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MK에디션 시골의 재발견 치유농업

MK에디션 시골의 재발견 치유농업

(지친 도시인들을 위한 힐링 가이드)

김정환, 이윤식, 이진한, 이희조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9,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MK에디션 시골의 재발견 치유농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MK에디션 시골의 재발견 치유농업 (지친 도시인들을 위한 힐링 가이드)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가이드 > 전국여행 가이드북
· ISBN : 979116484683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05-04

책 소개

피로한 도시인들을 위해 전국 주요 ‘힐링 놀이터’를 소개한다. 정부가 추천한 전국 권역별 치유 시설을 엄선해 실었다. 원예, 과수 활동, 해먹 명상부터 동물 교감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치유 시설을 연령대와 가구 환경에 맞게 맛볼 수 있도록 꾸몄다. 치유농업이 고부가가치 농촌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 로드맵도 담았다.

목차

머리말 상처 입은 대한민국을 위해

I장 새로운 농촌자원, 치유농업

1절 팍팍한 생활, 도시인들은 탈출을 원한다
1.각박한 도시 생활 vs 힐링 자원 각광
2.치유농업 강국 유럽, 국가 차원 육성
3.도약하는 웰니스 관광 산업
4.한국, 치유농업 지원…3900억원 경제 효과
5.사는 곳은 도시, 소비는 시골에서…트렌드 변화
6.여가활동 크게 늘어난 씀씀이…77조원 역대 최고

2절 치유농업의 치유 효과
1.물질적 풍요 속 정신은 빈곤…OECD 자살률 1위 현실
2.치유농업 실증 효과…학생 스트레스, 불안감 ‘뚝’
3.발달장애인, 노인 우울증 치유 효과도 ‘쑥’
4.정신 노동자·직업인 치유 효과 쏠쏠

II장 도시인의 힐링 놀이터, 어디 있나

1절 전국 치유농업 지도
1.방방곡곡, 알짜 치유농장 어디 있나

2절 수도권
1.뜰안에힐링팜…원예학원에서 꽃핀 고양 1호 치유농장
2.천연쟁이꽃뜰…발달장애인에게 세상을 보여주다
3.양평치유의숲…선비의 숲에서 느끼는 옛 정취

3절 충청권
1.더자람교육농장…내가 직접 말아 먹는 꽃김밥
2.슬로우파머…10만평 숲에서 자라는 먹거리
3.예산 오색꽃차…직접 만든 메리골드 차로 ‘힐링’
4.예산치유의숲…굴참나무와 반딧불이가 노니는 곳
5.제천치유의숲…퇴계 이황 장수법, 숲테라피로 재탄생

4절 강원권
1.고은원예치료센터…키친가든, 작지만 알찬 나만의 공간
2.장풍이체험학교…곤충 힐링의 백미
3.청태산치유의숲…울창한 잣나무 밑에서 명상
4.대관령치유의숲…백두대간 품에서 힐링

5절 전라권
1.드림뜰힐링팜…원등산 숲에서 느끼는 자연
2.화순 허브뜨락…베르가못의 천국
3.꽃다비팜…백합 농장이 ‘치유 맛집’으로
4.모이라농장…허브와 편백이 춤추는 늘 푸른 치유농장
5.장성숲체원…‘22세기 보존의 숲’에서 치유
6.곡성치유의숲…계곡을 품은 힐링 비경
7.화순치유의 숲…맛 좋은 샘물이 샘솟는 곳
8.고창치유의숲…문수산의 정기가 가득

6절 경상권
1.뜨락…경북 원예 치료의 ‘메카’
2.물사랑교육농장…호수와 산새가 같이 노는 곳
3.선비촌한과…우리 농산물로 치유 한 걸음
4.안단테교육치유농장…폐교 위에 핀 치유의 꽃
5.산림치유원…숲 치유의 모든 것
6.대운산치유의숲…울산·경남 최초 힐링 숲
7.김천치유의숲…사계절마다 변신하는 감성 창고
8.목장053…도심에서 만나는 ‘치유 목장’

7절 제주권
1.환상숲곶자왈공원…제주의 밀림, 늘 푸른 피톤치드 숲
2.제원하늘농원…감귤밭의 속삭임

III장 치유농업, 이제는 산업화다

1절 치유농업, 인구충격 완화 한 축으로
1.노인 인구 1000만명…심해진 인구 지진
2.지방 소멸 위기는 더 크다
3.농촌과 도시 사이 치유농업…생활인구 증대 ‘첨병’
4.*박스 / 한·중·일도 동반 인구 소멸, 경제 최대 변수로 부각

