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깨달음

깨달음

(山은 산이요 水는 물이든가)

無住 觀照 (지은이)
한비CO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0원
31,5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0,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깨달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깨달음 (山은 산이요 水는 물이든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64870776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틈틈이 경문과 함께 참선수행하며 화두타파하고 정진하여 단계별 선정삼매를 체득한 것을 기술한 책이다.

목차

제1장-직심을 표현하는 선(禪)어록.

1. 부처님 전에 침을 뱉다. _044
2. 남전화상과 육긍대부. _050
3. 백장야호(百丈野狐) _057
4. 一, 二, 삼구(三句) _069
5. 삼현삼요(三玄 三要) - 禪으로 통찰한다. -_082
6. 마조문하의 서당(西當)과 백장(白丈) _092
7. 궁자(窮子)와 장자(長者). _101
8. 조사선(祖師禪)이 여래선(如來禪)보다 더 수성한가? _107
9. 동정일여(動靜一如) 몽중일여(夢中一如)오매일여(寤寐一如)숙면일여(熟眠一如). _121
10. 금강경(金剛經)의 설법이란? _134

제2장-조사(祖師)들의 견처(見處).

1부 : 임제스님의 안목. _150
1). 불교(佛敎)의 대의가 무엇입니까? _150
2). 호랑이 수염을 뽑다. _152
3). 임제 스님의 견처(見處). _154
4). 호랑이 수염을 뽑는 당돌함. _162
5). 연각(緣覺)승을 깨달은 임제스님. _167
6). 가르침의 정안(正眼)이란? _170
7). 할! 할! 할! 의 안목. _175

2부 : 육조(六祖) 혜능대사의 견처(見處). _180

3부 : 달마대사의 무심(無心)론. _196

제3장-산은 산이요, (山是山) 물은 물이로다.(水是水)

1부 : 조사들의 깨달은 안목과 중도(中道). _220
1). 범부의 육안(肉眼). _224
2). 성문(聲聞)승의 천안(天眼). _229
3). 연각(緣覺)승의 혜안(慧眼). _246
☞ 구지화상의 손가락 하나. _254
4). 보살(菩薩)의 법안(法眼). _257
5). 여래(如來)의 불안(佛眼). _266

2부 :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_284
1).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은 _284
2). 마하반야바라밀다(摩訶般若波羅蜜多)는 _285
3). 금강반야바라밀(金剛般若波羅蜜)은 _287

제4장-禪으로 통찰한 사바세계(娑婆世界).

1부. 禪으로 꿰뚫어보는 사성제 (四聖諦). _290
1). 사성제 (四聖諦)는 사바세계(娑婆世界)이다. _290
2). 괴로움의 세상. 고제(苦諦). _293
3). 괴로움 원인의 세상. 집제(集諦). _295
4). 괴로움 원인을 소멸한 세상. 멸제(滅諦). _298
5). 괴로움 소멸하고 나아간 세상. 도제(道諦). _302
6). 열반(涅槃)의 세계. _307

2부. 禪으로 꿰뚫어보는 소승(小乘)과 대승(大乘) _312
1). ‘경(經)’은 곧 ‘해인(海印)’이다. _312
2). 세존(世尊)의 전법(傳法). _315
3). 수행(修行)으로 체득해야 한다. _319
4). 안목(眼目)은 경계에 따라 열린다. _321
5). 선정삼매(禪定三昧)를 통한 소승(小乘)의 깨달음. _324
6). 선정삼매(禪定三昧)를 통한 대승(大乘)의 깨달음. _336
7). 자등명(自燈明) 법등명(法燈明)하라. _340

제5장-초심(初心)의 입문.

1부. 불교기초용어의 이해. _346
1) 종교(宗敎)란 무엇인가? _347
2) 불교(佛敎)란 무엇인가? _350
3) 불교(佛敎)에 입문하는 방법은? _352
5) 불교(佛敎)를 사상(思想)이라고 말하지 말라. _355
6) 세상만물(世上萬物)과 사생(四生)은? _356
7) 유정물(有情物)의 오온(五蘊)이란? _359
8) 육근(六根)의 형성 _360
9) 육식(六識) 및 칠식(七識)이란? _361

