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64871728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5-10-27
책 소개
목차
{제1장 벌침(봉침) 요법]}
∎제1절 벌침 요법의 기초 지식
1. 한국의 벌침과 봉료법 역사 32
2. 외국의 벌침과 봉료법 역사 36
3. 한국 양봉의 역사 38
4. 서양종 벌 한국 양봉 발전에 기여하신 분들 45
∎제2절 벌침 요법=봉침(蜂針) 요법=Apitherapy
1. 벌침(봉침) 요법이란? 49
2. 벌침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절대 필요하다! 51
3. 세계보건기구가 장려하는 벌침 요법 53
4. 벌침의 구조 56
5. 벌침액의 주요 성분과 약리 작용 58
6. 벌침의 작용 원리와 효능 61
7. 왜? 벌침이 만병통치인 양 생각 하는 이유는? 65
∎제3절 벌침의 실전
1. 벌침을 위한 도구와 준비물 66
2. 벌침 놓는 방법 70
3. 벌침 알레르기 테스트하는 법 73
4. 벌침을 맞고 나타나는 피부 반응 75
5. 벌침 맞으면 아야!! 소리 지르는 벌독의 화학 반응 77
6. 벌침 과량으로 인한 증상과 대처법 79
7. 벌침의 위력과 성능의 차이점 81
8. 벌침 이상 반응 시 응급처치법 필독!! 83
9. 알기 쉽게 벌침 놓을 곳을 구별하기 85
10. 벌침 시 꼭! 주의해야 할 점과 참고할 사항 87
11. 벌침 놓을 때 주의해야 할 사람 90
12. 벌침 놓는 방법에 따른 치유 효과 92
13. 벌침 마릿수와 유침 시간과 기간 94
14. 벌침 혈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골도법) 98
15. 벌침 혈자리 처방법 101
16. 아시혈(阿是穴) 이야기 103
17. 무병장수 혈자리로 건강 관리하기 104
18. 벌침용 생벌 4계절 관리법 107
19. 벌침 요법과 겸하면 좋은 부항 사혈 요법과 괄사 요법 109
20. 북한의 벌침 중독 자료 112
21. 남성기 벌침 이야기 115
{제2장 병증별 치료 처방(病症別 治療 處方)}
1. 호흡기계질환(呼吸器系疾患) 120
2. 순환기계질환(循環期系疾患) 121
3. 소화기계질환(消化器系疾患) 123
4. 비뇨기계질환(泌尿器系疾患) 126
5. 신진대사질환(新陳代謝疾患) 130
6. 신경계질환(神經系疾患) 131
7. 부인과질환(婦人科疾患) 137
8. 운동계질환(運動系疾患) 138
9. 소아과질환(小兒科疾患) 140
10. 안과질환(眼科疾患) 142
11. 이비인후과질환(耳鼻咽喉科疾患) 144
12. 피부(皮膚) 및 기타 질환(其他 疾患) 146
{제3장 질병 증상별 벌침 혈자리}
∎제1절 내과 질병
1. 감기 150
2. 기침 152
3. 기관지 천식 153
4. 급, 만성 기관지염 154
5. 급성 폐렴 155
6. 구토 156
7. 딸꾹질 157
8. 급, 만성 설사 158
9. 위염 159
10. 복통(배 아픔) 160
11. 변비 161
12. 황달=간염 162
13. 어지럼증 163
14. 두통 164
15. 고혈압 165
16. 저혈압 166
17. 협심증(심근경색) 167
18. 심계(가슴 두근거림) 168
19. 불면증 169
20. 중풍 170
21. 당뇨병 172
22. 갑상샘 기능 항진증 173
23. 비만증 174
24. 통풍(고요산혈증) 175
25. 전광증(정신분열증) 176
∎제2절 외과 질병
1. 기운목(사경) 177
2. 관절염좌 178
3. 손목관절 증후군 179
4. 건초염 180
5. 다발성 신경염 181
6. 류머티즘성 관절염 182
7. 요통(허리 아픔) 183
8. 좌골신경통 184
9. 늑간신경통(옆구리 아픔) 185
10. 오십견 186
11. 삼차신경통 187
12. 구안와사(얼굴 신경 마비) 188
13. 림프샘 결핵 189
14. 치질 190
∎제3절 비뇨 성기 질병
1. 소변 장애 191
2. 방광염(요도염) 192
3. 유뇨증 194
4. 콩팥 및 요로결석 195
5. 고환염 196
6. 전립선염 197
7. 발기부전(음위증) 198
8. 불임증 199
∎제4절 산부인과 질병
1. 월경통 200
