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5급 기본강의 헌법

5급 기본강의 헌법

(5급공채.국립외교원.입법고시.지역인재 대비, 제6판)

김유향 (지은이)
윌비스(미래와사람 한림법학원)
4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3개 1,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5급 기본강의 헌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5급 기본강의 헌법 (5급공채.국립외교원.입법고시.지역인재 대비, 제6판)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법학 > 헌법
· ISBN : 9791166181474
· 쪽수 : 735쪽
· 출판일 : 2021-05-21

책 소개

제5판에서는 헌법재판소의 중요결정 뿐만 아니라 2020년 4월 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선고된 헌법재판소 결정 및 대법원 판례 중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정리.반영하였다. 헌법학계의 논의, 헌법재판소 결정 및 대법원 판례 등을 반영하여 내용을 수정.보완.추가하였다.

목차

제6판 머리말 / ⅰ
제5판 머리말 / ⅹ
제4판 머리말 / ⅹⅳ
제2판 머리말 / ⅹⅴⅱ
초 판 머리말 / ⅹⅰⅹ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과 헌법학
제1절 헌법의 의의와 헌법의 분류 2
Ⅰ.헌법의 의의 / 2
Ⅱ.헌법의 분류 / 2
제2절 헌법의 특성 4
Ⅰ.헌법의 규범적 특성 / 4
Ⅱ.헌법의 사실적 특성 / 4
제3절 헌법의 해석 5
Ⅰ.헌법해석의 원칙 / 5
Ⅱ.합헌적 법률해석 / 5
제4절 헌법의 제정 8
Ⅰ.헌법제정의 의의 / 8
Ⅱ.헌법제정권력 / 8
제5절 헌법의 개정 9
Ⅰ.헌법개정의 의의와 필요성 / 9
Ⅱ.헌법개정의 절차 / 9
Ⅲ.헌법개정의 한계 / 10
제6절 헌법의 수호 12
Ⅰ.헌법수호의 의의 / 12
Ⅱ.헌법의 수호자 / 12
Ⅲ.저항권 / 12
Ⅳ.방어적 민주주의 / 14
제2장 대한민국헌법총설
제1절 한국헌법의 개정 16
제2절 헌법의 적용범위 21
Ⅰ.국 적 / 21
Ⅱ.재외국민의 보호 / 30
Ⅲ.영 역 / 33
제3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37
Ⅰ.국가형태의 분류 / 37
Ⅱ.대한민국의 국가형태 / 37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원리 38
제1항 한국헌법의 前文 38
Ⅰ.헌법전문의 의의 / 38
Ⅱ.헌법전문의 규범적 효력 / 39
Ⅲ.헌법전문의 내용 / 40
제2항 국민주권의 원리 41
Ⅰ.국민주권원리의 개념 / 41
Ⅱ.국민주권원리를 이해하는 세 가지 방식 / 41
Ⅲ.우리 헌법상 실질적 국민주권의 구현 / 43
제3항 민주주의의 원리 44
Ⅰ.민주주의의 개념 / 44
Ⅱ.민주주의원리의 내용 / 44
제4항 법치국가의 원리 46
Ⅰ.법치국가원리의 의의 / 46
Ⅱ.법치국가원리의 이론적 전개 / 46
Ⅲ.현행 헌법과 법치국가의 원리 / 46
Ⅳ.법치국가원리와 신뢰의 보호 / 49
제5항 사회국가의 원리 59
Ⅰ.사회국가원리의 의의와 수용 / 59
Ⅱ.사회국가원리의 내용 / 59
Ⅲ.사회국가원리의 한계 / 60
Ⅳ.한국 헌법에서의 사회국가원리의 구현 / 60
제6항 문화국가의 원리 66
Ⅰ.문화국가의 개념 / 66
Ⅱ.문화국가의 내용 / 66
Ⅲ.우리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현 / 66
제7항 국제평화주의 69
Ⅰ.침략전쟁의 부인 / 69
Ⅱ.평화적 통일의 지향 / 69
Ⅲ.외국인의 법적 지위의 보장 / 70
Ⅳ.국제법존중주의 / 70

