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형사소송법의 이해)

김택수 (지은이)
준커뮤니케이션즈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프랑스 형사재판의 구조와 원칙 (형사소송법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각국법
· ISBN : 9791162960622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6-25

목차

제1편 형사소송의 구조 / 1



제1장 형사소송법의 법원(法源) / 2



제1절 헌법성 블록(Bloc de constitutionnalit) / 2

제2절 국제조약(les traits internationaux) / 4

Ⅰ. 국제조약의 법적 위상 / 4

Ⅱ. 유럽평의회의 유럽인권협약 / 5

Ⅲ. 유럽연합의 리스본협약 / 7

제3절 법률(les lois) 및 명령(les rglements) / 9



제2장 법원의 조직과 구성 / 12



제1절 법원의 조직과 권한 / 12

Ⅰ. 사법재판소(Tribunal judiciaire) / 12

Ⅱ. 고등법원(Cour d’appel) / 13

Ⅲ. 광역특별법원(JIRS) / 14

Ⅳ. 조직범죄대처전국법원(JUNALCO) / 14

Ⅴ. 대법원(Cour de Cassation) / 15

제2절 형사법원의 종류 / 18

Ⅰ. 형사보통법원 / 18

1. 경찰법원(Tribunal de police) / 18

2. 경죄법원(Tribunal correctionnel) / 20

3. 중죄보통법원(Cour criminelle) / 22

4. 중죄참심법원(Cour d’assises) / 23

5. 중죄법원의 사건처리 통계 / 28

Ⅱ. 형사특별법원 / 29

1. 미성년자를 위한 법원 / 29

2. 평시 군사법원(les juridictions militaires) / 32

3. 정치법원(les juridictions politiques) / 32



제3장 공소의 제기 / 36



제1절 공소제기의 주체 / 36

Ⅰ. 공소관(검사) / 36

Ⅱ. 행정청(l’administration) / 37

1. 간접세청 / 37

2. 관세청(l’administration des douanes) / 37

3. 물·산림청 / 38

제2절 공소제기의 요건 / 39

Ⅰ. 피해자의 고소(친고죄) / 39

Ⅱ. 행정청의 고소(고발) - 세무행정청에 의한 전속고소제도 / 39

1. 세무행정청의 피해자 지위 / 39

2. 전속고소의 위헌성 논란 / 40

3. 전속고소제도와 불가분의 원칙 / 40

4. 세무행정청의 소송 참여 / 41

제3절 공소권의 소멸 - 공소시효(prescription) / 42

Ⅰ. 개관 / 42

Ⅱ. 공소시효의 기간 및 기산 / 43

Ⅲ. 공소시효의 중단사유 / 44

1. 2017년의 법 개정 이전 / 44

2. 2017년 법 개정 이후 / 45

Ⅳ. 공소시효의 정지사유 / 46

Ⅴ. 국제협약상 공소시효의 배제조항과 국내법 수용문제 / 48

Ⅵ. 우리나라 공소시효 제도의 이해와 개선방안 / 49



제4장 기소대체수단(Les mesures alternatives aux poursuites) / 53



