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일반
· ISBN : 9791164065721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3-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이 책의 구성 4
이 책은 이렇게 활용하세요! 10
1장 | 부사어 오류
01 ‘별로’는 부정 표현과 함께 써야 해. 12
02 ‘아무리’는 ‘~해도’와 어울리는 부사어야. 14
03 ‘그다지’는 부정 표현과 함께 써야 해. 16
04 ‘좀처럼’은 부정 표현과 함께 써야 해. 18
05 ‘전혀’는 부정 표현과 함께 써야 해. 20
06 ‘결코’는 부정 표현과 함께 써야 해. 22
종합 문제 1 24
2장 | 명사 오류
07 명사만 계속 나열하지 말고 적절하게 조사를 넣어 봐. 28
08 끼리끼리 놀아야지! 나라는 나라끼리, 도시는 도시끼리! 30
09 전반은 후반과 친구, 초반은 종반과 친구야. 32
종합 문제 2 34
3장 | 조사 오류
10 누구의 소유를 나타낼 때는 소유격 조사 ‘의’를 써야 해. 38
11 무생물에게 무언가를 하거나 줄 때는 ‘~에’를 써야 해. 40
12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는 ‘~에’를 써야 해. 42
13 ‘~에게’를 써도 어색하지 않으면 굳이 ‘~에게서’로 쓰지 않아도 돼. 44
종합 문제 3 46
4장 | 누락 오류
14 진솔이에게 지우개를 줬다고? 누가? 50
15 나는 하고 싶지 않다고? 무엇을? 52
16 접속부사를 넣으면 문장들이 서로 자연스러워져. 54
17 서로 반대되는 문장을 연결할 때는 역접의 접속부사를 넣어 봐. 56
18 문장을 끝낼 때는 마침표(.) 찍는 것을 잊지 마. 58
19 마음속으로 생각할 때는 작은따옴표(‘ ’)를 써. 60
20 대화하는 문장을 쓸 때는 큰따옴표(“ ”)를 써. 62
종합 문제 4 64
5장 | 호응 오류
21 ‘~한 이유는’이 주어라면 ‘~하기 위해서다’와 어울려. 68
22 ‘~한 일은’이 주어라면 ‘~한 일이다’와 어울려. 70
23 마카롱은 먹어야 하고 우유는 마셔야겠지? 72
종합 문제 5 74
6장 | 띄어쓰기 오류
24 ‘그럴 수 밖에’가 맞을까, ‘그럴 수밖에’가 맞을까? 78
25 ‘은주처럼’이 맞을까, ‘은주 처럼’이 맞을까? 80
26 ‘-부터’와 ‘-까지’는 앞말과 붙여 쓸까, 띄어 쓸까? 82
27 ‘-켤레’와 ‘-그루’는 앞말과 붙여 쓸까, 띄어 쓸까? 84
28 ‘나랑 같이’가 맞을까, ‘나랑같이’가 맞을까? 86
29 ‘안 읽을까요?’가 맞을까, ‘안읽을까요?’가 맞을까? 88
30 ‘만난지’가 맞을까, ‘만난 지’가 맞을까? 90
31 ‘닥치는 대로’가 맞을까, ‘닥치는대로’가 맞을까? 92
종합 문제 6 94
7장 | 중복 오류
32 하나의 서술어 앞에는 주어도 하나만 나와야 해. 98
33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했다’는 표현이 자연스러워. 100
34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자’는 뜻이 중복된 표현이야. 102
35 ‘동해 바다’와 ‘독도섬’은 뜻이 중복된 표현이야. 104
36 ‘과반수 이상’은 뜻이 중복된 표현이야. 106
종합 문제 7 108
8장 | 높임 오류
37 주어를 높일 때는 ‘께서’라는 조사를 붙여. 112
38 어른의 행동이나 상태를 높일 때는 서술어를 높여야 해. 114
39 어른의 신체 부분이나 소유물, 생각 등을 높일 수도 있어. 116
40 어른과 관련 없는 사물까지 높일 필요는 없어. 118
41 어른에게는 무언가를 ‘주면’ 안 되고, ‘드려야’ 해. 120
42 어른의 ‘이’는 ‘치아’라고 해야지. 122
종합 문제 8 124
9장 | 사동 · 피동 오류
43 ‘소개시키다’와 ‘소개하다’를 정확히 구별해서 써야 해. 128
44 ‘설레이다’가 아니라 ‘설레다’가 맞아. 130
45 ‘덮여진’이 아니라 ‘덮인’이 맞아. 132
46 열차가 도착하는 거지, 도착되는 게 아니야. 134
종합 문제 9 136
10장 | 중의 오류
47 친구가 멋진 걸까, 동생이 멋진 걸까? 140
48 내가 만난 사람은 민기일까, 은호와 민기일까? 142
49 할아버지께서 그리신 그림일까, 할아버지를 그린 그림일까? 144
종합 문제 10 146
11장 | 기타 오류
50 ‘첫째’와 ‘첫 번째’의 차이는 무엇일까? 150
51 글을 쓸 땐 애교부리면 안 돼. 152
52 ‘성대묘사’가 맞을까, ‘성대모사’가 맞을까? 154
53 ‘단추를 꿰다’가 맞을까, ‘끼우다’가 맞을까? 156
54 그냥 자문한 거지, 자문을 얻은 건 아니야. 158
종합 문제 11 160
12장 | 긴 문장 오류
55 ‘의견’과 ‘예시’가 나올 때는 ‘의견’ 뒤에서 한 번 끊어 줘. 164
56 ‘의견’과 ‘이유’가 나올 때는 ‘의견’ 뒤에서 한 번 끊어 줘. 166
57 ‘주장’과 ‘근거’가 나올 때는 ‘주장’ 뒤에서 한 번 끊어 줘. 168
58 ‘근거’와 ‘주장’이 나올 때는 ‘근거’ 뒤에서 한 번 끊어 줘. 170
59 ‘문제 상황’과 ‘해결 방법’이 나올 때는 ‘문제 상황’ 뒤에서 한 번 끊어 줘. 172
60 쉼표들이 많을 때는 2~3개 정도에서 마침표를 찍어 줘. 174
종합 문제 12 176
정답 및 참고 답안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