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91166841583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3-02-06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4
제1장 현실을 관통하는 희극적 소명
제2장 고대 그리스 희극의 성격과 특징
1. 고대 그리스 희극 이론 33
1) 희극의 본질과 드라마의 형태 33
2) 웃음을 통한 해체의 형이상학 47
2. 구희극과 아리스토파네스 68
1) 구희극의 지향점 68
2) 위기의식에 대한 토로 97
제3장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의 형태 및 구조
1. 위선적 권위에 도전하는 웃음의 미학 121
2. 현실 인식을 개진하는 본질적 사고 132
3. 현실 세계의 문제해결을 위한 폭로의 공간 146
제4장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의 핵심 요소
1. 희극의 논쟁 양식 162
1) 경쟁으로서 아곤의 본능 162
2) 아곤의 희극적 테크닉 170
3) 아곤의 적용 177
2. ‘파라바시스’의 등장 188
1) 파라바시스의 규범과 일반화된 충고 188
2) 기발한 착상에 의한 중재 역할 196
3) 파라바시스의 적용 203
제5장 평화운동 실현을 위한 일탈
1. 「아카르나이의 사람들」 218
2. 「평화」 235
3. 「리시스트라테」 255
4. 소결: 대외전쟁에 대한 능동적인 반대 의지 278
제6장 삶의 가치 기준에 대한 동시대의 해석
1.「구름」 288
2.「테스모포리아 축제의 여인들」 325
3.「개구리」 343
4. 소결: 불평등 사회의 모순에 대한 충고 370
제7장 부패한 정치사회제도에 대한 저항
1. 「기사들」 381
2. 「말벌」 395
3. 「새들」 416
4. 소결: 권력의 속성에 대한 경종 431
제8장 불완전한 이상과 공상
1. 「여인들의 민회」 440
2. 「부의 신」 459
3. 소결: 불완전한 인간의 본색 475
제9장 삶의 본질과 마주한 희극
1. 고단한 삶에서의 휴식과 여가의 텍스트 483
2. 동시대가 수용한 연극적 교육공간 489
3. 사회제도의 본질적 변화를 위한 정치 참여 495
4. 어리석은 인간 행동의 결점에 대한 반성과 성찰 502
인용문헌 511
찾아보기 524
저자소개
책속에서
당시 젊은 희극시인들은 정치적 수단으로서 연극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극을 통해 현실을 직시하게 하고 소통하게 하는 예술적 소명 자체를 묻고 추구했다. 특히, 그들은 부패를 거듭하며 인간의 생존권마저 훼손하고 있는 아테네의 사회 현실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일반적으로 희극이란 사회의 병폐나 인간의 근원적인 모순성을 풍자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통해 마주하는 관객의 지성에 호소하며 그 본질을 교정하고자 하는 연극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희극은 그 본질상 웃음을 통해 사회를 교정한다는 사회풍자 혹은 사회 비판의 목적을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풍자가 신랄할수록, 공격이 날카로울수록 희극의 목표달성이 더 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들의 공격이나 풍자의 대상은 죄악, 어리석음, 탐욕, 위선 등 인간성의 문제일 수도 있고 사회제도 등 그 범위는 작가의 관심이 미치는 한 얼마든지 가능하다. 마음껏 공격해서 때로는 쓰디쓴 웃음을 자아내는 이런 소위 사회 비판적 희극도 구조 면에 있어서 한결같이 결말은 행복하게 끝난다. 그래서 희극이 삶의 현장과 마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의 구성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고정적인 틀을 발견할 수가 있다. 즉, 어떤 우스꽝스러운 인물이 등장하여 세상을 바로잡기 위한 기발하면서도 어처구니없는 아이디어를 내놓으면 코로스는 이에 격렬한 반대를 하거나 열렬한 지지를 보낸다. 떠들썩한 장면이 그치면 토론이 전개된다. 코로스는 토론에서 어떤 결론이 나오게 되면 시인을 대신하여 관객을 향하여 연설을 하는데 이 연설은 신을 찬미하는 짤막한 노래와 교체하면서 한참 계속되다가 마지막에 잔치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