제2편 기본권
제1장 기본권총론
제1절 기본권보장의 역사 76
Ⅰ.인권과 기본권의 개념 / 76
Ⅱ.각국의 기본권보장역사 / 76
Ⅲ.기본권보장의 현대적 전개 / 77
제2절 기본권의 성격 78
Ⅰ.기본권의 이중적 성격 / 78
Ⅱ.제도적 보장과 기본권보장 / 78
제3절 기본권의 주체 79
Ⅰ.기본권능력과 기본권행사능력 / 79
Ⅱ.자연인 / 79
Ⅲ.법인 기타 단체 / 81
제4절 기본권의 효력 85
Ⅰ.개 념 / 85
Ⅱ.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 / 85
Ⅲ.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 / 85
제5절 기본권의 보호의무 87
Ⅰ.기본권보호의무의 의의 / 87
Ⅱ.기본권보호의무의 헌법적 근거 / 87
Ⅲ.기본권보호의무의 발생요건 / 87
Ⅳ.보호의무 이행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 87
Ⅴ.기본권보호의무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 88
제6절 기본권의 경합과 충돌 92
Ⅰ.기본권의 경합 / 92
Ⅱ.기본권의 충돌 / 95
제7절 기본권의 제한과 그 한계 100
Ⅰ.기본권제한의 의의 / 100
Ⅱ.기본권제한의 유형 / 100
Ⅲ.일반적 법률유보에 의한 기본권제한의 한계 / 101
Ⅳ.특별권력관계(특수신분관계)와 기본권제한 / 107
제8절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112
Ⅰ.국가기관에 의한 기본권침해와 구제방법 / 112
Ⅱ.사인에 의한 기본권침해의 구제방법 / 112
Ⅲ.국가인권위원회에 의한 기본권의 보호 / 112

제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평등권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 114
Ⅰ.인간의 존엄과 가치 / 114
Ⅱ.인격권 / 115
Ⅲ.행복추구권 / 119
Ⅳ.자기결정권 / 123
Ⅴ.일반적 행동자유권 / 127
제2절 평등권 133
Ⅰ.헌법 제11조 제1항의 의미 / 133
Ⅱ.헌법 제11조 제1항의 내용 / 133
Ⅲ.평등원칙 위배의 판단기준 / 136
Ⅳ.헌법상 평등권의 구현과 제한 / 144
Ⅴ.적극적 평등실현조치 / 145
Ⅵ.평등권침해를 인정한 헌법재판소의 판례 / 147

