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2 로스쿨 헌법 핵심정리 300

2022 로스쿨 헌법 핵심정리 300

(각종 국가고시 대비, 제2전정3판)

김유향 (지은이)
윌비스(미래와사람 한림법학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2 로스쿨 헌법 핵심정리 30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2 로스쿨 헌법 핵심정리 300 (각종 국가고시 대비, 제2전정3판)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인문/사회/법(고등고시) > 변호사시험 > 헌법
· ISBN : 9791166183256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22-03-22

책 소개

2022년 2월까지 선고된 판례, 제.개정된 헌법부속법률 및 최근 학계동향 등을 반영하여 새로운 주제(theme)를 추가하고, 기존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전정판 출간 후에 실시된 2022년 변호사시험의 기출문제도 반영하여, 최신 출제경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PART 1
헌법재판


Chapter 01
위헌법률심판

▸쟁점 001 위헌법률심판의 요건 2
Theme 001 위헌법률심판의 요건 _2
▸쟁점 002 위헌법률심판의 대상 2
Theme 002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으로서 법률의 의미 _2
Theme 003 「폐지된 법률」이 위헌심판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_2
Theme 004 「법률해석」이 위헌심판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 한정위헌청구의 적법여부 _3
Theme 005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의 가부 _3
Theme 006 헌법규정의 위헌성 판단기준 _4
Theme 007 미군정청 법령 _4
▸쟁점 003 재판의 전제성 4
Theme 008 ‘재판’의 의미 _4
Theme 009 재판의 전제성의 의의 _5
Theme 010 간접 적용되는 법률조항의 재판의 전제성 _5
Theme 011 제청 후의 사정변경과 재판의 전제성 _5
▸쟁점 004 법원의 합헌판단권 6
Theme 012 법원의 합헌판단권 인정여부 _6
Theme 013 법원의 제청의무와 위헌의심의 정도 _6
▸쟁점 005 유신헌법 하의 긴급조치의 위헌성 7
Theme 014 유신헌법 하의 긴급조치에 대한 위헌심사의 주체 _7
Theme 015 유신헌법 하의 긴급조치에 대한 위헌심사의 준거규범 _7

(이하생략)

Chapter 02
헌법소원심판

▸쟁점 008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 14
Theme 030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의 요건 _14
Theme 031 위헌소원에서의 재판의 전제성 _14
Theme 032 헌법재판에서의 일사부재리의 원칙 _15
Theme 033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과 제2항의 관계 -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에 의한청구와 제2항에 의한 청구가 가능한지 여부 _15
Theme 034 위헌심판대상의 확장 _16
▸쟁점 009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소원의 요건 17
Theme 035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소원의 일반적 요건 _17
▸쟁점 010 청구인능력 17
Theme 036 청구인능력 _17
▸쟁점 011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17
Theme 037 공권력의 행사⋅불행사 _17
Theme 038 법률이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_18
Theme 039 「조약」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가 인정 되는지 여부 _18
Theme 040 입법과정(절차)의 하자에 대한 헌법소원 _18
Theme 041 법규명령이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_19

(이하생략)

Chapter 03
권한쟁의심판

▸쟁점 019 권한쟁의심판청구의 요건 33
Theme 076 권한쟁의심판청구의 일반적 요건 _33
▸쟁점 020 당사자능력 33
Theme 077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에서 당사자범위 _33
Theme 078 국회 내 부분기관의 권한쟁의심판에서 당사자 인정여부 _34
Theme 079 국회 소위원회 및 그 위원장의 당사자능력 인정여부 _34
Theme 080 국회의 안건조정위원회 및 그 위원장의 당사자능력 인정여부 _34
Theme 081 정부 내 부분기관의 권한쟁의심판에서 당사자 인정여부 _35

(이하생략)

PART 2
기본권


Chapter 01
기본권 총론

▸쟁점 028 기본권의 성격 48
Theme 111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의 의의 _48
Theme 112 제도보장과 기본권보장의 비교 - 제도보장의 위헌성 심사기준 _48
Theme 113 제도보장규정 등으로부터의 기본권의 도출 _48
▸쟁점 029 기본권의 주체 48
Theme 114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_48
Theme 115 미성년자의 기본권 주체성 - 기본권능력과 기본권행사능력 _49
Theme 116 법인의 기본권 주체성 - 단체의 기본권 주체성 _49
Theme 117 국가기관의 기본권 주체성 _50
Theme 118 공법인의 기본권 주체성 _50
Theme 119 정당의 기본권 주체성 _50
▸쟁점 030 기본권의 포기 51
Theme 120 기본권의 포기의 의의 _51
▸쟁점 031 기본권의 효력 51
Theme 121 국고작용에도 기본권의 효력이 미치는지 여부 _51
Theme 122 국고작용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의 가부 _52
Theme 123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의 의미 _52
Theme 124 기본권의 대사인효에 관한 독일의 직접효력설과 간접효력설 _52
Theme 125 미국의 국가행위의제이론 _53
Theme 126 기본권의 대사인효에 관한 국내의 학설 _53
Theme 127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과 기본권의 충돌과의 관계 _53

