신러닝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있는 한 편의 안내서다. 금융 시계열 데이터 처리, 알파 신호 생성, 포트폴리오 최적화, 인과성과 해석성 등 머신러닝 기반의 퀀트 투자에 필요한 모든 단계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동시에 파이썬 코드 및 연습문제를 통해 이론과 실습을 결합한 실용적인 이해를 돕는다.

목차

1부 ― 소개
1장 표기법과 데이터
1.1 표기법
1.2 데이터셋

2장 개요
2.1 이 책의 맥락
2.2 포트폴리오 구축: 작업의 흐름
2.3 머신러닝은 요술봉이 아니다

3장 팩터 투자와 자산 가격 결정 이상 현상
3.1 개요
3.2 이상 현상 탐지
3.2.1 도전
3.2.2 단순 포트폴리오 정렬
3.2.3 팩터들
3.2.4 파마-맥베스 회귀
3.2.5 팩터 경쟁
3.2.6 고급 기법들
3.3 팩터 혹은 특성?
3.4 핫한 주제들: 모멘텀, 타이밍, ESG
3.4.1 팩터 모멘텀
3.4.2 팩터 타이밍
3.4.3 그린 팩터
3.5 머신러닝과의 연결 고리
3.5.1 최근 발표된 참고 문헌 리스트
3.5.2 자산 가격 결정 모형과의 명백한 연결
3.6 코딩 예제

4장 데이터 전처리
4.1 너의 데이터를 알라
4.2 결측 데이터
4.3 이상치 탐지
4.4 특성 공학
4.4.1 특성 선택
4.4.2 예측 인자 스케일링
4.5 레이블링
4.5.1 단순 레이블
4.5.2 범주형 레이블
4.5.3 트리플 배리어 기법
4.5.4 샘플 필터링
4.5.5 수익률의 시간적 구간
4.6 지속성 다루기
4.7 확장
4.7.1 특성 변환
4.7.2 거시경제 변수
4.7.3 능동 학습
4.8 추가 코드 및 결과
4.8.1 리스케일링 효과: 시각적 표현
4.8.2 리스케일링 효과: 토이 예시
4.9 코딩 예제

2부 ― 지도 학습 알고리듬
5장 페널티 회귀와 최소 분산 포트폴리오를 위한 희소 헤징
5.1 페널티 회귀
5.1.1 단순 회귀
5.1.2 페널티의 형태
5.1.3 실제 예시
5.2 최소 분산 포트폴리오를 위한 희소 헤징
5.2.1 표현 및 전개
5.2.2 예시
5.3 예측 회귀
5.3.1 참고 문헌 리뷰 및 원칙
5.3.2 코드 및 결과
5.4 코딩 예제

6장 트리 기반 기법
6.1 단순 트리
6.1.1 원칙
6.1.2 분류에 대한 추가적인 디테일
6.1.3 가지치기의 기준
6.1.4 코드 및 해석
6.2 랜덤 포레스트
6.2.1 원칙
6.2.2 코드 및 결과
6.3 부스트 트리: 에이다부스트
6.3.1 방법론
6.3.2 실제 예시
6.4 부스트 트리: 익스트림 그래디언트 부스팅
6.4.1 손실 관리
6.4.2 페널티 적용
6.4.3 결합
6.4.4 트리 구조
6.4.5 확장
6.4.6 코드 및 결과
6.4.7 인스턴스 가중치 부여
6.5 논의
6.6 코딩 예제

7장 신경망
7.1 오리지널 퍼셉트론
7.2 다층 퍼셉트론
7.2.1 개요 및 표기법
7.2.2 보편 근사화
7.2.3 역전파를 통한 학습
7.2.4 분류에 관한 추가적인 디테일
7.3 신경망이 얼마나 깊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 그리고 다른 실무적 이슈들
7.3.1 구조 선택
7.3.2 가중치 업데이트의 빈도와 학습 듀레이션
7.3.3 페널티와 드롭아웃
7.4 코드 샘플 및 바닐라 MLP에 대한 코멘트
7.4.1 회귀 예시
7.4.2 분류 예시
7.4.3 커스텀 손실
7.5 순환 신경망
7.5.1 묘사
7.5.2 코드 및 결과
7.6 다른 일반적 구조
7.6.1 생성형 적대적 네트워크
7.6.2 오토인코더
7.6.3 합성곱 신경망에 관한 한마디
7.6.4 고급 아키텍처
7.7 코딩 예제

