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하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하

(대진경교문헌석의)

임영택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1,350원
25,650원 >
2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하 (대진경교문헌석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6684233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9-12

책 소개

1,300여 년 전 예수의 복음이 중국 대륙에 들어와 이후 한반도 신라의 땅끝까지 전해지는 과정 가운데, 하나님께서 계획하시는 모든 일들은 우리가 도무지 헤아릴 수 없는 그분의 섭리 속에 진행되고 있음을 깊이 깨닫게 된다.

목차

제3부 경교비 주술(景敎碑 注述)

제2장 경교비문기사고정(景教碑文紀事考正)_양영지(楊榮鋕)

경교비문기사고정 권2(景教碑文紀事考正卷二)7

경교비문기사고정 권3(景教碑文紀事考正卷三)170

저자소개

임영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신학대학교 중국언어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중국 베이징대학교 중국언어문학과 문학박사
펼치기

책속에서

본래 경교에서 지칭하는 십자가의 道라는 것은, 즉 예수가 십자가에서 비참하게 죽음으로써, 만민의 죄악의 업보를 대신 짊어진 이치를 지칭하는 것일 뿐이다! 십자가란, 즉 페르시아가 고안해 낸 형벌의 도구였는데, 로마로 전해졌으나, 로마 사람들은 자국의 범인을 처벌하는 데에 사용하려 하지는 않았고, 그 형벌이 지나치게 참혹하였기 때문에, 단지 속국의 중죄인을 처벌할 때만 사용하였다. 예수의 일생 동안의 전도 행위에 대해, 유대의 위선적인 제사장들과 관리들은 원한이 골수에 사무치도록 증오하였으니, 브라만교가 부처를 미워했던 것과 桓?(환퇴)가 공자를 미워했던 것보다 더욱 심했으며, 그리하여 완고하고 어리석은 백성들을 선동하여 소란을 일으켰고, 로마 장관 빌라도를 협박하여 이 형벌로써 예수를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과 예수가 오히려 이것을 속죄와 세상 구원의 대법으로 삼았고, 또한 이로써 유대의 국가와 가정이 무너지도록 정죄하셨음을 몰랐던 것이다. ‘三仁’이 달아나 죽은 사건으로 인하여, 商나라가 망하였고, 그 보응의 기이함이 여기에까지 이르렀으니 가히 두려울 따름이로다!


‘信’이란, 일을 세우는 근본이요, 길흉의 원천이며, 성패의 중추이고; 스스로 나오는 의지요, 스스로 긍지를 느끼는 氣인 것이다. 믿음이 바르면, 뜻이 바르고; 믿음이 바르지 못하면, 뜻이 바르지 못하다. 그것이 우리들의 심신, 생명, 생사, 화복의 중대한 일에 관계되는 것은, 비교할 바가 없다. 예를 들어 ?回와 曾參이 공자를 독실하게 믿었으므로, 거의 성인의 영역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었고; 陳相이 許行을 굳게 믿었는데, 곧 위선으로 이끌어 가기에 이르렀으니, 그러므로 사람의 일생의 결말은, 모두 여기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만일 하나님을 독실하게 믿으면, 마지막에 하늘에서 빛나고, 하나님 곁에 있게 될 것이며; 이단을 굳게 믿으면, 종국에 마귀와 동반자가 되어, 영원히 가혹한 형벌을 받게 되는 것이다.


大施主 金紫光祿大夫이며, 북방 節度副使이자, 試殿中監으로서, 자색 袈裟를 하사받은 사제 伊斯는, 사람됨이 온화하여 은혜 베풀기를 좋아하고, 경교의 道를 따라 부지런히 잘 행하였다. 멀리 王舍之城으로부터 마침내 중국에 왔고 … (王舍’는, 인도의 옛성의 이름이다. 성에는 신·구가 있는데, 옛성은 ‘萍莎王舊城’이라 하고, 새로운 성은 ‘阿?世王’이 지은 것으로서, 화상 法顯이 일찍이 여기에 왔었다. 신·구 두 성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지금은 이미 촌락으로 변모했다! 이 성은 부처가 열반하고 1년 후, 여러 큰 제자들이 이곳에 모였으므로, 세칭 ‘거룩한 성’이라 불렸고, 동인도에 위치해 있으니, 지금의 ‘바라나’땅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