(이하생략)

Chapter 02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평등권

▸쟁점 037 인간의 존엄과 가치 62
Theme 145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법적 성격 _62
Theme 146 인격권 _62
Theme 147 명예권, 성명권, 초상권의 의의 _62
▸쟁점 038 행복추구권 63
Theme 148 행복추구권의 의의, 내용 -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기본권 인정요건 _63
Theme 149 행복추구권의 법적 성격 _63
Theme 150 행복추구권과 개별기본권의 경합처리 _64
Theme 151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근거 _64
Theme 152 자기결정권의 내용 _64

(이하생략)

Chapter 03
인신에 관한 자유

▸쟁점 040 생명권 73
Theme 172 생명권의 의의, 근거 _73
Theme 173 태아의 생명권주체성 _73
Theme 174 초기배아의 생명권주체성 _73
Theme 175 생명권이 절대적 기본권인지 여부 - 생명권의 제한가능성 _73
Theme 176 사형제도가 생명권의 본질내용침해인지 여부 - 생명권 제한과 본질내용침해금지의 원칙 _74
Theme 177 낙태처벌에 대한 판례의 태도 _74
Theme 178 (소극적) 안락사의 허용여부 _75
▸쟁점 041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75
Theme 179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_75
▸쟁점 042 신체의 자유 76
Theme 180 신체의 자유의 의의 _76
Theme 181 죄형법정주의 _77
Theme 182 형벌법규법률주의 _77
Theme 183 형벌불소급원칙 _77
Theme 184 보안처분과 형벌불소급원칙 _77
T⋮
(이하생략)

Chapter 04
사생활영역의 자유

▸쟁점 043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87
Theme 209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내용 _87
Theme 210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의의, 근거 _87
Theme 211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내용 _87
Theme 212 사생활의 비밀⋅자유와 행정상의 공표 _88
▸쟁점 044 주거의 자유 88
Theme 213 주거의 자유의 의의, 내용 _88
Theme 214 주거의 압수⋅수색과 영장주의의 예외 _88
▸쟁점 045 거주⋅이전의 자유 89
Theme 215 거주⋅이전의 자유의 의의, 내용 _89
Theme 216 거주⋅이전의 자유의 주체 _89
Theme 217 여권제도와 거주⋅이전의 자유 _89
▸쟁점 046 통신의 자유 89
Theme 218 통신의 비밀과 자유의 의의, 내용 _89
Theme 219 통신의 개념에 ‘격지자’의 요구여부 - 통신매체수단 매개의 요건 _90
Theme 220 범죄수사를 위한 통신사실 확인자료 제공의 요건 _90

Chapter 05
정신생활영역의 자유

▸쟁점 047 양심의 자유 91
Theme 221 양심의 의의 - 양심의 개념에 사상이 포함되는지 여부 _91
Theme 222 양심의 자유의 내용 _91
Theme 223 양심의 자유의 제한가능성 _91
Theme 224 양심의 자유의 제한의 한계 - 양심의 자유에서 비례원칙의 적용여부 _92
Theme 225 양심적 병역거부와 관련한 충돌의 해결방법 _92
Theme 226 선택적 병역거부(상황제약적 반전론)와 양심의 자유 _92
▸쟁점 048 종교의 자유 93
Theme 227 종교의 자유의 의의, 내용 및 제한가능성 _93
Theme 228 국교부인⋅정교분리의 원칙의 내용 _93
▸쟁점 049 언론⋅출판의 자유 93
Theme 229 언론⋅출판(표현)의 자유의 내용 _93
Theme 230 언론⋅출판(표현)의 자유의 법적성격 _94
Theme 231 언론기관의 자유 _94
Theme 232 취재원비닉권의 헌법적 근거 _94
Theme 233 편집의 자유의 주체 - 편집의 자유의 인정여부 _95

(이하생략)