8장 서포트 벡터 머신
8.1 분류를 위한 SVM
8.2 회귀를 위한 SVM
8.3 연습
8.4 코딩 예제

9장 베이지안 기법
9.1 베이지안 프레임워크
9.2 베이지안 샘플링
9.2.1 깁스 샘플링
9.2.2 메트로폴리스-헤이스팅스 샘플링
9.3 베이지안 선형 회귀
9.4 나이브 베이스 분류기
9.5 베이지안 가법 트리
9.5.1 일반적인 형태
9.5.2 사전 값
9.5.3 샘플링 및 예측
9.5.4 코드

3부 ― 예측에서 포트폴리오로
10장 검증 및 튜닝
10.1 학습 지표
10.1.1 회귀 분석
10.1.2 분류 분석
10.2 검증
10.2.1 분산-편향 트레이드 오프: 이론
10.2.2 분산-편향 트레이드 오프: 묘사
10.2.3 과최적화의 위험: 원리
10.2.4 과최적화의 위험: 몇 가지 해결책
10.3 좋은 하이퍼파라미터 찾기
10.3.1 방법론
10.3.2 예시: 격자 탐색
10.3.3 예시: 베이지안 최적화
10.4 백테스팅 검증에 대한 짧은 논의

11장 앙상블 모델
11.1 선형 앙상블
11.1.1 원리
11.1.2 예시
11.2 스택 앙상블
11.2.1 두 단계 학습
11.2.2 코드 및 결과
11.3 확장
11.3.1 외생 변수
11.3.2 모델 간 상관계수 축소
11.4 연습 문제

12장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12.1 프로토콜 세팅
12.2 신호를 포트폴리오 가중치로 변환하기
12.3 성과 지표
12.3.1 논의
12.3.2 순수한 성과 및 위험 지표
12.3.3 팩터 기반 평가
12.3.4 위험 조정 지표
12.3.5 거래 비용 및 회전율
12.4 일반적인 오류 및 이슈
12.4.1 미래 참조 데이터
12.4.2 백테스트 과최적화
12.4.3 간단한 방지책
12.5 비정상성에 대한 암시: 예측은 어렵다
12.5.1 일반적인 코멘트
12.5.2 공짜 점심은 없다
12.6 첫 번째 예시: 완전한 백테스트
12.7 두 번째 예시: 백테스트 과최적화
12.8 코딩 예제

4부 ― 추가적인 중요 주제들
13장 해석성
13.1 전역적 해석
13.1.1 대리 모델로서의 단순 모형
13.1.2 트리 기반 변수 중요도
13.1.3 불가지론적 변수 중요도
13.1.4 부분 종속성 플롯
13.2 지역적 해석
13.2.1 LIME
13.2.2 샤플리 값
13.2.3 분해

14장 두 가지 주요 개념: 인과성과 비정상성
14.1 인과성
14.1.1 그랜저 인과성
14.1.2 인과적 가법성 모델
14.1.3 구조적 시계열 모델
14.2 변화하는 환경 다루기
14.2.1 비정상성: 또 다른 예시
14.2.2 온라인 학습
14.2.3 동질적 전이 학습

15장 비지도 학습
15.1 상관관계가 있는 예측 인자의 문제점
15.2 주성분 분석과 오토인코더
15.2.1 아주 조금의 선형대수
15.2.2 PCA
15.2.3 오토인코더
15.2.4 응용
15.3 k-평균을 통한 클러스터링
15.4 최근접 이웃
15.5 코딩 예제

