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65862732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1-04-20
책 소개
목차
서문 5
I. 공공 공간의 의미 11
1. 근대 도시의 이상과 현실 13
2. 실천된 장소로서의 도시 공간 17
3. 걸으며 도시를 경험하다 28
II. 탑골공원의 탄생과 의미경합의 역사 37
1. 근대도시 건설과 공원: 황성(皇城)건설과 탑골공원 40
2. 식민지 환경과 공간 재현의 경합: ‘성지’ 다시 돌아보기 55
3. 도시공간과 국민주체 만들기: 국가, 민족, 개발의 삼중주 77
III. 도시공간의 배제논리와 탑골공원 97
1. ‘노인의 전당’속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들 100
(1) ‘탑골공원 할아버지’와 공원의 전유 100
(2)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들: 보이지 않는 것에서 보이는 것으로 132
2. ‘성지’ 재창출과 공공 공간에 부여된 위상의 폭력 142
(1) 시 정부의 성역화 계획 143
(2) 조경전문가의 개입 150
3. 도덕의 공간화에 대한 기록 173
(1) 법의 그림자: 도덕적 규칙들과 사적 통제들 174
(2) 공원 경계의 구성 192
IV. 도심공간의 분화와 전유 201
1. 탑골공원의 변이들: 배제된 것, 남은 것, 새로운 것, 옮겨간 것 204
(1) 탑골공원: ‘박제된’ 공원 204
(2) 종묘공원: ‘재미’를 찾아서 225
(3) 종로3가: 흐르는 저항 240
2. 공공 공간의 기로(岐路) 242
(1) 재진입의 시도 243
(2) 위상의 변주 246
V. 결론 251
【참고문헌】 262
【찾아보기】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