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간호 핵심임상 입문서

간호 핵심임상 입문서

(이론과 임상실전 사례를 통해서 알기 쉽게 정리하는)

고정옥 (지은이)
의학서원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000원 -0% 0원
2,400원
45,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4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간호 핵심임상 입문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간호 핵심임상 입문서 (이론과 임상실전 사례를 통해서 알기 쉽게 정리하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참고도서
· ISBN : 9791163080527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3-02-14

책 소개

각각의 술기의 대한 정의, 술기의 종류, 측정방법, 장단점, 기구사용법, 술기를 해야하 는 이유, 임상현장의 포인트 술기, 커피브레이크, 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및 해설, 사례와 술기에 필요 한 의학용어(구용어/신용어), 금지약물 등 순으로 구성한 임상 교재다.

목차

1장 활력징후 측정
Ⅰ. 활력징후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활력징후의 정의
2. 활력징후의 종류
Ⅱ. 체온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체온의 정의
2. 체온 측정 부위
3. 체온 유지기전
4. 정상체온의 범위
5. 체온 측정 부위에 따른 장단점
6. 체온 측정의 이유
7. 체온 변화의 요인
8. 온도의 단위
Ⅲ. 맥박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맥박의 정의
2. 맥박 측정 부위
3. 맥박 측정의 이유
4. 정상맥박의 범위
5. 맥박 측정 시간
6. 맥박 변화의 요인
Ⅳ. 혈압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혈압의 정의
2. 혈압 측정 방법
3. 혈압의 정상범위
4. 혈압 측정 부위
5. 상완동맥의 해부학
6. 혈압측정띠 사용법
7. 혈압측정띠의 의미와 종류
8. 코르코프청진법
9. 청진간극의 개념
10. 혈압변화의 요인
11. 올바른 혈압측정법
12. 혈압계의 종류
Ⅴ. 호흡수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호흡의 정의
2. 정상호흡의 특징
3. 호흡수 측정 시 주의점
4. 호흡수 변화의 요인
활력징후 측정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활력징후 측정 관련 사례

2장 경구투약
Ⅰ. 경구투약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경구투약의 정의
2. 약리작용의 개념
3. 경구투여 약제의 종류
4. 경구투약의 장단점
5. 투약의 기본원칙
6. 경구투약 시 적절한 체위
7. 경구투약 가능여부의 판단
8. 경구투여 약물의 준비와 절차
9. 경구투약 시 흡인예방을 위한 중재
10. 투약처방의 종류
11. 경구투약 시 사용되는 의학용어
12. 소아에게 경구약물 투여 시 고려할 점
13. 노인에게 경구 약물 투여 시 고려할 점
경구투약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경구투약 관련 사례

3장 근육주사
Ⅰ. 근육주사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근육주사의 목적과 효과
2. 근육주사의 정의
3. 근육주사 처방의 이해
4. 앰플과 바이알의 차이
5. 두 종류의 주사액(앰플)을 한 주사기에 혼합
6. 근육주사의 신체 부위
7. 둔부의 복면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
8. 근육주사 부위별 특징
9. 근육주사의 과정
10. 무균적 주사법의 이해
11. 근육주사 시 통증 감소방법
근육주사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근육주사 관련 사례

4장 피하주사
Ⅰ. 피하주사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피하주사의 정의
2. 피하주사의 목적과 적응증
3. 피하주사 부위
6. 두 종류의 인슐린을 혼합하는 과정
7. 피하주사 시 바늘의 선택
Ⅱ. 간이 혈당측정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간이 혈당측정의 정의
2. 간이 혈당측정 시 채혈 부위
3. 간이 혈당측정 과정
4. 정맥 채혈과의 차이점
5. 간이 혈당 측정 시 주의점
6. 혈당검사 결과의 해석
I 피하주사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II 간이 혈당측정 검사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피하주사 관련 사례
간이 혈당측정 검사 관련 사례

5장 피내주사
Ⅰ. 피내주사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3. 피내주사 부위
4. 약물과민성검사의 필요성
5. 약물과민성검사 전 중지 약물
6. 피내검사 시 주의점
피내주사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피내주사 관련 사례

