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707116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3-08-30
책 소개
목차
3판 머리말
머리말
I.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불안
1. 의사소통과 자아 개념
1) 자아 개념의 형성 과정
2)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방식
2. 의사소통 불안
1) 의사소통 불안의 개념
2) 의사소통 불안의 유형
3) 의사소통 불안의 원인
4) 의사소통 불안의 대처 방법
II. 자기 노출과 공감적 대화
1. 자기 노출
1) 자기 노출의 개념
2) 자기 노출의 효능
3) 자기 노출의 차원
4) 자기 노출의 방법
2. 공감적 대화
1) 공감적 듣기의 개념
2) 공감적 듣기의 방법
3) 감정 표현의 방법: 비폭력 대화
III. 대화의 원리
1. 협력의 원리
1) 협력의 원리
2) 대화 함축
2. 예의의 원리
1) 예의 규칙
2) 공손성의 원리
3) 예의 이론
IV. 비언어 의사소통
1. 비언어 의사소통의 본질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개념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유형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기능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원리
V. 의사소통 문화와 언어 공동체
1. 문화적 차원
1)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
2) 문화적 차원 이론
2. 언어 공동체
1) 언어 공동체의 사전적 정의
2) 언어 공동체의 변수
3) 언어 공동체의 조건: 담화 관습
4) 언어 공동체의 범위: 중층과 중복
5) 담화 공동체
VI. 발표와 연설을 위한 설득 메시지 조직
1. 동기화 단계 조직
1) 설득 메시지 조직의 유형
2) 동기화 단계 조직의 기원
3) 동기화 단계 조직의 세부 단계
4) 동기화 단계 조직의 특성
5) 청자 입장에 따른 동기화 단계
2. 내용 연결 표현
1) 내용 연결 표현의 개념
2) 내용 연결 표현의 성격
3) 내용 연결 표현의 유형
4) 내용 연결 표현의 기능
VII. 청자 분석
1. 청자 분석의 원리
1) 청자 분석의 중요성
2) 정교화 가능성 모형
2. 청자 분석과 메시지 조직
1) 메시지 조직의 핵심 변인
2) 핵심 변인의 종합적 적용
VIII. 화자의 공신력과 감성적 설득 전략
1. 화자의 공신력
1) 화자의 공신력의 기원
2) 화자의 공신력의 개념
3) 화자의 공신력의 차원
4) 화자의 공신력 신장 방안
2. 감성적 설득 전략
1) 감성적 소구의 개념
2) 감성적 소구의 중요성
3) 감성적 소구의 유형
4) 감성적 소구의 사용 전략
IX. 논증: 이성적 설득 전략
1. 논증의 원리
1) 논증의 개념
2) 논증의 조건
3) 논증의 요소
4) Toulmin의 논증 모형
2. 논증의 방법과 오류
1) 연역 논증
2) 귀납 논증
3) 인과 논증
4) 유추 논증
5) 기타 오류 유형
X. 토론
1. 토론의 본질
1) 토론의 성격
2) 토론의 목적
3) 토론의 논제
4) 토론의 규칙
5) 토론의 유형
2. 토론의 방법
1) 입증 책임
2) 필수 쟁점
3) 입론 모형
4) 반대 신문
XI. 토의와 협상
1. 토의
1) 토의의 개념과 유형
2) 토의 참여자의 역할과 태도
3) 토의의 절차
4) 토의의 소통 방법
5) 토의 문제 상황 대처 방법
6) 집단사고의 증상과 예방
7) 회의의 원칙
2. 협상
1) 협상의 개념
2) 협상의 원리
3) 협상의 절차
4) 협상의 전략
XII. 면담과 발표(프레젠테이션)
1. 면담
1) 면담의 본질
2) 면담의 절차
3) 면담 질문 방법
4) 면접
5) AI 면접
2. 발표
1) 발표의 본질
2) 발표의 내용 구성
3) 매체 자료 설계와 제작
4) 발표의 표현 전략
5) 청중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언어의 형식적 차원의 개선보다 선행해야 할 것은 바로 개인의 자아 개념의 상태를 점검하고 그로 인해 유발되는 의사소통 방식 문제의 뿌리를 찾는 것이다. 그 후에야 자아 개념의 부정적 측면을 긍정적 측면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악순환의 고리에서 탈피하여 선순환의 궤도에 오를 수 있게 된다.
● 의사소통 불안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더라도 교실 분위기 자체가 경직되어 있고 실수가 허용되지 않는다면,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 증세의 호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상적인 수업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교사는 학생들이 의사소통으로 인한 부담을 덜 느끼는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교사와 학생들은 발표하는 학생의 성공을 위해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청중이 비판자가 아니라 지지자라고 느낄 때 발표하는 학생의 불안감은 줄어들게 된다.
● 공감적 대화를 지도할 때는 쌍방향적 의사소통 구도를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화자는 비폭력 대화의 방법에 따라 ‘관찰, 느낌, 욕구, 부탁’의 순으로 현재 상황에서 자기가 느끼는 감정을 표현한다. 청자는 공감적 듣기의 방법에 따라 상대가 말하는 중에는 집중하기와 격려하기의 방법으로 경청하고, 말을 마친 후에는 요약하기와 반영하기의 방법으로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그다음에는 청자가 화자가 되어 자기 감정을 동일한 과정으로 표현하고, 화자는 청자가 되어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