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결혼/가족 > 가정의례
· ISBN : 9791164870622
· 쪽수 : 64쪽
· 출판일 : 2021-09-17
책 소개
목차
·첫마디 1
·친인척 등에 대한 호칭 및 관계 4
·직계가계표 9
·직계가계도 13
·조부가계표 15
·조부가계도 18
·증조부가계표 19
·증조부가계도 22
·고조부가계표 23
·고조부가계도 25
·오대조부가계표 26
·오대조부가계도 27
·대(왕)고모가계도 29
·처가계표 31
·처가계도 34
·시가계표 35
·시가계도 37
·친정가계표 38
·친정가계도 40
·처외가계표 41
·외외가계표, 사가계표 42
·처외가계도, 외외가계도, 사가계도 43
·외가계표 44
·외가계도 49
·진외가계표 51
·증외가계표 52
·고외가계표 53
·진외가계도, 증외가계도, 고외가계도 54
·육대조종합가계도(1) 55
·육대조종합가계도(2) 5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가 친인척사이의 호칭과 관계는 중요한 것이다. 뭐라고 불러야 할지 잘 몰라 망설이거나 잘못 부르는 경우가 많고 어떤 관계인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부르는 말은 곳(지방)에 따라 다르긴 하나 거의 같다.
호칭에 있어서 같은 혈족에는 ‘님’을 쓰지 않는 것이 보편적이다. 예를 들면 아들이 아버님, 어머님, 할아버님, 할머님, 아저씨님, 아주머님이라고는 부르지 않고,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라 부른다. 다만 형은 형님, 누나는 누님이라 부르고, 조카는 나이가 많을 경우 조카님이라 부르기도 한다. 며느리는 아버님, 어머님, 할아버님, 할머님, 아주버님이라 부른다. 叔(숙, 아재)은 한 항렬 높은 분의 호칭이며 여인은 남편의 형제(같은 항렬)에 쓴다. 嫂(수, 아지매)는 형제의 처에 대한 호칭으로 반드시 ‘새’자를 붙여 부른다. 즉 새아지매이다.
매형은 누나의 남편(지금은 姉兄(자형)이라 많이 부른다.)부가 아들을 부를 때 어릴 때는 이름을, 성인(어른)이 되고 아이가 생기면 ‘애비’라 부르고 며느리를 보면 ‘새아’라 부르며 아이를 낳으면 ‘애미’라 부른다. 이와 같이 모든 혈족 또는 친, 인척간에는 호칭이 있는데 잘 몰라서 어떻게 불러야 할지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다.
장인, 장모를 아버지(아버님), 어머니(어머님)라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장인어른, 장모님이라 불러야 하고, 동서끼리 형님, 아우라 부르는 것도 잘못된 것으로 동서로 불러야 하며, 맏(손위) 처남을 형님이라 부르는 것 또한 잘못으로 처남이라 불러야 한다.
옛날에는 ‘한 마당에 8촌 난다고’ 했다. 그런데 요즘은 자식을 한 사람도 낳지 않는 사회로 변했다. 여성 한 사람이 생애에 자녀 한 사람도 출산 하지 않는 세상이다.(2020년 0.89명)이렇게 진행된다면 인구가 없어 동네가 없어지고 나라의 존재마저 위태로워지는 미래가 걱정된다.
가족이란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삼대가 기본이고 숙부, 고모, 이모, 사촌 형제 등이 얽혀서 일가친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제는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고모, 이모도 없어서 호칭도 부르지 못하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때를 맞춰서 이 책을 발간하니 정말 소중한 자료가 아니겠나 하는 자부심이 든다.
어느 가정이라도 한 권 쯤은 갖추어야할 책으로 권하고 싶다. 아버님께서 이 책을 쓰신 지가 17년이 되었고, 운명하신지도 13주기가 되었다.
이 원고를 만드는데 애를 쓴 영주, 영건이 두 동생과 같이 아버님 영전에 이 책을 바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