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65370800
· 쪽수 : 93쪽
· 출판일 : 2021-01-05
책 소개
목차
0/Ⅰ. 정음
어제서문 12
어제예의 14
■ 초성자 14
■ 중성자 19
■ 이어쓰기 22
■ 나라히쓰기 22
■ 붙여쓰기 23
■ 음절단위 모아쓰기 23
■ 점찍기 24
0/2. 정음해례
제자해 26
■ 1천지만물의 원리 26
■ 말소리와 음양의 원리26
■ 초성17자의 제자 원리28
■ 오음으로 본 초성자: 음양, 오해의 방위 29
■ 청탁으로 본 초성지 32
■ 전탁자의 특성 34
■ 순경음 글자의 특성 34
■ 중성11자의 제자 원리 36
■ 초출자와 재출자 39
■ 중성자와 음양오행 42
■ 중성과 초성의 대비 45
■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 47
■ 천지만물의 원리를 담은 문자 48
초성해 50
■ 초성의 개념 50
■ 초성자의 실제 50
중성해 53
■ 중성의개념 53
■ 중서자의실제 53
■ 중성자의 항요 54
■ 상합 중성자 55
종성해 57
■ 종성의 개념 57
■ 종성자의 실제 57
■ 성조와 종성의 관계58
■ 8종성의 표기 59
■ 오음에서 느림과 빠름의 대립 61
■ 반설은(반혓소리)글자 ㄹ과 설음(헛소리)글자 ㄷ 62
합자해 64
■ 성자법 64
■ 초성자, 중성자, 종성자의 위치 64
■ 초성자의 합용 66
■ 중성자의 합용 67
■ 합용의 방법 67
■ 한자와 훈민정음의 혼용 표기 68
■ 고유어의 성조 69
■ 입성 70
■ 성조와 천지만물의 원리 70
■ 초성자 ㅎ의 o의 통용 71
■ 반설경음(반혀가벼운소리)의 표기 71
■ l 와 ’.ㅣ 와_ 의 합용 72
용자례
■ 초성자의 용례 74
■ 중성자의 용례 74
■ 종성자의 용례 79
■ 정인지 서문 81
■ 전지자연의 소리와 문자 81
■ 풍토에 따라 다른 소리와 문자 81
■ 중국어와 다른 우리말, 그리고 한자 82
■ 우리말을 온전히 담지 못하는 설총의 이두 83
■ 새 문자의 창제와 우수성 83
■ 새 문자의 효용 84
■ 해례본의 편찬 동기와 편찬자 85
■ 창제자의 위대함 86
■ 해례본의 간행일과 글쓴이 정인지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