PART 3
헌법총론


Chapter 01
헌법과 헌법학

▸쟁점 072 관습헌법 142
Theme 348 관습헌법의 의의, 인정여부 _142
Theme 349 관습헌법의 성립요건 _142
Theme 350 관습헌법의 효력 _142
Theme 351 관습헌법의 변경(개정) _142
▸쟁점 073 합헌적 법률해석 143
Theme 352 합헌적 법률해석의 의의, 근거 _143
Theme 353 합헌적 법률해석의 한계 _143
▸쟁점 074 헌법개정의 한계 143
Theme 354 헌법개정의 한계 인정여부 _143
Theme 355 헌법개정의 한계의 내용 _144
Theme 356 헌법 제128조 제2항의 성격 _144
Theme 357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에 의한 헌법개정의 불가능성 _144
▸쟁점 075 헌법변천 144
Theme 358 헌법변천의 의의, 요건 _144
▸쟁점 076 저항권 145
Theme 359 저항권의 인정여부 _145
Theme 360 저항권의 행사요건 _145
Theme 361 저항권행사의 효과 _145

(이하생략)

Chapter 02
헌법의 적용범위 및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쟁점 078 영토조항과 평화통일조항 147
Theme 364 영토조항의 헌법적 의미 _147
Theme 365 영토조항의 현실적 규범력 인정여부 - 영토조항과 평화통일조항의 관계 _147
Theme 366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의미 _147
Theme 367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성격 _148
Theme 368 북한주민의 법적 지위 _148
▸쟁점 079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148
Theme 369 민주공화국의 의미 _148

Chapter 03
헌법의 기본원리

▸쟁점 080 헌법전문 149
Theme 370 헌법전문의 규범력 인정여부 _149
Theme 371 헌법전문의 규범적 효력의 내용 _149
▸쟁점 081 국민주권의 원리 149
Theme 372 국민주권주의의 개념 _149
▸쟁점 082 민주주의의 원리 149
Theme 373 민주주의의 원리 _149
▸쟁점 083 법치국가의 원리 150
Theme 374 진정소급입법과 부진정소급입법의 개념 _150
Theme 375 소급입법금지의 원칙과 예외 _150
Theme 376 신뢰보호원칙 위배의 심사기준 _150
Theme 377 신뢰보호원칙 위배 판단을 위한 비교형량의 기준 _151
Theme 378 체계정당성의 위배와 위헌여부 _152

(이하생략)

PART 4
통치구조


Chapter 01
대의제의 원리

▸쟁점 089 대의제의 원리 158
Theme 393 통치권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적 정당성의 개념 _158
Theme 394 통치권의 민주적 정당성의 크기와 권능 _158
Theme 395 대의제의 의의와 이념적 기초 _158
Theme 396 자유위임의 의의 _158
Theme 397 국회구성권의 허용여부 _159
Theme 398 정당기속과 자유위임 - 국회의원의 국민대표성과 정당대표성의 충돌과 그 해결 _159
Theme 399 국회의원의 탈당과 의원직 상실여부 - 공직선거법 제192조 제4항의 대의제원리위배여부 _159
Theme 400 대의제의 위기와 직접민주제적 요소의 도입 _160
Theme 401 국민소환제의 도입가능성 _160
Theme 402 재신임국민투표의 위헌여부 - 헌법원칙에 근거한 재신임국민투표의 허용여부 _161
Theme 403 헌법 제72조의 정책국민투표의 대상 _161
Theme 404 재신임국민투표가 헌법 제72조의 정책국민투표에 포함되는지 여부 _161
Theme 405 헌법개정안이 헌법 제72조의 정책국민투표의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 _162
Theme 406 법률안이 헌법 제72조의 정책국민투표의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 _162

Chapter 02
권력분립의 원리 및 정부형태

▸쟁점 090 권력분립의 원리 163
Theme 407 권력분립의 원리의 의의 - 새로운 권력분립론의 모색 _163
Theme 408 정당국가적 구조하에서의 기능적 권력분립 - 의회(야당)에 의한 대정부 견제기능 _163
▸쟁점 091 정부형태 164
Theme 409 정부형태의 의의, 유형 _164
Theme 410 헌법상 정부형태의 요소 _164
Theme 411 이원정부제의 특징 _164
Theme 412 헌법상 정부형태의 성격 _164
Theme 413 우리 헌법에의 의원내각제의 도입가능성 _165