6장 정맥수액주입
Ⅰ. 정맥수액주입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정맥수액주입의 정의
2. 정맥수액주입의 중요성
3. 정맥수액주입의 부작용
4. 적절한 혈관의 선택
5. 혈관이 잘 보이게 하는 방법
6. 혈관확장 방법
7. 카테터 유치의 원리
8. 카테터 잡는 방식
9. 카테터 진입 장애 시 대처법
10. 그 밖의 팁
11. 점적통 내 적절한 수액의 양
12. 수액튜브 내 공기 방울의 처리
13. 정맥 내 공기 방울의 투여 시 위험도
14. 정맥수액주입의 주입속도에 대한 이해
정맥수액주입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정맥수액주입 관련 사례

7장 수혈요법
Ⅰ. 수혈요법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혈액의 기본 생리
2. 혈액제제의 종류
3. 특수 처리된 혈액제제
4. 수혈 시 사용하는 수혈세트
5. 혈액제제의 보관법과 수혈속도
6. 수혈 전 확인 절차
7. 혈액형의 결정원리
8. 혈액형 별 수혈원칙
9. 혈액형을 알 수 없는 경우
10. 수혈 시 발생하는 부작용
11. 혈액제제와 수액제제의 혼합투여
12. 수혈 시작 후 확인 사항
수혈요법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수혈요법 관련 사례

8장 간헐적 위관영양
Ⅰ. 간헐적 위관영양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소화기계의 기본 생리
2. 위관영양의 정의
3. ‘간헐적’이라는 용어의 개념
4. 위관영양의 적응증
5. 삼킴기능의 기본 생리
6. 비위관 삽입 경로의 해부학적 구조
7. 비위관 삽입 요령
8. 비위관 삽입 과정
9. 비위관 고정 시 노하우
10. 비위관 삽입 시 발생하는 합병증
11. 비위관 삽입 후 발생하는 합병증
12. 위관영양액 투여 전 흡인하는 이유
13. 위관영양액 투여 전후로 물을 주입하는 이유
14. 위관영양액 투여 속도
15. 위관 관리
간헐적 위관영양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간헐적 위관영양 관련 사례

9장 단순도뇨
Ⅰ. 단순도뇨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단순도뇨와 유치도뇨의 정의
2. 단순도뇨의 적응증
3. 비뇨계의 구조 및 기능
4. 남성과 여성의 요로
5. 요도 입구 소독 시 주의사항
6. 여성의 경우 소독의 방향
7. 청결간헐도뇨
8. 청결간헐도뇨의 중요성과 방법
9. 청결간헐도뇨 가이드 - 여성
10.청결간헐도뇨 가이드 - 남성
단순도뇨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단순도뇨 관련 사례

10장 유치도뇨
Ⅰ. 유치도뇨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유치도뇨의 적응증
2. 도뇨관 삽입 시 발생하는 합병증
3. 도뇨관 크기의 선택
4. 도뇨관의 종류
5. 유치도뇨의 삽입 깊이
6. 유치도뇨 풍선의 팽창
7. 도뇨관 고정 시 주의사항
8. 유치도뇨의 제거 시기
유치도뇨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유치도뇨 관련 사례

11장 배출관장
Ⅰ. 배출관장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배설에 따른 해부학적 위치
2. 관장의 정의
3. 배출관장의 역사와 오해
4. 배출관장의 의학적 근거
5. 분변매복의 개념
6. 배변의 생리기전
7. 배출관장의 종류에 따른 작용기전
8. 관장에 의한 장 손상
9. 부작용을 주의해야 하는 관장액
10. 관장액 제조 시 적절한 물의 온도
11. 심스체위의 개념
12. 관장액 주입 후 배변까지의 시간
배출관장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배출관장 관련 사례

12장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적용
Ⅰ. 산소포화도 측정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혈액순환을 통한 산소의 이동
2. 산소측정치의 두 가지 단위
3. 산소측정치의 정상범위
4. 맥박산소측정기의 원리
Ⅱ. 심전도모니터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심장의 구조
2. 심근세포의 전기적 활동
3. 심장의 전도과정
4. 심전도의 기계적 원리
5. 심전도의 명칭
6. 표준 12유도 심전도
7. 심전도 모니터의 적용
8. 정상심전도의 이해
9. 비정상리듬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모니터 적용의 성취목표· 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모니터 관련 사례