2. 월경 불순 201
3. 무월경 203
4. 대하증 204
5. 산후 복통 205
∎제5절 피부병
1. 두드러기 206
2. 단독 207
3. 습진 208
4. 신경성 피부염 209
5. 대상포진 210
6. 탈모증 211
∎제6절 이비인후과 질병
1. 치통 212
2, 인후두염 213
3. 편도선염 214
4. 근시 215
5. 녹내장 216
6. 결막염 217
7. 이명과 난청 218
8. 중이염 219
9. 메니에르병(내이성 어지럼병) 220
10. 비염 221
{제4장 봉산물 요법(蜂産物療法)}
∎제1절 벌꿀(蜂蜜) Honey
1. 벌꿀 224
2. 벌꿀의 영양성분과 기능 226
3. 벌꿀의 보관과 활용과 감별법 229
4. 각종 질병에 벌꿀을 이용한 북한의 민간요법들 232
5. 벌꿀을 이용한 각종 활용법 236
∎제2절 로얄제리(蜂王乳) Royaljelly
1. 로얄제리 238
2. 로얄제리의 영양성분과 기능 239
3. 로얄제리 보관과 복용 240
4. 로얄제리의 미용법 242
∎제3절 프로폴리스(蜂膠) Propolis
1. 프로폴리스 244
2. 프로폴리스의 영양성분과 기능 245
3. 프로폴리스의 활용 246
4. 봉교 채집과 가공 방법 247
5. 프로폴리스의 복용 248
6. 생활 속의 프로폴리스 활용법 248
∎제4절 벌화분(蜂花粉) Beepollen
1. 벌화분 250
2 벌화분의 영양성분과 기능 251
3. 벌화분의 채취와 복용 254
4. 화분 미용법 256
∎제5절 벌유충(蜂蛹虫, 蜂子, 蜂兒) Beelarva
1. 벌유충 257
2. 벌유층의 영양 성분과 기능 258
3. 벌유충의 보관과 활용 260
∎제6절 밀랍(蜜蠟) Beewax
1. 밀랍 262
2. 밀랍의 영양성분과 기능 263
3. 밀랍의 보관과 활용 264
∎제7절 벌집(蜂巢) Honeycomb
1. 벌집 269
2. 벌집의 영양 성분과 기능 270
3. 벌집의 보관과 활용 271
∎제8절 말벌(胡蜂) Vespa
1. 말벌 272
2. 말벌 피해 방지 및 방제 273
3. 말벌침에 쏘임 중상 274
4. 응급처치법 및 준비물 275
5. 말벌독의 이용 276
6. 장수말벌침 체험담 281
{제5장 경혈도와 경외기혈}
제1절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11혈 284
제2절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20혈 287
제3절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45혈 290
제4절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21혈 296
제5절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9혈 299
제6절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19혈 302
제7절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67혈 305
제8절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27혈 313
제9절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9혈 315
제10절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23혈 318
제11절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44혈 322
제12절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14혈 326
제13절 독맥경(督脈) 28혈 329
제14절 임맥경(任脈) 24혈 333
제15절 경외기혈(經外奇穴) 1 337
제16절 경외기혈(經外奇穴) 2 338
{제6장 외국의 벌침 요법}
제1절 근대 벌침 요법의 아버지 '필립 텔크' 박사 340
제2절 필립 텔크 박사의 강연문 342
{제7장 체험담(치유사례)}
∎제1절 벌꿀 384
•얼굴 피부 미용 •상호흡도 위축성질병과 비염 치유 •신체 조직의 재생을 촉진 •추위 예방에 최고의 식품!