제3장 자유권적 기본권
제1절 인신에 관한 자유 149
제1항 생명권 149
Ⅰ.생명권의 의의 / 149
Ⅱ.생명권의 법적 성격-생명권이 절대적 기본권인지 여부 / 149
Ⅲ.생명권의 주체 / 149
Ⅳ.생명권의 내용 / 149
Ⅴ.생명권의 제한 / 150
제2항 신체의 자유 154
Ⅰ.신체의 자유의 의의 / 154
Ⅱ.신체의 자유의 내용 / 155
Ⅲ.신체의 자유에 대한 실체적 보장 / 157
Ⅳ.신체의 자유에 대한 절차적 보장 / 170
Ⅴ.형사피의자와 형사피고인의 권리 / 181
Ⅵ.신체의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 191
제2절 사생활영역의 자유 194
제1항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194
Ⅰ.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의의, 내용 / 194
Ⅱ.개인정보자기결정권 / 195
Ⅲ.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제한 / 200
Ⅳ.사생활의 비밀⋅자유 침해에 대한 구제 / 204
제2항 주거의 자유 207
Ⅰ.주거의 자유의 의의 / 207
Ⅱ.주거의 자유의 주체 / 207
Ⅲ.주거의 자유의 내용 / 207
Ⅳ.주거의 자유의 제한 / 208
제3항 거주⋅이전의 자유 209
Ⅰ.거주⋅이전의 자유의 의의 / 209
Ⅱ.거주⋅이전의 자유의 주체 / 209
Ⅲ.거주⋅이전의 자유의 내용 / 209
Ⅳ.거주⋅이전의 자유의 제한 / 211
제4항 통신의 자유 212
Ⅰ.통신의 자유의 의의 / 212
Ⅱ.통신의 자유의 내용 / 212
Ⅲ.통신의 자유의 제한 / 213
제3절 정신생활영역의 자유 219
제1항 양심의 자유 219
Ⅰ.양심의 자유의 의의 / 219
Ⅱ.양심의 자유의 주체 / 221
Ⅲ.양심의 자유의 내용 / 221
Ⅳ.양심의 자유의 제한 / 226
제2항 종교의 자유 227
Ⅰ.종교의 자유 / 227
Ⅱ.국교부인과 정교분리의 원칙 / 229
제3항 언론⋅출판의 자유 231
Ⅰ.언론⋅출판의 자유의 의의 / 231
Ⅱ.언론⋅출판의 자유의 보호영역 / 231
Ⅲ.언론⋅출판의 자유의 내용 / 234
Ⅳ.언론⋅출판의 자유의 제한 / 241
Ⅴ.인터넷 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 / 248
제4항 집회⋅결사의 자유 250
Ⅰ.집회의 자유 / 250
Ⅱ.결사의 자유 / 261
제5항 학문과 예술의 자유 264
Ⅰ.학문의 자유 / 264
Ⅱ.예술의 자유 / 267
Ⅲ.지적 재산권의 보호 / 268
제4절 경제생활영역의 자유 269
제1항 재산권 269
Ⅰ.재산권의 보장 / 269
Ⅱ.재산권의 내용규정 / 273
Ⅲ.재산권의 공용수용(공용침해) / 283
제2항 직업의 자유 288
Ⅰ.직업의 자유의 의의 / 288
Ⅱ.직업의 자유의 내용 / 289
Ⅲ.직업의 자유와 공무담임권의 관계 / 292
Ⅳ.직업의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 292
제3항 소비자의 권리 308
Ⅰ.소비자보호운동 / 308
Ⅱ.소비자의 권리 / 309

제4장 정치적 기본권
제1절 정치적 자유권 총론 310
제2절 정당의 설립과 활동의 자유 310
Ⅰ.정당설립 및 활동의 자유의 의의 / 310
Ⅱ.정당설립 및 활동의 자유의 헌법적 근거 / 310
Ⅲ.정당설립 및 활동의 자유의 내용 / 311
Ⅳ.정당설립 및 활동의 자유의 제한 / 312
제3절 참정권 315
Ⅰ.참정권의 의의 / 315
Ⅱ.참정권의 주체 / 315
Ⅲ.참정권의 내용 / 315
Ⅳ.참정권의 제한과 그 한계 / 321