제1절 개관 / 53

제2절 형사합의(composition pnale) / 54

Ⅰ. 형사합의의 분야 / 54

1. 대상범죄 / 54

2. 적용대상 / 55

Ⅱ. 적용조치 / 55

Ⅲ. 절차 / 57

1. 서면에 의한 결정 / 57

2. 변호의 조력 / 58

3. 숙고기간 / 58

4. 사건처리에 대한 선택 및 방향 / 58

5. 수락 이후의 절차 / 58

6. 법원에 의해 승인되지 않는 형사합의 / 58

7. 형사합의 조치의 불발 또는 거부 / 59

8. 손해배상을 받기 위한 피해자의 조치 / 59

9. 형사합의의 집행 / 59

10. 범죄경력서 기록 / 60

제3절 형사상 화해(transaction pnale) / 60

Ⅰ. 공익사법협약(Convention judiciaire d’intrt public: CJIP) / 61

Ⅱ. 시장의 화해 / 61

Ⅲ. 권리수호자의 화해 / 62

제4절 형사조정(mdiation pnale) / 63

Ⅰ. 서론 / 63

Ⅱ. 프랑스 형사조정제도의 개관 / 64

1. 형사조정제도의 도입배경 / 64

2. 형사조정의 절차 / 66

Ⅲ. 형사조정의 효과성 / 74

1. 형사조정의 실효성 확보장치 / 74

2. 프랑스 형사조정제도에 대한 비판 / 77

Ⅳ. 결론 / 79



제5장 공소제기의 방식과 신속심판 절차 / 83



제1절 공소제기 방식의 선택 과정 / 83

Ⅰ. 공소제기 방식의 다원화 연혁 / 83

Ⅱ. 경찰유치 이후의 기소방식 선택 / 84

Ⅲ. 경죄법원의 요구에 의한 기소방식의 선택 / 86

제2절 공소제기의 방식 / 88

Ⅰ. 약식명령(ordonnance pnale) / 88

1. 대상범죄 / 88

2. 요건 / 88

3. 심리절차 / 89

4. 적용 형벌 / 89

5. 고지절차 / 89

6. 불복절차 / 90

7. 피해자의 권리보호 / 91

Ⅱ. 즉시출석(comparution immdiate)심판 / 91

1. 대상 범죄 / 91

2. 요건 / 92

3. 절차 / 92

4. 피해자의 권리보호 / 93

Ⅲ. 조서에 의한 소환(convocation par procs-verbal)심판 / 94

Ⅳ. 별도 기일 출석(comparution dlai diffr)심판 / 95

Ⅴ. 사법경찰관에 의한 소환(convocation par officier de police judiciaire)심판 / 96

Ⅵ. 유죄인정부출석심판(CRPC) / 97

1. 개관 / 97

2. 적용대상 / 97

3. 적용형벌 / 98

4. 승인심리의 절차 / 98

5. 승인명령서의 집행 / 100

6. 승인명령서에 대한 불복 / 100

7. 피해자가 배상을 받기 위한 조치 / 101

Ⅶ. 직접소환(citation directe)심판 / 101

제3절 프랑스 신속처리절차 운용실태 / 102

Ⅰ. 검찰에 접수된 사건 현황 / 102

Ⅱ. 검찰에 의해 처리된 사건 현황 / 102

제4절 경죄사건에 대한 합리적 신속처리절차 도입방안 / 106

Ⅰ. 2006년 신속처리절차 정부안의 개요 / 106

Ⅱ. 우리나라 신속처리절차 운용 실태 / 110

제5절 신속처리절차 합리화를 위한 조건 / 113

Ⅰ. 범죄의 경중에 따른 처리절차의 다변화 / 113

1. 경죄사건과 경미사건의 구분 필요성 / 113