13장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Ⅰ.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에 대하여 우선 알아 야 할 지식들
1. 산소요법의 적응증
2. 저산소증의 증상
3. FiO2의 개념
4. 산소유량과 FiO2
5. 산소요법의 종류별 장단점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관련 사례

14장 흡인
Ⅰ. 흡인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흡인이 필요한 이유
2. 흡인 시 사용하는 압력과 시간
3. 구강인두, 비강인두 삽입
4. 흡인법
5. 흡인 시 카테터(튜브)의 삽입 길이와 굵기
6. 흡인 시 주의할 점
흡인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흡인 사례

15장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Ⅰ.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심폐소생술 이론의 의학적 근거와 가이드라인
2. 심폐소생술의 법적인 측면
3.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적응증
4. 생존율 향상을 위한 5가지 생존사슬
5. 심폐소생술 기본원리의 변화
6. 기본 심폐소생술 세부내용
7.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8. 가장 중요한 한마디!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의 성취목표·선행지 식과 관련된 문제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관련 사례

16장 통증 관리
Ⅰ. 통증위험요인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통증환자와의 면담법
2. 기본적인 통증 평가 방법
3. 전문적인 통증 평가 방법
Ⅱ. IV-PCA 관리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수술 후 통증관리의 중요성
2. PCA의 개념
3. PCA의 장점
4. PCA의 부작용
5. 통증 조절에 대한 간호사 교육 및 중재의 필요성
6. 배경주입률과 수요량의 개념
7. 공장폐쇄간격의 개념
통증관리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수술 후 간호 관련 사례

17장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 간호
Ⅰ. 욕창위험요인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욕창의 정의
2. 욕창의 발생기전
3. 욕창관리의 중요성
4. 욕창위험도 평가방법
5. 욕창의 단계
6. 욕창 크기의 측정
7. 욕창 예방법
Ⅱ. 낙상위험요인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476
1. 낙상의 정의
2. 낙상 발생률
3. 낙상위험요인
4. 낙상위험도 평가 척도
5. 낙상 예방법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 간호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 련된 문제
입원관리하기 관련 사례

18장 배액관 관리
Ⅰ. 배액관 관리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수술 후 배액관의 필요성
2. 배액관의 종류
3. 배액관 관리의 중요성
4. Y형 거즈의 사용
5. 배액관 관리 시 주의사항
배액관 관리의 성취목표·선행지식과 관련된 문제
배액관 관리 관련 사례

저자소개

고정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Ⅰ. 피하주사에 대하여 우선 알아야 할 지식들
1. 피하주사의 정의
피부는 조직학적으로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이루어져 있 다. ‘피하주사(hypodermic injection)’란 소량의 약을 직접 피부의 일부분인 피하조직 내에 주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4-1]
2. 피하주사의 목적과 적응증
1) 피하주사는 약제를 비교적 느린 속도로 부드럽게 흡수시키고 싶을 경우에 사용한다. 피하주사의 흡 수 속도는 정맥주사의 1/10, 근육주사의 1/2 정도이다. 이것은 피하주사의 평균적인 흡수 속도이며, 주사 부위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있다. 약제의 흡수율은 복부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팔, 다리, 엉덩이 순으로 알려져 있다.
3. 피하주사 부위
피하주사는 피부가 부드럽고 혈관이나 신경이 적으며 피하조직이 두꺼운 부위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그 중에서도 털이 적은 부분이 좋다. 이러한 조건에 잘 맞는 곳은 상완외측이며, 상완외측은 의료인의 접근도 용이하며 가장 흔한 주사 부위이다. 이때 상완을 3등분하여 아래 1/3 지점에 주사하는 것이 요골 신경(radial nerve)을 피할 수 있어 안전하다. [그림 4-2]
4. 피하주사의 과정
▶ ① 피하주사를 시행할 환자의 상지를 노출시킨다. 참고로 본 증례에서는 대상포진(herpes zoster)의 예방백신 접종을 시행하기 위해 피하주사를 시행하였다. 대부분의 백신은 근육주사 (intrmucular injection, IM)로 예방접종을 시행하지만, 이처럼 대상포진 백신은 반드시 피하 (subcutaneous, SQ)로 주사되어야 한다.
▶ ② 접종할 부위를 소독솜을 이용하여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면서(노란 화살표) 가볍게 소독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