16장 강화학습
16.1 이론적 구성
16.1.1 일반적인 프레임워크
16.1.2 Q-러닝
16.1.3 SARSA
16.2 차원의 저주
16.3 정책 경사
16.3.1 원칙
16.3.2 확장
16.4 단순한 예시
16.4.1 시뮬레이션으로 하는 Q-러닝
16.4.2 시장 데이터와 Q-러닝
16.5 결론
16.6 예제

5부 ― 부록
17장 데이터 설명

18장 예제 정답
18.1 3장
18.2 4장
18.3 5장
18.4 6장
18.5 7장: 오토인코더 모델과 보편 근사화
18.6 8장
18.7 11장: 앙상블 신경망
18.8 12장
18.8.1 동일 가중 포트폴리오
18.8.2 고급 가중 함수
18.9 15장
18.10 16장

저자소개

토니 귀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RAM 액티브 인베스트먼트(RAM Active Investments)에서 퀀트 매크로 부문의 공동 대표를 맡고 있다. 또한,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in Quantitative Investment』(Wiley, 2018)의 편집자이자 공동 저자다.
펼치기
기욤 코케렛 (지은이)    정보 더보기
EM리옹 경영대학(EMLyon Business School)의 금융 및 데이터 과학 부교수다. 최근 연구는 금융 경제학에서의 머신러닝 응용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펼치기
김성진(퀀트대디)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하나증권 글로벌마켓운용실에서 퀀트 트레이딩을 총괄하고 있는 퀀트 트레이더다. 학생 시절 경제학을 전공하고 글로벌 매크로에 관심이 많아 채권과 외환을 다루는 FICC 트레이딩으로 첫 금융권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이후 철저히 알고리듬과 규칙에 기반해 매매를 수행하는 퀀트 트레이딩에 매료돼 현재는 퀀트 트레이더의 길을 가고 있다. 퀀트 논문과 장서를 수집하는 것이 취미이며, 촌각을 다투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어떻게 하면 팩터 포트폴리오라는 견고한 성채를 쌓아 올릴 수 있을지를 매일 고민하고 있다. ‘퀀트대디’라는 필명으로 퀀트 투자, 알고리듬 트레이딩, 금융공학에 관한 쉽고 직관적인 글을 쓰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곳에서 퀀트와 금융공학에 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성진(퀀트대디)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지은이의 말

머신러닝(ML, Machine Learning)은 계량 금융과 알고리듬 트레이딩 분야의 형태를 점진적으로 바꿔나가고 있다. 헤지 펀드(hedge fund)와 자산 관리자들은 점점 더 많은 머신러닝 도구들을 채택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도구들은 알파 신호 생성과 주식 선택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머신러닝이라는 주제의 기술적 복잡성은 사실 비전문가들이 뛰어들기에는 다소 어려워 보인다. 특히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용어 그리고 코딩이라는 요구 사항은 비전문가들의 이해를 더욱 힘들게 만든다. 이 책은 이러한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기업 특성을 재료로 하는 현대적인 머신러닝 기반 투자 전략에 대한 종합적인 여정을 제공한다.
경제학적 근거에서부터 엄격한 포트폴리오 백테스팅(back-testing), 데이터 전처리, 모델 해석성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실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다. 스타일 투자의 맥락에 입각해 트리 모델(tree model)과 인공 신경망 같은 일반적인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알고리듬을 설명하고, 또한 오토인코더(autoencoder) 자산 수익률, 베이지안(Bayesian) 가법성 트리 모델, 인과 모델 등의 더 복잡한 기법들까지도 깊게 파고든다.
이 책의 모든 주제는 관련된 파이썬(Python) 코드 예제 및 스니펫(snippet)을 수록하고 있으며, 해당 코드는 90개 이상의 예측 변수를 포함하는 대규모 공개 데이터셋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내용과 관련 자료는 온라인에도 게재돼 있어 독자들은 편리하게 책에 수록된 예제를 재현해보고 개선할 수 있다. 만약 계량 금융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다면, 이러한 이론적 개념과 실용적 예시의 결합을 통해 빠르게 학습하고 금융과 기술에 대한 전문성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