2. 소추방식 및 공판절차의 다변화 추구 / 114

Ⅱ. 피고인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보장 / 116

1.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의 채용 여부 / 116

2. 방어권의 보장과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117

Ⅲ. 결론 / 119



제6장 법원별 공판절차 / 123



제1절 경찰법원 / 123

Ⅰ. 소추방식 / 123

Ⅱ. 통상절차 / 123

Ⅲ. 판결의 종류 / 124

Ⅳ. 피해자의 권리 / 124

Ⅴ. 불복 / 125

제2절 경죄법원 / 125

Ⅰ. 개관 / 125

Ⅱ. 공판전 절차 / 126

Ⅲ. 공판절차 / 126

1. 모두절차 / 126

2. 증거조사 절차 / 128

3. 결심(結審)절차 / 132

4. 평의 및 판결의 선고 / 132

제3절 중죄참심법원 / 134

Ⅰ. 개관 / 134

Ⅱ. 공판준비절차 / 135

1. 광의의 공판준비절차 / 135

2. 협의의 공판준비 절차 / 136

Ⅲ. 공판기일의 절차 / 138

1. 참심원단의 구성 / 138

2. 재판장의 도입보고서(le rapport introductif) 낭독 / 138

3. 피고인신문(l’interrogatoire de l’accus) / 139

4. 조사관의 진술청취(audition) / 140

5. 감정인의 진술청취 / 140

6. 증인의 진술청취 / 140

7. 피해자의 진술청취 / 143

8. 논고 및 최종진술 / 143

9. 변론의 종결선언 / 144

10. 평의 및 평결 / 144

11. 판결의 선고 / 145

제4절 중죄보통법원 / 147



제7장 구제절차 / 151



제1절 구제절차의 개념과 유형 / 151

제2절 통상 구제절차(Les voies de recours ordinaire) / 151

Ⅰ. 항소(l’appel) / 151

1. 중죄법원의 판결에 대한 항소 / 151

2. 경죄법원의 판결에 대한 항소 / 155

3. 경찰법원의 판결에 대한 항소 / 156

Ⅱ. 항변(l’opposition) / 157

1. 개관 / 157

2. 중죄분야의 불출석재판과 항변 / 158

3. 경죄 및 위경죄분야의 불출석재판과 항변 / 158

제3절 특별 구제절차 / 160

Ⅰ. 상고(pourvoi en cassation) / 160

1. 상고이유 / 160

2. 상고심 절차 / 162

Ⅱ. 재심(la rvision) / 163

Ⅲ. 재심사(rxamen) / 163



제2편 형사소송의 원칙 / 167



제1장 기본원칙 / 168



제1절 소송구조론 / 168

Ⅰ. 소송구조론에 대한 이해 / 168

Ⅱ. 당사자주의 모델과 직권주의 모델의 특징 / 169

제2절 형사소송법전 서조(Article prliminaire) / 170

Ⅰ. 개관 / 170

Ⅱ. 형사소송의 기본원칙 / 171

1. 공평한 절차(procs quitable) / 171

2.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법원에 대한 접근(accs un tribunal indpendant et impartial) / 173



