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공인노무사
· ISBN : 9791166188374
· 쪽수 : 724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목차
제1편_인사관리의 이해
제1장 인사관리와 경영학 4
Ⅰ.경영학과 경제활동 4
Ⅱ.경영활동 4
1. 경영활동의 기능적 차원:Porter의 가치사슬 접근 ∙ 4
2. 경영활동의 관리적 차원:Fayol의 경영관리 이론 ∙ 5
3. 경영활동의 제도적 차원:기업의 형태별 분류 ∙ 5
⋮
(이하 생략)
제2편_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환경
제1장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36
Ⅰ.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개념 36
1. 시스템의 개념 ∙ 36 2.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개념 ∙ 36
Ⅱ.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모형 36
1. 경영전략과 성과 ∙ 37 2. 인사활동 시스템 ∙ 37
3. 기반 시스템 ∙ 37 4. 조직구조 ∙ 38
⋮
(이하 생략)
제3편_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제1장 전략경영 60
Ⅰ.상황적합성 이론 60
1. 상황적합성 이론의 개념 ∙ 60 2. 상황적합성 이론의 시사점 ∙ 60
3. 상황적합성 이론이 전략경영에 미친 영향 ∙ 60
⋮
(이하 생략)∙ 91
제4편_직무관리
제1장 직무 96
Ⅰ.직무의 개념과 의의 96
1. 직무의 개념 ∙ 96 2. 직무의 발생 ∙ 96
Ⅱ.직무와 관련된 용어 97
1. 요소(element) ∙ 97 2. 과업(task) ∙ 97
3. 직위(position) ∙ 97 4. 직무(job) ∙ 97
5. 직군(job family) ∙ 98
⋮
(이하 생략)
제5편_확보관리
제1장 인적자원계획 152
Ⅰ.인력확보를 위한 두 가지 전략 152
1. 인력적응전략 ∙ 152 2. 인력계획전략 ∙ 152
Ⅱ.인적자원계획 153
1. 인적자원계획의 개념과 의미 ∙ 153 2. 정원관리 ∙ 154
3. 전략적 인적자원계획 ∙ 155
Ⅲ.환경분석 158
1. 외부환경 분석 ∙ 158 2. 내부환경 분석 ∙ 159
⋮
(이하 생략)
제6편_개발관리
제1장 교육훈련 238
Ⅰ.교육훈련의 개념과 필요성 238
1. 교육훈련의 개념 ∙ 238 2. 교육훈련의 필요성 ∙ 239
Ⅱ.교육훈련의 목적 240
1. 기업 ∙ 240 2. 종업원 ∙ 240
Ⅲ.교육훈련 시스템의 구조 240
Ⅳ.계획:교육훈련 필요성 분석 241
1. 필요성 분석수준 ∙ 241 2. 필요성 분석방법 ∙ 242
⋮
(이하 생략)
제7편_성과관리
제1장 인사평가의 개념 324
Ⅰ.인사평가의 개념 324
1. 인사평가의 개념 ∙ 324 2. 시스템으로서의 인사평가 ∙ 324
Ⅱ.인사평가의 목적 325
1. 직무관리 ∙ 325 2. 확보관리 ∙ 325
3. 개발관리 ∙ 326 4. 보상관리 ∙ 326
5. 유지관리 ∙ 326 6. 이직관리 ∙ 326
⋮
(이하 생략)
제8편_보상관리
제1장 임금관리 398
Ⅰ.보상관리 398
1. 보상의 개념 ∙ 398 2. 보상의 유형 ∙ 398
3. 보상관리의 의의와 보상의 원칙 ∙ 399
Ⅱ.임금의 개념과 기능 400
1. 임금의 개념 ∙ 400 2. 임금의 기능:동기부여 ∙ 400
3. 임금의 역기능:동기의 감소 ∙ 403
⋮
(이하 생략)
제9편_유지관리
제1장 근로시간 관리 518
Ⅰ.근로시간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518
1. 근로시간 관리의 개념 ∙ 518 2. 근로시간 관리의 중요성 ∙ 518
3. 근로시간 관리의 목적 ∙ 518
Ⅱ.근로시간 단축 519
1. 근로시간 단축 논의의 등장배경 ∙ 519 2. 근로시간 단축의 내용 ∙ 520
3. 근로시간 단축의 효과 ∙ 521
4. 근로시간 단축의 목표:‘근로자 삶의 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 ∙ 523
⋮
(이하 생략)
제10편_이직관리
제1장 이직의 개념 558
Ⅰ.이직의 개념 558
Ⅱ.이직의 유형 558
1. 이직의사결정의 주체 ∙ 558 2. 조직에 의한 통제가능성 ∙ 559
제2장 비자발적 이직의 관리(고용조정) 560
Ⅰ.고용조정의 개념과 원인 560
1. 고용조정의 개념 ∙ 560 2. 고용조정의 원인:인력공급과잉 ∙ 560
⋮
(이하 생략)
제11편_노사관계 관리
제1장 노사관계의 개관 584
Ⅰ.노사관계의 개념과 특성 584
1. 노사관계의 개념 ∙ 584 2. 노사관계의 특성 ∙ 584
Ⅱ.노사관계의 발전형태 585
1. 전제적 노사관계:절대명령과 복종에 의한 종속관계 ∙ 585
2. 온정적 노사관계:가족주의적 사회관계 ∙ 586
3. 완화적 노사관계:약간의 합리주의적 관계 ∙ 586
4. 민주적 노사관계:단체교섭을 통한 대등관계 ∙ 586
⋮
(이하 생략)
제12편_21세기 기업경영
제1장 기업윤리 688
Ⅰ.기업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688
1. 개념 ∙ 688 2. 중요성 ∙ 688
Ⅱ.윤리경영의 필요성 689
1. 최선의 중장기 전략 ∙ 690 2. 이해관계자의 압력 ∙ 690
3. 생존의 문제 ∙ 690 4. 윤리경영의 표준화 경향 ∙ 690
Ⅲ.윤리경영의 근거 690
1. 교조적 근거(dogmatic justification) ∙ 691
2. 의무론적 근거(deontologic justification) ∙ 691
3. 공리주의적 근거(utilitarian justification) ∙ 691
4. 교호적 근거(communicative justification) ∙ 691
⋮
(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