Chapter 03
정당제도

▸쟁점 092 정당 일반론 166
Theme 414 정당의 개념 _166
Theme 415 정당의 헌법상 지위 _166
Theme 416 정당의 자율성과 사법심사 - 정당의 「자유의 지위」와 「공공의 지위」 _166
Theme 417 당내 민주주의의 의의 _167
Theme 418 당내 민주주의와 공직선거후보자추천 _167
Theme 419 정당등록제도의 위헌성 _167
Theme 420 정당등록요건의 위헌성 _167
▸쟁점 093 위헌정당의 해산 168
Theme 421 정당의 특권과 한계의 조화 _168
Theme 422 위헌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 _168
Theme 423 위헌정당해산의 절차적 요건 _169
Theme 424 헌법 제8조 제4항의 민주적 기본질서의 의미와 요소 _169
Theme 425 헌법 제8조 제4항의 ‘위배될 때’의 의미 _169
Theme 426 위헌정당해산에서의 비례의 원칙 _170
Theme 427 위헌정당해산의 효과 - 위헌정당해산시 소속의원의 자격상실 여부 _170

Chapter 04
선거제도

▸쟁점 094 선거제도의 기본원칙 172
Theme 428 보통선거의 원칙 _172
Theme 429 수형자와 집행유예자의 선거권제한조항의 위헌성 _172
Theme 430 기탁금제도 자체의 위헌여부 _172
Theme 431 기탁금의 국고귀속의 위헌여부 _173
Theme 432 평등선거의 원칙 _173
Theme 433 선거구획정과 선거구별 인구편차의 허용한계 _173
Theme 434 게리맨더링의 부정 _173
Theme 435 선거구획정의 위헌선언의 범위 _174
Theme 436 직접선거의 원칙 _174
Theme 437 비밀선거의 원칙 _174
Theme 438 자유선거의 원칙 _175
▸쟁점 095 선거제도의 내용 175
Theme 439 비례대표제의 장단점 _175
Theme 440 고정명부식에 대한 헌법적 평가 _175
Theme 441 가변명부식에 대한 헌법적 평가 _175
Theme 442 헌법상 비례대표제가 필수사항인지 여부 _176
Theme 443 최소투표율제 _176
▸쟁점 096 선거운동 177
Theme 444 선거운동의 자유의 의의와 헌법적 근거 _177
Theme 445 선거운동의 자유와 선거의 공정성 _177
Theme 446 선거운동규제의 한계 _177
Theme 447 선거공영제의 의의 _177

Chapter 05
공무원제도

▸쟁점 097 공무원제도 178
Theme 448 직업공무원제도의 의의, 내용 _178
Theme 449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 의의, 내용 _178
Theme 450 선거에서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무 - 대통령이 공선법 제9조의 공무원에 해당하는지 여부 _178

(이하생략)

저자소개

김유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국제경제)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원 졸업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수료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조정위원 법률실무전문가 양성과정(주최 여성부) 담당교수 헌법재판소 국선대리인 뮌헨대학교(LMU) 법학연구원(Visiting Scholar) 2018 최고 논문상 수상(헌법이론실무학회) 2019 가족법률문화상 수상(가족법률문화상위원회) 제9회 우수변호사상 수상(대한변호사협회) 現) 도헌(道憲) 공법연구소 대표변호사 숭실대학교 국제법무학과 겸임교수(헌법/인권법)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행정법) 대한변호사협회 학술위원회 부위원장 대한한의사협회 인권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상임학술위원 한국법학원(Korean Society of Law) 이사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전문가 위원 공무원채용시험 심사위원 주요저서 기본강의 헌법 사례 헌법연습 헌법 조문정리 헌법 중요판례 250 헌법 핵심정리 300 헌법 기출지문 ○× 로스쿨 핵심강의 헌법 헌법 사례기출해설 헌법 선택형 변시·사시기출 단권화 핵심강의 행정법(박균성 공저) 행정법 핵심정리 300 행정법 사례기출해설 행정법 기출·예상지문 ○× 공법(헌법·행정법) 선택형 변시기출 5급공채 기본강의 헌법 5급공채 헌법기출문제해설 (매년 7월刊) 상반기 헌법중요판례 (매년 1월刊) 하반기 헌법중요판례 (매년 1월刊) 5급공채 상·하반기 헌법중요판례 연구서 - 대한민국헌번의 탄생과 기원 연구서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 계승 연구서 -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30년 인권과 정의를 세우다 [위헌결정과 그 후 변화] 연구서 - 3·1대혁명과 대한민국헌법 (김선택·정태호·방승주 공저) 실무서 - 실무가를 위한 헌법소송[이론과 작성례] 시집 - 설레임, 그리움, 청춘 그리고 인생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