제5장 청구권적 기본권
제1절 청구권적 기본권총론 326
제2절 청원권 327
Ⅰ.청원권의 의의 / 327
Ⅱ.청원의 근거법률 / 327
Ⅲ.청원권의 내용 / 328
Ⅳ.청원권의 제한 / 330
제3절 재판청구권 331
Ⅰ.재판청구권의 의의 / 331
Ⅱ.재판청구권의 성격 / 331
Ⅲ.재판청구권의 주체 / 332
Ⅳ.재판청구권의 내용 / 332
Ⅴ.재판청구권의 제한 / 342
제4절 국가배상청구권 346
Ⅰ.국가배상청구권의 의의 / 346
Ⅱ.국가배상청구권의 주체 / 346
Ⅲ.국가배상청구권의 법적 성격 / 346
Ⅳ.국가배상청구권의 내용 / 346
Ⅴ.국가배상청구권의 제한 / 350
제5절 형사보상청구권 354
Ⅰ.형사보상청구권의 의의 / 354
Ⅱ.형사보상의 성질 / 354
Ⅲ.형사피고인의 형사보상 / 354
Ⅳ.형사피의자의 형사보상 / 355
제6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357
Ⅰ.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의의 / 357
Ⅱ.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성격 / 357
Ⅲ.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내용 / 357
제6장 사회적 기본권
제1절 사회적 기본권의 개관 359
Ⅰ.사회국가원리의 헌법적 수용 / 359
Ⅱ.사회적 기본권의 특성 / 359
Ⅲ.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 359
Ⅳ.자유권과 사회적 기본권의 관계 / 360
제2절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361
Ⅰ.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개념 / 361
Ⅱ.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내용 / 361
Ⅲ.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제한 / 370
제3절 교육을 받을 권리 371
Ⅰ.교육을 받을 권리의 의의 / 371
Ⅱ.교육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 / 371
Ⅲ.교육을 받을 권리의 주체 / 371
Ⅳ.교육을 받을 권리의 내용 / 371
Ⅴ.교육제도의 보장 / 378
Ⅵ.교육을 시킬 권리 또는 교육할 권리 /381
제4절 근로의 권리 388
Ⅰ.근로의 권리의 의의 / 388
Ⅱ.근로의 권리의 본질 / 388
Ⅲ.근로의 권리의 주체 / 388
Ⅳ.근로의 권리의 내용 / 389
제5절 근로3권 396
Ⅰ.근로3권의 의의 / 396
Ⅱ.근로3권의 법적 성격 / 396
Ⅲ.근로3권의 주체 / 397
Ⅳ.근로3권의 내용 / 398
Ⅴ.근로3권의 제한 / 401
제6절 환경권 409
Ⅰ.환경권의 의의와 특성 / 409
Ⅱ.환경권의 법적 성격 / 409
Ⅲ.환경권의 내용 / 409
Ⅳ.환경권의 제한 / 410
Ⅴ.환경권의 침해와 구제 / 410
제7절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 413
Ⅰ.혼인과 가족생활보장의 의의, 연혁 / 413
Ⅱ.혼인과 가족생활보장의 법적 성격 / 413
Ⅲ.헌법 제36조 제1항에서 보호하는 혼인과 가족의 개념 / 413
Ⅳ.혼인과 가족생활보장의 내용 / 414
제8절 모성의 보호와 보건권 420
Ⅰ.모성의 보호 / 420
Ⅱ.보건권 / 420

제7장 국민의 기본적 의무
Ⅰ.기본적 의무의 의의 / 422
Ⅱ.기본적 의무의 주체 / 422
Ⅲ.기본적 의무의 내용 / 422

제3편 통치구조
제1장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제1절 대의제의 원리 426
Ⅰ.대의제의 의의 / 426
Ⅱ.대의제의 이념적 기초 / 426
Ⅲ.대의제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조건 / 427
Ⅳ.대의제의 현대적 실현형태 / 427
제2절 권력분립의 원리 429
Ⅰ.권력분립의 의의 / 429
Ⅱ.고전적 권력분립제 / 429
Ⅲ.권력분립제의 변용 - 기능적 권력분립론의 모색 / 429
Ⅳ.우리 현행 헌법상의 권력분립제도 / 429
제3절 정부형태 433
Ⅰ.정부형태의 의의 / 433
Ⅱ.정부형태의 기본유형 / 433
Ⅲ.제3유형의 정부형태-이원집행부제 / 435
Ⅳ.현행 헌법상의 정부형태 / 436
제4절 정당제도 437
Ⅰ.정당제 민주주의 / 437
Ⅱ.헌법상 정당의 개념과 지위 / 437
Ⅲ.정당의 설립 / 438
Ⅳ.정당의 활동 / 441
Ⅴ.당내민주주의 / 441
Ⅵ.위헌정당의 해산 / 442
Ⅶ.정당의 소멸 / 447
Ⅷ.정당과 정치자금 / 447
제5절 선거제도 454
Ⅰ.선거제도의 기본원칙 / 454
Ⅱ.우리의 국회의원선거 및 지방의회의원선거제도 / 468
Ⅲ.선거제도의 내용 / 469
제6절 공무원제도 488
Ⅰ.공무원의 의의 / 488
Ⅱ.현행헌법과 공무원제도 / 489
제7절 지방자치제도 492
Ⅰ.지방자치의 의의⋅본질⋅유형 / 492
Ⅱ.우리 헌법상의 지방자치제도 / 494