2부. 초심입문과 수행. _364
1) 인생은 고해(苦海)다. _365
2)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_368
3) 세상을 바라보는 눈은? _369
4) 범부는 왜 세상만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가? _372
5) 별업(別業)의 종류는? _373
6) 왜 번뇌(煩惱)가 고해(苦海)가 되는가? _374
7) 세상만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구체적 장애(障碍)는? _375
8) 물질로 형성된 세계(世界)는? _376
9) 세상에 존재하는 물질이란? _377
10) 부처님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_378
11) 보이는 세상과 보이지 않는 세상이 있다고 한다면? _379
12) 수행을 위한 출가란? _380
13) 지식(知識)과 지혜(智慧)란. _381
14) 괴로움을 소멸하고 생사를 해탈(解脫)하려면? _385
15) 지금 범부(凡夫)의 삶은 잘못된 삶이란 말인가? _386
16) 선정삼매(禪定三昧)란? _387
17) 수행하면 번뇌(煩惱)와 망상(妄想)이 동시에 소멸되는가? _388
18) 선정(禪定)수행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_390
가) 세상만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 _390
나) 일상생활 속에서 일체를 수용하는 힘을 길러라. _391
다) 한적한 곳을 찾아 명상(冥想)을 하라. _392
라) 자애(慈愛)명상을 시작하라. _393
마) 도반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곳을 찾아라. _394
바) 적극적인 참선(參禪) 수행을 하라. _394
사) 가능하다면 선지식을 찾아 수행하며 과정을 점검하라. _395
아) 수행에 다음 생을 논하지 말라. _395
19) 욕계(欲界)는 번뇌(煩惱)의 세상. _397
20) 간화선(看話禪)의 화두를 참구해보라. _398
21) 삶이 곧 괴로움의 세상. _401
22) 괴로움을 소멸한 성문(聲聞)승의 세상. _403
23) 더 깊은 선정삼매를 체득하라. _404
24) 비로소 좌선(坐禪)을 할 수가 있다. _405
25) ‘참나’에 의지하지 말라. _406
26) 스스로 해탈(解脫)한 세상. _408
27) 심외무법(心外無法)이다. _411
28) 연각승의 괴로움 소멸. _412
29) 도(道)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_417
30) 환멸연기(還滅緣起)란? _420
31) 괴로움 소멸에 이른 길. _422
32)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의 허물과 수행. _424

3부. 불교 이대로 좋을 것인가? _428
1). 유교나 도교는 어디에 있는가. _428
2). 젊은 사람들의 무관심. _433

저자소개

無住 觀照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누구나 궁극에 추구하는 목표는 잘 알지만 삶에서 적절한 방편을 찾을 수가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범부중생들은 타고난 업장(業障)을 유산삼아 자유와 행복을 찾아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하지만 속절없이 별업(別業)을 쌓아갈 뿐 자유와 행복에 대한 욕망을 쉽게 채울 수가 없음을 깨닫는다. 이러면 행복하겠지 또는 저러면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재물에 집착하고 때로는 권력을 위해 투쟁하거나 명예를 추구하며 부단히 노력하고 적당히 쟁취 하지만 그 때마다 자유와 행복이라는 묘한 것과의 거리는 늘 그만 그만한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왜 그럴까? 하고 스스로 묻는다. 어째서 ???


처음 선정삼매(禪定三昧)를 체득하여 오온(五蘊)의 허물을 조복 받고 동정일여(動靜一如)에 들어 번뇌(煩惱)를 소멸하였으나 육근(六根)의 허물인 망상(妄想)은 조복 받지 못했었다. 망상(妄想)이란 세상만물을 보는 ‘참나’가 있어서 보는 자와 보이는 대상이 뚜렷이 구별되어 망념을 일으켜 자신의 업(식)으로 세상만물을 보게 되고 허상에 집착하여 앞 상 뒤 상이 겹쳐져 비교 분별하게 되는 육근(六根)을 통한 분별의 허물이다.
몽중일여(夢中一如)는 더 깊은 선정삼매(禪定三昧)를 통해 육근(六根)에 물들어 가는 망상(妄想)이라는 허물이 꿈속에서의 삶과 같이 실상이 아닌 것을 통찰하게 되는 안목이다. 제법(諸法)에 집착하고 매달려 애쓰는 것이 허망한 일임을 체득하게 되어 제법(諸法)에 물들지 않게 되므로 언제나 한결같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을 만나서 착하다. 선하다. 정직하다. 악하다. 고약하다. 불같다. 차분하다. 등 그 사람의 성격을 보고 분별하며 판단하는 기준이라면 번뇌(煩惱)와 망상(妄想)으로 형성된 그 사람의 별업(別業) 즉, 말하고 행동하며 뜻하는 바를
보며 평가를 한 것이다.
별업(別業)으로 형성된 육체와 정신을 선정삼매(禪定三昧)를 통해 통찰해보면 지(地) 수(水) 화(火) 풍(風)에 의해 육체가 형성되고 느낌과 생각과 지어감과 의식작용으로 정신이 형성되지만 육체와 정신이 나뉘어져 있지 않음을 알수가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