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설계
· ISBN : 9791162572757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4-02-03
책 소개
형 정적해석의 중요 고려사항 등을 기술하였다.
제2판에서는 부록 1,5 예제의 비선형 해석결과를 일부 수정하였으며, 부록 3의 일본건축학회 “철근콘크리트구조 보유수평내력계산 규준”을 추가하였다. 부록 3은 이 책의 제목인 “철근콘크리트구조 건축물의 수평저항내력과 성능설계”에서 다루는 내용을 설계기준으로 규정화시킨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평저항내력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지침서라 할 수 있다. 비선형해석과 설계에 대한 경험이 많이 축적된 일본건축학회 설계기준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비선형해석에 필요한 지식을 얻는데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부록으로 추가하였다.
목차
CHAPTER01 내진설계의 기본개념과 원칙
1.1 내진설계와 성능설계
1.2 비선형 동적해석
1.3 비선형 정적해석
CHAPTER 02 구조물의 수평내력
2.1 구조물의 붕괴기구와 소성해석
2.2 약산법
2.2. 1 절점분배법
2.2.2 가상일의 원리를 활용한 방법 (상계 및 하계정리를 기초한 방법)
2.3 정산법
CHAPTER 03 소성이론의 기초
3.1 탄소성체 및 부재단면의 성질
3.2 붕괴기구와 붕괴하중
3.3 가상일의 원리를 이용한 붕괴하중의 산정
3.4 골조구조의 항복수평내력
3.5 항복수평내력과 외력분포
3.6 허용수평내력과 항복수평내력
CHAPTER 04 증분해석
4.1 기본개념
4.2 Pushover 해석의 흐름
4.3 수평하중 분포
4.4 Pushover 해석에서 유의점
4.5 건축물의 붕괴형태와 수평저항내력
4.5.1 전체 붕괴형
4.5.2 부분 붕괴형
4.5.3 국부 붕괴형
4.6 Pushover 해석에서 생길 수 있는 해석오차
CHAPTER 05 월근콘크리트구조 건축물의 비언형 모델링
5.1 부재의 거동과 비선형 모델링
5.2 기둥과 보 부재
5.2.1 모멘트에 대한 부재 단부 강소성 스프링 모델
5.2.2 섬유요소(Fiber Slice) 모델
5.2.3 전단에 대한 비선형 모델
5.2.4 축력에 대한 비선형 모델
5.3 전단벽의 모델링
5.3.1 전단벽의 파괴모드
5.3.2 전단벽의 모델링
5.3.3 전단벽의 Fiber 모델
5.4 해석모델의 적합성 검토
부록 1 비선형 해석용 범용해먹 프로그램
1.1 MIDAS
1.1.1 특징
1.1.2 장점
1.1.3 단점
1.2 ETABS & Perform-3D
1.2.1 특징
1.2.2 장점
1.2.3 단점
1.3 CANNY
1.3.1 특징
1.3.2 장점
1.3.3 단점
1.4 OpenSees
1.4.1 특징
1.4.2 장점
1.4.3 단점
1.5 예제
1.5.1 구조물 형상
1.5.2 컴퓨터 구조해석 모델 및 작용하중
1.5.3 해석모델링에 따른 탄성 해석결과
1.5.4 Pushover 해석결과
부록 2 일본의 철근콘크리트구조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 지침과 해설
2.1 개요
2.1.1 적용범위
2.1.2 용어
2.2 성능평가의 원칙
2.3 성능평가 항목
2.4 재료
2.4.1 철근의 종류와 성질
2.4.2 콘크리트
2.4.3 콘크리트 횡구속
2.4.4 접합면, 부착, 정착특성
2.4.5 그 외의 재료
2.5 지진하중
2.5.1 기준지진동
2.5.2 지역지진동
2.5.3 표층지반에 의한 지진동 증폭
2.5.4 고정하중과 활하중
2.6 구조해석
2.6.1 구조해석의 원칙
2.6.2 구조물의 비선형 정적해석
2.6.3 등가 1자유도계에 의한 응답값의 산정
2.6.4 다질점계 모델에 의한 지진응답해석
2.6.5 부재 레벨의 지진응답해석에 의한 응답값의 산정
2.6.6 구조물-지반계에 의한 응답값의 산정
2.7 내진성능평가
2.7.1 건축물의 보유내진성능지표
2.7.2 건축물의 한계변형
2.7.3 부재의 성능과 한계상태
2.8 내진성능 위험도 평가
2.8.1 내진성능의 표시방법
2.8.2 지역지진동의 발생 확률
2.8.3 한계상태의 초과확률
부록 3 일본건축학회 철근콘크리트구조 보유수평내력계산 규준
서문
일본건축학회 서문
역자 서문
1장-총칙
1조-적용범위
2조-용어와 기호
2장-목표 성능
3조-내진성능 목표
4조-보유수평내력 계산의 기본 사항
5조-설계용 지진력
6조-강성분포의 평가
3장-보유수평내력 확인
7조-붕괴형태
8조-필요보유수평내력
9조-보유수평내력
10조-보증설계
4장-재료 및 재료강도
11조-콘크리트의 종류·품질 및 재료
12조-철근의 품질·형상·치수 및 이음
13조-재료정수
14조-재료강도
5장-구조해석
15조-구조해석의 기본사항
16조-구조물의 모델링
6장-부재의 강성·내력과 변형성능
17조-부재의 강성·내력 산정의 원칙 및 조건
18조-보 부재
19조-기둥부재
20조-기둥/보 접합부
21조 벽체 부재
22조-기초부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