제2장 국 회
제1절 의회주의 511
Ⅰ.의회주의의 의의 / 511
Ⅱ.의회주의의 기본원리 / 511
제2절 국회의 구성과 조직 513
Ⅰ.국회의 구성 / 513
Ⅱ.국회의 조직 / 514
제3절 국회의 운영과 의사절차 522
Ⅰ.국회의 운영 / 522
Ⅱ.국회의 의사절차에 관한 원칙 / 523
제4절 국회의 권한 530
Ⅰ.입법에 관한 권한 / 530
Ⅱ.재정에 관한 권한 / 538
Ⅲ.국정통제에 관한 권한 / 550
Ⅳ.인사에 관한 권한 / 561
Ⅴ.국회의 자율권 / 563
제5절 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와 특권 567
Ⅰ.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 / 567
Ⅱ.국회의원의 겸직 등의 제한 / 569
Ⅲ. 국회의원의 특권 / 570

제3장 대통령과 정부
제1절 대통령 574
제1항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와 신분관계 574
Ⅰ.대통령의 헌법상 지위 / 574
Ⅱ.대통령의 신분관계 / 575
제2항 대통령의 권한과 그에 대한 통제 580
Ⅰ.국가긴급권 / 580
Ⅱ.집행에 관한 권한 / 588
Ⅲ.입법에 관한 권한 / 589
Ⅳ.사법에 관한 권한 / 600
Ⅴ.대통령의 권한행사에 대한 통제 / 604
제2절 행정부 606
제1항 국무총리 606
Ⅰ.우리 역대 헌법상 국무총리제 / 606
Ⅱ.국무총리의 헌법상 지위 / 606
Ⅲ.국무총리의 신분과 권한 / 608
제2항 국무위원⋅행정각부의 장⋅국무회의⋅자문기관 610
Ⅰ.국무위원과 행정각부의 장의 헌법상 지위 / 610
Ⅱ.국무위원과 행정각부의 장의 권한⋅책임 / 610
Ⅲ.국무회의 / 612
Ⅳ.대통령의 자문기관 / 614
제3항 감사원 615
Ⅰ.감사원의 의의 / 615
Ⅱ.감사원의 헌법상 지위 / 615
Ⅲ.감사원의 구성과 신분 / 616
Ⅳ.감사원의 권한 / 616
제3절 선거관리위원회 618
Ⅰ.선거관리위원회의 의의 / 618
Ⅱ.선거관리위원회의 종류와 구성 / 618
Ⅲ.선거관리위원회의 권한 / 619

제4장 법 원
제1절 사법권의 독립 621
Ⅰ.사법권독립의 의의 / 621
Ⅱ.법원의 독립 / 621
Ⅲ.법관의 독립 / 621
제2절 법원의 조직 630
Ⅰ.대법원 / 630
Ⅱ.하급법원 / 632
제3절 사법절차와 운영 635
Ⅰ.재판의 심급제 / 635
Ⅱ.재판의 공개제 / 636
Ⅲ.법정의 질서유지 / 638
제4절 법원의 권한 639
Ⅰ.사법권의 범위와 한계 / 639
Ⅱ.명령⋅규칙심사권 / 640
Ⅲ.대법원의 규칙제정권 / 642

