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

안휘준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1,200원
3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91167070678
· 쪽수 : 798쪽
· 출판일 : 2022-07-15

책 소개

미개척 분야였던 한국회화사를 규명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인 미술사가 안휘준. 그가 반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학계에 몸담고 연구, 저술, 후진 양성(교육), 사회봉사 등의 분야에서 해온 다양한 일과 성과들을 집성, 정리한 글들을 모았다.

목차

머리말

I. 연구사: 학문적 발자취
미술사학과 나
나의 한국회화사 연구
미개척 분야와의 씨름—나의 한국회화사 연구
나의 고고인류학과 시절
고고미술사학과

II. 학문적 봉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와 나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사
한국미술사학회와 나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창립 취지문
『美術史學』 창간에 부쳐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제1회 학술발표회를 개최하며
한국대학박물관협회의 창립 50주년을 축하하며
문화재청 창립 50주년에 부쳐
문화재청 발전의 길
국립문화재연구소 창립 30주년에 부쳐

III. 어떤 책들을 왜 냈는가:서문을 통해 밝히다
『한국회화사』
『조선왕조실록의 서화사료』
『동양의 명화 1』
『韓國繪畫의 傳統』
『韓國의 現代美術,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의 현대미술: 창작, 비평, 교육』
『한국 그림의 전통』을 내며
『옛 궁궐 그림』
『한국 회화사 연구』
『한국 회화의 이해』
『한국의 미술과 문화』
『新版 韓國美術史』
『한국미술의 역사: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고구려 회화: 고대 한국 문화가 그림으로 되살아나다』
『한국 미술의 美: 안휘준·이광표 대담』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청출어람의 한국미술』
『한국 미술사 연구』
『한국 고분벽화 연구』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한국의 해외문화재』
『한국 회화의 4대가』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

IV. 은사들에 관하여 적다
여당(藜堂) 김재원(金載元) 선생님을 추모함
김재원(金載元) 박사와 김원용(金元龍) 교수의 미술사 연구
여당 김재원: 한국 박물관의 초석을 세운 거목
김재원, 박물관의 아버지, 고고학·미술사학의 선각자
여당 김재원 선생과 나의 학운(學運)
김재원, 김원용… 하늘 같은 은사님들
삼불(三佛) 김원용(金元龍) 선생님의 인품과 학문
삼불 김원용 교수의 학문과 예술
책머리에(『이층에서 날아온 동전 한 닢』)
책을 펴내면서(『나의 인생, 나의 학문: 김원용 수필 모음』)
『삼불문고 도서목록』 발간에 부쳐
한국전통미를 규명한 교양명저(『한국미의 탐구』)
삼불 선생님의 문인화전을 축하드리며
삼불 김원용 박사의 문인화
그분의 서명: 내 인생의 한 사람
삼불 김원용 박사 별세

V. 새로운 논문 두 편
<천수국만다라수장(天壽國曼茶羅繡帳)>에 관한 신고찰(新考察)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회화, 어떻게 볼 것인가

VI. 서평/발간사/기타
황수영·문명대 저, 『盤龜臺』
문명대 저, 『韓國美術史學의 理論과 方法』
문명대 저, 『韓國의 佛畵』
문명대 저, 『韓國彫刻史』
이난영 저, 『韓國古代金屬工藝硏究』
菊竹淳一·정우택 책임편집, 『高麗時代의 佛畵』
이동주 저, 『日本 속의 韓畵』
이성미·강신항·유송옥 공저, 『藏書閣 所藏 嘉禮都監儀軌』
김영호 편역, 『小痴實錄』
백승길 편역, 『中國藝術의 世界: 繪畵와 書藝』
이성미 교수의 서평에 답함
<미술인 필독서 100選> 기사를 읽고
『한국의 국보』 발간에 앞서
김광언 외 저, 『한국문화재용어사전』
김원용 감수, 『한국 미술 문화의 이해』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발간에 부쳐
『서울大學校 博物館 所藏 韓國傳統繪畵』의 출간에 부쳐
서울大學校 博物館 學術叢書 發刊에 부쳐
『槿域畵彙』의 복간을 반기며
『국역 근역서화징』의 출간을 반기며
정양모 저, 『조선시대 화가 총람』의 출간을 반기며
『九宜洞-土器類에 대한 考察』 발간사
『古文化』의 증간에 부쳐
『古美術저널』 재창간에 거는 기대
서울아트가이드 창간 5주년을 축하함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개관 5주년 기념도록 발간을 축하하며
『한국의 전통미술-Korean Traditional Art』 머리말
최성자 저, 『한국의 멋, 맛, 소리』
이규일 저, 『한국미술 졸보기』의 출간을 반기며
『한국인, 삶에서 꽃을 피우다』의 출간에 부쳐
김광언 외 저, 『몽골 바람의 고향…』을 읽고
파인(芭人) 송규태 화백의 화집 발간을 축하하며
한국 서예의 앞날과 박병천 교수의 『한글 서체학 연구』
『서예로 담아낸 아리랑 일만 수』의 완성을 축하하며
한국서학회 창립 30주년을 축하함

VII. 수필/논설
조선왕조 미술의 멋과 의의
외국인의 대한(對韓) 편견
얼마나 됩니까
창작과 돈
서양문화와 전통문화
떨리는 강의
일본 바람
그림의 팔자
손이냐 머리냐
설맞이 유감
외제 넥타이
한국 매미, 일본 매미
고마운 나의 모교, 상산학교
인문학, 시야를 넓히자
청기와쟁이
기금 유감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여섯 가지 제언
정치에 치우친 국사 교과서는 이제 그만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을 수상하면서
제17회 효령상 시상식 축사

저작 목록

저자소개

안휘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문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수학 전(前)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박물관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예술연구실장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대표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체육부 학예사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장 상훈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간행물윤리상(저작 부문), 위암 장지연상(한국학 부문),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 부문), 옥조근정훈장, 안견미술문화대상,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용재학술상, 효령상(문화 부문),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 주요 저서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문예출판사, 1988), 『옛 궁궐그림』(대원사, 1997), 『한국회화의 이해』(시공사, 2000), 『한국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고구려 회화』(효형출판, 2007),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미술의 美』(효형출판, 2008)(공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학고재, 2009)(공편),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12), 『한국 고분벽화 연구』(사회평론, 2013),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사회평론, 2015), 『한국의 해외문화재』(사회평론, 2016), 『한국 회화의 4대가』(사회평론, 2019),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사회평론, 2022),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22)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