제2장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 / 177



제1절 변호인으로부터 조력을 받을 권리 / 177

Ⅰ. 근거 / 177

Ⅱ. 수사상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177

Ⅲ. 대상별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178

1. 피고인이 미성년자인 경우 / 178

2. 피해자/사당사자를 위한 변호인 / 178

3. 피해자 또는 사당사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 179

Ⅳ. 국선변호인 선정절차 / 179

제2절 소송서류에 대한 접근권 / 181

Ⅰ. 수사 및 예심단계에서의 소송서류(dossier)에 대한 열람권 / 181

Ⅱ. 공판절차에서의 소송서류에 대한 열람권 / 184



제3장 부대사소제도와 범죄피해자의 권리 보호 / 190



제1절 부대사소제도의 의의와 법적성격 / 190

제2절 부대사소제도의 이론적 근거 / 192

Ⅰ. 피해자의 이익 / 192

Ⅱ. 사법상의 이익 / 193

Ⅲ. 공익 / 194

제3절 피해자(사당사자)의 소송참가 방식 / 195

Ⅰ. 청구 / 195

Ⅱ. 개입 / 196

제4절 부대사소에 대한 평결과 불복절차 / 198

Ⅰ. 평결 / 198

Ⅱ. 불복장치 / 199



제4장 증거법의 원칙 / 201



제1절 서론 / 201

제2절 증거사용의 허용성 / 202

Ⅰ. 증거자유의 원칙(le principe de la libert de la preuve) / 202

1. 원칙과 한계 / 202

2. 증거조사 절차상의 요건 / 204

Ⅱ. 유형별 증거사용의 허용성 / 207

1. 과학적 증거 / 207

2. 진술증거 / 210

제3절 증거의 배제 / 219

Ⅰ.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 219

1. 함정수사(la provocation policire) / 220

2. 사인이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 / 221

3. 자백 / 223

Ⅱ.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절차(무효절차) / 226

1. 무효절차의 이론적 체계 / 226

2. 무효절차의 절차적 체계 / 227

제4절 결론 / 230



제5장 프랑스 참심재판의 이해 / 234



제1절 프랑스 참심재판의 개혁과정 / 234

Ⅰ. 프랑스 혁명기부터 2011년 개혁 이전 / 234

1. 배심제에서 참심제로의 변화 / 234

2. 순환항소제도의 도입 / 238

Ⅱ. 2011년 참심재판의 개혁 내용 / 240

1. 중죄분야 참심재판의 간소화 / 240

2. 판결이유를 통한 참심재판의 정당성 강화 / 241

Ⅲ. 2021년 중죄법원의 개혁 이후 / 245

1. 유죄판결을 위한 표결수의 변경 / 245

2. 중죄 심판절차의 이원화에 따른 평등권 침해의 논란 / 246

3. 국민참여재판의 개선방안 / 247

제2절 중죄참심법원에서의 증거조사 절차 / 249

Ⅰ. 변론지휘권과 증거조사 / 249

1. 재판장의 변론지휘권과 직권 증거조사 / 249

2. 참심원의 질문권 / 249

3. 재판장의 직권조사 / 250

4. 변론의 순서 / 251

Ⅱ. 공판절차에서의 증거제출 / 252

1. 개관 / 252

2. 검사의 증거제출권 / 253

3. 방어측의 증거제출권 / 253

Ⅲ. 협의의 증거조사 / 254

1. 소송서류의 낭독 또는 열람(communication) / 254

2. 증인 진술조서 및 감정보고서 낭독 / 255

3. 증거물 등의 제시(prsentation)와 대심주의 / 256

4. 증인 진술청취 / 258

5. 증거조사에 대한 불복장치 / 262

제3절 중죄참심법원에서의 평의(dlibration) 및 평결 / 263

Ⅰ. 변론의 종결 및 평의 대상인 질문의 확정 / 263

Ⅱ. 질문의 형식 / 264

Ⅲ. 지시문의 낭독과 공판의 정지 / 267

Ⅳ. 평의의 비밀주의와 구두주의 / 267

Ⅴ. 평결에 적용되는 규칙 / 268

Ⅵ. 형벌에 대한 평의 / 269

제4절 중죄참심법원에서의 사실인정 절차의 구조화 / 270

Ⅰ. 평결대상의 확정과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 / 270

1. 평결의 대상인 질문의 유형 / 270

2. 특별질문과 보조질문의 기능 / 271

3. 범죄사실의 변동에 따른 방어권 보장의 문제 / 273

Ⅱ. 국민참여재판에서의 평결대상의 확정절차 및 합리적 평결방식의 모색 / 275

1. 평결대상의 확정방안 / 275

Ⅲ. 체계적 사실인정의 구체적 방법론 / 278

1. 사실인정 과정의 구조화 필요성 / 278

2. 범죄체계에 따른 구체적 평결방식의 모델 / 279

3. 평결목록을 통한 사실인정의 구조화 / 282

Ⅳ. 종합 / 283





프랑스 형사소송법 법률용어 / 287



색인 / 292

저자소개

김택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찰대학교 법학과 졸업 프랑스 NANCY2 대학교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형사법전공)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상임이사 한국경찰법학회 상임이사 한국형사정책학회 상임이사 전 대구광역시 소청심사위원회 위원 전 경찰청 과학수사자문단 위원 전 경찰청 자체평가 위원 전 대구광역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 위원 현 계명대학교 법학과 교수 저서 행정기관에 의한 수사권 행사(2022) 프랑스 수사·예심제도의 이해(2017)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