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한국어학개론

현대한국어학개론

원해영 (지은이)
한국문화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850원
16,150원 >
15,300원 -10% 0원
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000원 -10% 850원 14,450원 >

책 이미지

현대한국어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한국어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66850288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한국어의 구조와 기초지식을 풍부한 예시로 차근차근 설명한 한국어학 기본안내서다. 학교문법 중심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한국어학 입문서이며, 한국어학 전공자, 한국어교원, 공무원 수험생을 위한 한국어학 필독서이다.

목차

머리말

1장 한국어의 계통
2장 현대 한국어의 구성
3장 한국어의 특질
4장 음운 구조
5장 음운의 변동
6장 형태 구조
7장 단어 구조
8장 품사 구조
9장 조사와 어미
10장 문장 성분
11장 문장 구조
12장 의미 구조

찾아보기

저자소개

원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전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 태국 송클라대학교, 부라파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 한국문화센터 소장 부산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연구교수 주요 활동 및 저서 태국 교육방송(AM1161, ETV) 한국어강좌 『한태․태한 사전』(พจนานุกรม เกาหลีไทย-ไทยเกาหลี) 『한국어생활회화』(สนทนาภาษาเกาหลี) 『관광한국어』(เกาหลีสนทนา.. ภาษาท่องเที่ยว) 『한국어수업을 위한 과제활동 안내서』
펼치기

책속에서

2. 어휘적 특질

첫째, 한자 어휘와 외래어가 많다.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오랫동안 교류를 해왔으며 특히 학문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문자가 없었던 고대부터 중국의 한자를 빌려서 사용해 왔으며, 세종대왕 때 한글을 만들고 난 후에도 소위 지식층인 양반들은 한자를 계속해서 사용해 왔다. 그 결과, 한국어의 어휘에는 한자 어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책, 책상, 주택, 식사, 식구, 음식, 주문, 음료수, 방, 백화점, 전철, 우정, 행복, 시간, 시계, 기차, 의복, 구두, 서점, 병원, 환자, 의사, 학교, 학생’ 등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어휘들이 한자에서 비롯된 것이다. 특히 학문의 영역이나 법률, 정치 등의 전문 영역에서 오늘날까지도 한자 어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의 어휘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구성되어 있다. 근대까지는 한자 어휘의 비율이 70% 이상이었으나 최근에는 고유어 되살리기 운동과 더불어 다양한 서구 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의 외래어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는 60% 정도의 한자 어휘가 사용되고 있다.
‘북카페, 커피, 스파게티, 피자, 아이스크림, 라디오, 텔레비전, 메이크업, 헤어디자이너, 원룸, 닥터, 리더, 스텝, 치킨, 오픈, 비어, 샴페인, 와인, 스마트폰, 카카오톡, 세프, 바케트, 앙코르, 발레, 스파게티, 봉골레, 피자, 햄버거… ’ 등의 새로운 외래어들이 한자어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성어와 의태어가 발달했다.
한국어 어휘는 상징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대표적인 상징 어휘는 의성어와 의태어이다. 의성어는 소리를 흉내낸 말이고 의태어는 행동을 흉내낸 말이다.
의성어에는 ‘딸랑딸랑, 또각또각’과 같은 표현들이 있다. ‘딸랑딸랑’은 방울소리를 표현한 것이고, ‘또각또각’은 구두 발자국 소리를 표현한 것이다. 의태어에는 ‘깡총깡총, 아장아장’과 같은 표현들이 있다. ‘깡총깡총’은 토끼와 같이 작은 동물이 짧은 다리로 뛰어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아장아장’은 이제 갓 걸음을 걷기 시작한 아기들이 한 걸음 한 걸음 걷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대체로 4글자로 구성되고 한 덩어리의 표현이 두 번씩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뭉실뭉실, 반짝반짝, 절레절레, 종알종알, 콜록콜록, 철썩철썩’ 등과 같은 표현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어기적어기적, 드르릉, 따르릉, 주루룩, 까르륵, 쨍그랑, 꼬끼오, 멍멍, 쿵쿵’ 과 같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지 않거나 4글자로 구성되지 않은 것들도 있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대부분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셋째, 유사한 의미를 가진 어휘들이 음운 교체로 어감의 차이를 표현한다.
한국어의 어휘는 모음이나 자음의 대립으로 어감을 표현하는 어휘가 많다. 모음은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의 대립을 통해 밝고 어두운 느낌, 작고 큰 느낌을 표현한다. 자음은 평음과 경음, 격음 대립을 통해 화자가 느끼는 정도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빨갛다’와 ‘뻘겋다’는 모음 ‘아’와 ‘어’에 의해 색감의 차이를 나타낸다. 같은 붉은 색이지만 ‘빨갛다’는 밝고 선명한 느낌을 주는 반면, ‘뻘겋다’는 어둡고 칙칙한 느낌을 준다. ‘발갛다’는 ‘빨갛다’에 비해 색감의 강도가 연한 느낌을 준다. 이는 자음의 교체에 따른 어감의 차이이다. ‘캄캄하다/컴컴하다/껌껌하다’는 모음의 차이, 자음의 차이에 의해 느낌이 달라지는 어휘들이다.
한국어는 유사한 상황에 대한 표현이라도 음운의 교체에 의해 미세하게 달라지는 느낌을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다.

넷째, 색채어 등 감각어가 발달했다.
한국의 자연은 산이 많으며 사계절이 매우 뚜렷한 기후환경을 가지고 있다.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계절별로 자연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분명하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기후의 변화에 따라 자연의 색깔이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에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색채어가 발달하였다.

식물의 잎은 봄에 연두색 새싹으로 돋아나서 여름을 거치는 동안 점점 그 색이 초록빛으로 짙어진다. 이러한 색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한 어휘가 필요하다. 그 결과 ‘푸르다, 푸르스름하다, 짙푸르다, 파르스름하다, 푸르스름하다’ 등 미세한 차이를 가진 유사한 어휘가 많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여름에는 초록색이던 나뭇잎이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어 또 다른 색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가 또 만들어지게 된다. ‘발갛다, 벌겋다, 빨갛다, 발그스레하다, 울긋불긋하다, 시뻘겋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 등 같은 색상 계열이라도 색의 밝기에 따라, 그리고 선명도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며 그 차이를 자음과 모음의 교체로 표현한 다양한 색채어가 발달하게 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7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