제5장 헌법재판
제1절 헌법재판 일반론 643
제1항 헌법재판제도 643
Ⅰ.헌법재판의 의의 및 법적성격 / 643
Ⅱ.헌법재판제도의 유형 / 643
Ⅲ.우리나라 헌법재판제도의 발달 / 643
제2항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645
Ⅰ.헌법재판소의 구성 / 645
Ⅱ.헌법재판소의 조직 / 646
제3항 헌법재판소의 일반심판절차 649
Ⅰ.재판부 / 649
Ⅱ.심판의 청구 / 650
Ⅲ.심판당사자와 대표자⋅대리인 / 650
Ⅳ.심판의 대상 / 651
Ⅴ.심 리 / 651
Ⅵ.평 의 / 653
Ⅶ.결 정 / 653
Ⅷ.다른 법령의 준용 / 659
제2절 개별심판론 660
제1항 위헌법률심판 660
Ⅰ.위헌법률심판의 요건 / 660
Ⅱ.위헌법률심판의 심사기준 / 667
Ⅲ.위헌법률심판결정의 유형 / 668
Ⅳ.위헌법률심판결정의 효력 / 671
제2항 헌법소원심판 677
Ⅰ.헌법소원심판의 개념⋅기능⋅종류 / 677
Ⅱ.위헌심사형 헌법소원 / 678
Ⅲ.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의 요건 / 681
Ⅳ.헌법소원심판의 심리 / 718
Ⅴ.헌법소원심판의 결정 / 718
제3항 권한쟁의심판 720
Ⅰ.권한쟁의심판의 의의, 연혁 / 720
Ⅱ.권한쟁의심판의 유형 / 720
Ⅲ.권한쟁의심판의 요건 / 720
Ⅳ.권한쟁의심판의 결정 / 733

■ 헌법재판소 판례 색인 736
■ 대법원 판례 색인 750
■ 용어 색인 752

저자소개

김유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국제경제)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원 졸업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수료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조정위원 법률실무전문가 양성과정(주최 여성부) 담당교수 헌법재판소 국선대리인 뮌헨대학교(LMU) 법학연구원(Visiting Scholar) 2018 최고 논문상 수상(헌법이론실무학회) 2019 가족법률문화상 수상(가족법률문화상위원회) 제9회 우수변호사상 수상(대한변호사협회) 現) 도헌(道憲) 공법연구소 대표변호사 숭실대학교 국제법무학과 겸임교수(헌법/인권법)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행정법) 대한변호사협회 학술위원회 부위원장 대한한의사협회 인권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상임학술위원 한국법학원(Korean Society of Law) 이사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전문가 위원 공무원채용시험 심사위원 주요저서 기본강의 헌법 사례 헌법연습 헌법 조문정리 헌법 중요판례 250 헌법 핵심정리 300 헌법 기출지문 ○× 로스쿨 핵심강의 헌법 헌법 사례기출해설 헌법 선택형 변시·사시기출 단권화 핵심강의 행정법(박균성 공저) 행정법 핵심정리 300 행정법 사례기출해설 행정법 기출·예상지문 ○× 공법(헌법·행정법) 선택형 변시기출 5급공채 기본강의 헌법 5급공채 헌법기출문제해설 (매년 7월刊) 상반기 헌법중요판례 (매년 1월刊) 하반기 헌법중요판례 (매년 1월刊) 5급공채 상·하반기 헌법중요판례 연구서 - 대한민국헌번의 탄생과 기원 연구서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 계승 연구서 -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30년 인권과 정의를 세우다 [위헌결정과 그 후 변화] 연구서 - 3·1대혁명과 대한민국헌법 (김선택·정태호·방승주 공저) 실무서 - 실무가를 위한 헌법소송[이론과 작성례] 시집 - 설레임, 그리움, 청춘 그리고 인생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