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91165340605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0-02-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당신의 아이는 ‘지금’ 행복한가요? 8
1장 내 아이에게 사랑을 주는 법
‘기준’이 달라지면 ‘평가’도 달라집니다 인정하기 15
말 듣지 않는 아이를 바꾸는 작은 비법 자기 결정권 주기 19
아이는 잘못을 알고 있습니다 침묵하기 22
아이의 문제는 시간이 해결해줍니다 기다려주기 25
습관이라는 씨앗을 심어주세요 안아주기 29
아빠의 큰 사랑을 전해주세요 지혜롭기 33
아이가 부모에게 바라는 것 바라보기 36
당신은 좋은 엄마입니다 죄책감 벗어나기 39
아이의 친구문제는 ‘들어주세요’ 위로해주기 44
넘치는 것보다는 부족한 것이 낫습니다 내려놓기 47
아이가 ‘최우선’임을 느끼게 해주세요 아빠의 역할 50
마음으로 주는 선물 정서적 보살핌 54
사랑의 다른 표현 방식 표현하기 58
당신이 행복하면 좋겠습니다 엄마가 행복하기 61
2장 내 아이에게 행복을 주는 법
동심에 발맞춰주세요 작은 추억 만들기 67
아이에게는 틈이 필요합니다 마음껏 놀게 하기 72
세상 모든 것이 아이의 장난감입니다 호기심 채워주기 77
혼자서도 잘 하는 아이를 만드는 법 독립심 길러주기 82
아이의 기준을 인정해주세요 다름을 인정하기 87
엄마와 친한 아이 만들기 들어주기 91
아프게 기억하는 것들 1 믿어주기 1 95
아프게 기억하는 것들 2 믿어주기 2 98
‘통제’에 대한 오해 존중하기 101
받아쓰기 빵점을 받았습니다 회복탄력성 길러주기 104
아이에게 오늘을 선물하세요 지금 행복하기 111
아이가 부모의 경험을 통해서 배우는 것 공유하기 114
아이가 느끼는 행복의 척도 웃게하기 119
함께 양육하는 사회 같이의 가치 122
아이가 내게 배웠으면 하는 것 행복의 가치관 125
눈빛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엄마의 시선 127
아이가 기다리는 말 사과하기 130
3장 내 아이에게 미래를 주는 법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 미래의 교육 139
‘꿈 교육’이 필요한 이유 꿈 심어주기 148
현명한 사교육 소비가 필요합니다 사교육 157
아이에게 책이 필요한 이유 독서교육 162
생텍쥐페리의 교육철학 교육철학 169
질문하는 아이로 키워주세요 질문을 경청하기 172
아이와 함께하는 신종 하브루타 토론하기 176
‘공부’란 무엇인가? 노력하기 180
아이 스스로 시작하는 공부 행복교육 183
책육아를 시작하는 엄마들에게 책육아 도전하기 189
책 읽는 기쁨을 선물하세요 무릎에서 읽어주기 192
“나는 청소부가 꿈이야” 적성 196
꾸준한 육아의 힘 우공이산 200
친구의 비밀병기 행복한 책읽기 202
베포가 모모에게 하는 말 책육아 실천하기 206
긍정적인 말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긍정하기 209
아이는 믿는 만큼 자랍니다 다양성 존중하기 212
네모난 세상, 네모난 아이들 맞춤교육 216
당신이 가는 곳이 길입니다 교육방향 22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내가 주는 100%의 애정이 아이에게도 100%로 받아들여지는 게 아니라는 것, 때로는 내가 주는 애정이 ‘잘못된 애정’일 수도 있다는 것을 10여년 만에 깨달은 저는 참으로 못난 엄마입니다. 식물을 잘 키우려면 식물에게 충분한 양의 물은 필수지만, 너무 과도한 물은 뿌리를 썩게 한다는 것과 식물에 따라 적은 양의 물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자식 또한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내 자식에게 알맞은 ‘적절한’ 사랑을 주고 있는지, 때때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에게 ‘물질적인 보살핌’을 제공한다는 명목 아래, 아이에게 정말 필요한 ‘정서적인 보살핌’은 뒤로 조금씩 밀려나고 있는 건 아닌지, 바쁜 발걸음을 멈춰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비극은 인생이 짧다는 것이 아니라,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너무 늦게 깨닫는다는 것이다.”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우리 모두 내 아이에게 정말 중요한 게 무엇인지 너무 늦게 깨닫지 않기를 바랍니다.
제가 생각하는 건강한 부모의 역할이란 이렇습니다. 스스로 설 수 없는 미숙한 어린아이를,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잘 키워 출발선에 세워 주는 것. 그리고 부모의 개입은 최소화하고, 아이가 스스로 원하는 결승선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레인 밖’에서 열심히 응원하며 묵묵히 기다려주는 것, 부모의 역할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거기까지인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