∎제2절 로얄제리 388
•간염을 치유 •간경화, 복수, 비종대를 치유 •신경쇠약, 불면증, 건망증을 치유 •정신병을 치유 •당뇨병을 치유 •암을 극복 •월경불순을 치유
∎제3절 프로폴리스 397
•고혈압과 고혈지증을 치유 •구강궤양을 치유 •위, 십이지장궤양 치유
∎제4절 벌화분 401
•변비 •간염 •철분결핍성 빈혈 •알레르기 피부염 •천포창. •부녀자의 갱년기 종합증 •여드름과 황갈반 치유 •복용으로 전립선염 치유.
∎제5절 노소비 411
•비염 •각종 간염을 치료
∎제6절 봉용충, 밀립, 기타 414
•여왕벌 유충주로 설사와 이질 •여왕벌 유충으로 천식 치유 •밀랍으로 뜨거운 물에 데였을 때 치유
[부록]
1. 봉산물 오행도 418
2. 오행변증표 419
3. 신석기시대의 채밀 모습 420
4. 아피몬디아=Apimondia=국제양봉가협회연맹 421
5. 벌침은 신이 주신 주사약!!! 423
6. 양봉과 봉산물 관련 유용한 사이트 425
7. 다음 카페 “벌침과 봉료법 426
∎[참고 문헌] 427
∎“알려드립니다” 429
책속에서
특히 양의사나 한의사들이 참조하여 공부하고 있는 봉독 주사를 놓기 위한 책자로는 1992년 외과의사 김문호 박사의 ‘봉독 요법과 봉침요법’, 2003년 경희대 한의대 교수 고형준, 권기록, 안창식 박사의 ‘봉독 약침 요법’, 2004년 신용승 한의사의 ‘도해임상 봉약침 요법’, 2012년 서용석, 정현정 한의사의 ‘실전 임상 증량식 봉침 요법’ 책자도 나와 있다.
지금까지 이렇게 수많은 책자가 나와 있지만, 실제로 건강 관리에 활용하기에는 한정된 자료와 정보로서는 부족함이 많지만, 특히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는 왜곡된 정보와 자료들이 범람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심히 염려하면서 이번에 누구라도 알기 쉽게 벌침과 봉료법 공부에 도움이 되시도록 『신이 주신 선물, 꿀벌 건강법』 책자를 통해 알려드리고 싶은 마음 간절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벌침을 처음으로 접해 보는 경우 우선 선입견으로 벌에 쏘여서 아픈 고통과 두려움이나 공포로 무서움을 느끼는 현상이 지배적이다.
일부인들의 벌침 체험담이나 경험담을 들어 보면 흔히 ‘돌팔이가 사람 잡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이제 조금 벌침을 공부했다고 벌침 도사인 양 행세하면서 벌침을 놔 주는 사람들도 많이 보아 왔을 것이다.
비록 무료로 벌침을 놔 주더라도 국내법에는 무면허 불법 의료 행위에 해당하니 무료 봉사를 하더라도 삼가길 바란다.
벌침 요법은 특성상 아시혈 요법이라고 생각하고 외과적 질병은 압통점 위주로 놓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과적 질병은 침구 치료법과 마찬가지로 질병의 발생 원인과 그 병리 기전에 근거하여 변증하고 혈자리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많이 있지만 이것은 충분한 시간과 노력으로 본인이 직접 공부를 하거나 각종 침구 임상 서적을 통하여 각 질병과 관계된 주용혈과 배합혈을 활용하여 병명별 벌침 혈자리를 선택하여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좀 더 심도 있고 다양한 질병과 암이나 희귀병, 불치병, 난치병 같은 전문적인 자료와 임상에 관해서는 인터넷 다음 카페 ‘벌침과 봉료법 (https://cafe.daum.net/yingyangbee)’ 카페에 가입하셔서 카페에 있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각종 자료와 임상 사례 자료들을 통해 병증별 치료법, 비방 치료법 등등을 참조하여 공부하여 실력을 갖추기를 바란다.
또 도움이 필요하면 필자에게 전화로 문의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도움을 받기를 바라며 간혹 다음 카페 ‘벌침과 봉료법’에 공지글로 카페 정모나 교육 모임 시 참석하여 각종 궁금증을 해소해 도움이 되시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