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5878573
· 쪽수 : 1018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Ⅰ. 서론
1. 연구 목표와 연구 방향
2. 18세기 정치·사회 변동에 대한 비판적 이해
3. 연구 방법과 진행 절차
Ⅱ. 18세기의 성격과 시가사 이해의 방향
Ⅱ-1. 18세기 사회 성격의 변화
1. 존주의 의리와 경복궁 중건 논의 과정
2. 환국에서 탕평으로의 국면 전환과 그 이면
3. 경화세족 중심 사회의 특성과 문제점
4. 위항 중인의 성장과 절절의 의리
5. 천주당 관람을 통한 인식의 전환
Ⅱ-2. 18세기 시가사 이해의 방향
1. 정치 국면의 변화와 노래의 반응
2. 가집을 통한 기준과 규범의 확립
3. 민요의 본질에 대한 인식과 수용과 채시
4. 노래의 지역 전파와 노래 레퍼토리의 선별
5. 작품의 의미 강화와 정치의 득실에 활용
6. 아회와 시사를 통한 정서의 집단 향유
7. 소품 지향의 의미와 악부를 통한 현실 반영
Ⅲ. 17세기 시가 향유의 지속과 영향
1. 풍간풍류의 성격과 17세기에서 18세기로의 전환
2. 한역을 통한 전승의 변화와 공간 환기와 기억 확장
3. 연행과 동사의 노래 레퍼토리
4. 가기에서 가객 또는 가자로
5. 고조와 금조의 갈림과 금사·금객의 역할
Ⅳ. 18세기 시가 향유의 양상
Ⅳ-1. 시가사 흐름의 이해와 관련하여
1. 논농사 노래의 실상과 <산유화가>의 전파
2. 신번과 신성의 노래와 곡조의 변화
3. 공간 환기와 시가 향유의 양상
4. 시가 작품의 등장인물과 현실 반응
Ⅳ-2. 가집 편찬과 시가사의 관심 사항
1. 『청구영언』(1728) 편찬의 도움과 가집의 위상
2. 『청구영언』(장서각본)의 성격
3. 『해동가요』의 편찬 과정과 작품 수록의 차이
4. 『청구가요』와 가객 작가
5. 이한진 편 『청구영언』과 악하풍류
6. 『고금가곡』의 성격
7. 『병와가곡집』의 특성
Ⅳ-3. 가문 중심의 시가 향유 양상
1. 연안이씨 문화의 특성
2. 의령남씨 집안의 가곡 향유
3. 조명리의 노래와 김광욱·김성최 풍류의 전승
4. 이진유–이광명·이광사–이긍익·이영익의 시가 향유
Ⅳ-4. 정서 공감의 교유와 시가 향유
1. 이형상과 이만부의 교유와 악부와 가곡 논의
2. 신유한과 최성대의 만남과 시적 정서 교류
3. 풍류 악인의 시가 향유
4. 여항 예인과의 교유
Ⅳ-5. 주요 인물들의 시가 활동
1. 신광수의 가유 여정
2. 위백규의 향촌 시가 활동
3. 이유의 <자규삼첩>과 금가 풍류
4. 김인겸의 <일동장유가>
5. 김익이 향유한 시가 범주
Ⅴ. 18세기 시가사의 새로운 변화 양상
1. 문답 시가를 통한 주체적 태도 표현
2. 천주학에 대한 믿음과 배척
3. <백화당가>의 실상과 정치의 뒷마당
4. 마성린의 가우 교유와 시조 한역
5. 염곡에 대한 새로운 주목과 그 양상
6. 노래를 그림과 함께 향유하기
7. 우리말 노래 선언과 유득공의 <동인지가>
8. 서양금과 풍금을 통해 본 새로운 음악 세계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18세기 시가사 연표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