2절 서비스 산업 싹 틔우는 치유농업 192
1.농촌 자원 활용해 관광…31조 농촌 융복합 산업 육성 필요
2.치유농장 대표들이 말하는 산업화 필요성
3.치유농업사 되고 싶다면

저자소개

김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커뮤니케이션학부 연구원을 거쳐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 대학원에서 국가정책학을 공부하고 있다. 2006년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해 증권부, 사회부, 산업부, 경제부 등을 거치며 경제·사회 현장에서 일했다. 현재 경제부 세종팀장으로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경제부처 취재를 담당하고 있다. 2011년 이후 잇달아 농식품부를 출입해 농업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귀농귀촌 정착에서 성공까지’(공저), ‘평범한 그들은 어떻게 돈을 모았을까’ 등 다수 저작이 있다.
펼치기
이윤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2015년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해 부동산부, 정치부, 사회부 법조팀을 거쳤다. 현재 경제부 세종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고용노동부, 해양수산부 등을 취재하고 있다. 매일경제에서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1인 시위·기자회견을 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은 ‘청와대 앞 사람들’과 숙소로 푸는 여행 이야기 ‘비 마이 게스트하우스’를 연재했다.
펼치기
이진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방사선 생명공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해 중소기업부, 사회부, 오피니언부, 경제부를 거치며 정부부처와 산업 현장을 취재했다. 현재 경제부 세종팀에서 국무총리실, 고용노동부, 공정거래위원회,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을 취재하고 있다. ‘북한투자 어떻게 하면 성공할까?’(공저) 등 출간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희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2019년 서울경제신문 사회부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경찰서와 법원을 출입한 후 정치부에서 국회 취재를 맡으며 입법·선거 현장을 누볐다. 2022년 매일경제신문으로 이직한 뒤 경제부 세종팀에서 기획 재정부를 비롯한 주요 경제부처 정책을 취재하고 있다. 1년 반 동안 농림축산식품부를 출입하며 농업·농촌 정책 기사를 다수 써내 농정 현안에 대한 관심이 많다.
펼치기

책속에서

“MZ세대를 중심으로 도시 생활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시골의 분위기를 즐기려는 흐름이 늘고 있는데 이 같은 수요가 치유농업 시장을 키우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요즘 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러스틱 라이프’(rustic life, 소박한 삶이라는 뜻) 트렌드도 비슷한 맥락으로 풀이된다. 러스틱 라이프는 시골 생활을 즐기면서 도시 생활에서 맛볼 수 있는 편리함도 가져가려는 현상이다. ‘5도 2촌’(五都二村, 주중 5일은 도시에서 살고 2일은 시골 세컨드하우스에서 생활하는 것)이나 ‘불멍’(장작불을 피워놓고 멍하니 바라보는 것), ‘논밭 뷰’를 선호하면서도 도시의 문화생활을 놓지 않으려는 욕구가 강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 1장 새로운 농촌자원, 치유농업 중에서 -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내 치유농업 시설은 2020년까지 234곳으로 정체 상태를 보였지만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확산한 2021년 254곳으로 늘더니, 2022년에는 353곳으로 느는 추세다.
산림 자원을 활용한 치유의숲도 늘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전국에 총 48곳 치유의숲이 조성돼 운영되고 있다. 전국 치유농업 시설 가운데 양질의 프로그램으로 치유 효과를 높이는 숨은 치유 농장도 많다.
이번 장에서는 농촌진흥청 치유농장 경진대회에서 수상했거나 문화체육관광부 웰니스 관광지로 선정된 곳, 농촌진흥청과 개별 지방자치단체, 산림청의 추천을 받은 치유농업 시설을 엄선해 소개한다
- 2장 도시인의 힐링 놀이터, 어디 있나 중에서 -


생활 인구를 늘려 지역 소멸을 막아야 할 현실적인 필요성이 커졌다. 여기서 농촌과 도시 사이에 있는 치유농업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질적인 거주지는 대도시권에 있더라도, 치유농업 분야와 같은 새로운 정신·육체 활동을 장려해 국민의 경제 활동 권역을 넓히는 것은 지역 경제와 내수에 활력을 불어넣는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국내에서도 지역 농어촌 발전에 따른 생활 인구 확충 ‘실마리’가 보인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해양 관광 산업 메카로 인기몰이를 한 강원도 양양과 농촌 유학 허브로 부각된 충북 단양이 대표적이다.
- 3장 치유농업, 이제는 산업화다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