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6707144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03-14
책 소개
목차
서문 4
1장 인지란? 13
1. 인지 연구의 역사 14
인지 연구의 시작 14│행동주의와 인지 연구 16│인지의 재조명 18│인지 혁명과 인지과학 20│마음에서 뇌와 컴퓨터로 21│우리나라의 인지 연구 23
2. 인지란 무엇일까? 24
인지의 정의, 역할, 범위 24│인지의 하드웨어 27│인지에 대한 대안적 견해들 29
2장 지각 37
1. 지각의 단계 38
2. 지각의 복잡성 41
입력 자극의 불완전성 41│무의식적 추론과 맥락 44
3. 특징 탐지 45
망막에서 대뇌까지 46│세부 특징 탐지기와 가소성 49
4. 통합과 조직화 51
세부 특징 통합 이론 51│게슈탈트 원리 53
5. 안구 운동, 주의 그리고 지각 55
안구 운동과 주의 55│무주의맹 및 변화맹 58
6. 상향 처리와 하향 처리 60
3장 주의 65
1. 주의와 정보 선택 66
주의 선택 모형 66│선택되지 않은 정보도 처리되는가? 69│선택되지 않은 정보는 어디까지 처리되는가? 71
2. 주의 자원 73
주의의 용량 모형 74│주의 선택과 이중 과제 수행 76│외적 주의와 내적 주의 77
3. 주의와 수행 79
자동 처리와 통제 처리 79│이중 과정 이론 85
4장 기억 모형과 작업 기억 89
1. 다중 기억 모형 90
다중 저장소 90│기억 과정: 부호화, 파지, 인출 92│논쟁 94
2. 감각 기억 96
지속 시간 96│저장 용량 97
3. 작업 기억 98
저장소로서의 특징 99│저장에서 처리로 107│작업 기억 용량 측정 117
5장 장기 기억 121
1. 장기 기억의 특징 122
지속 시간 122│저장 용량 123│사용 부호 123
2. 장기 기억과 단기 기억의 구분 126
실험 증거 126│신경학적 증거 128
3. 장기 기억의 유형 131
명시 기억 131│암묵 기억 139
6장 장기 기억: 부호화 147
1. 되뇌기 148
2. 처리 수준 149
처리 수준과 기억 149│처리 수준과 기억 의도 151│비판 152
3. 정교화 153
비의미적 정교화 153│의미적 정교화 156│정교화의 적절성과 복잡성 157
4. 기타 요인들 160
자극의 독특성과 중요성 160│생성 효과 163│간격 효과 167
5. 부호화와 인출 167
전이 적절성 처리 168│부호화 특수성 원리 170
7장 장기 기억: 간섭, 통합, 응고화 173
1. 소멸 대 간섭 174
2. 파지의 역동성 176
활성화 확산 176│부채 효과 178│정보의 관련성 180
3. 선행 기억과의 통합 182
새로운 정보와 주어진 정보 182│정보 습득의 맥락 184│간섭 대 통합 185
4. 응고화 187
8장 장기 기억: 인출 단서와 경험의 재구성 193
1. 망각 곡선 194
2. 인출 유형 196
회상과 재인 196│알기와 기억하기 197│암묵 기억 199
3. 인출 실패와 인출 단서 200
4. 인출의 맥락 의존성 203
물리적 맥락 203│신체적 맥락 204│인지적 맥락 205│언어 환경 206
5. 경험의 재구성 207
기억의 재구성 208│도식 209│사회·문화적 배경 211
6. 인출의 효과 212
인출 연습 212│재응고화 213│인출 유도 망각 216
9장 메타 인지와 오기억, 정서 221
1. 메타 인지 222
2. 오기억 227
원천 모니터링 오류 228│오정보 효과 230│암시 233│기억의 신뢰도 235
3. 정서와 기억 237
정서적 자극 237│섬광 기억 240│자극을 부호화할 때의 정서 상태 242│기분 일치 효과와 기분 의존 효과 244
10장 지식 247
1. 지식의 역할 248
2. 개념과 범주 251
3. 개념 표상 252
속성 기반 이론 253│원형 이론 255│본보기 이론 257│원형 이론과 본보기 이론 비교 258
4. 의미 지식의 조직화 260
위계망 261│의미망 264│기본 수준 265│도식 267
11장 심상과 명제 271
1. 표상과 정보 처리 272
표상의 중요성 272│아날로그 표상과 상징 표상 276
2. 내적 표상 278
명제 표상과 심상 278│단일 부호 이론 279│이중 부호 이론 281│심성 모형: 이미지와 명제의 종합 285│분산 표상 289
3. 지각과 심상 290
신경 기제의 공유 290│처리의 촉진과 방해 293│질적 차이 294
4. 명제 표상과 심상 297
관계 정보와 순서 정보 297│명제 표상과 심상의 상호 작용 299
12장 언어 I: 단어에서 문장까지 303
1. 언어 처리의 유형과 단계 304
2. 어휘 처리 306
3. 문장 처리: 통사 310
표면 구조와 심층 구조 310│통사 처리의 증거 312│주요 통사 요소의 처리 315│통사적 중의성 323
4. 문장 처리: 의미 329
의미 정보의 추출 329│문장에서 명제로 330
13장 언어 II: 덩이글 처리 331
1. 구성 통합 모형 332
표면 구조 332│덩이글 기저 333│상황 모형 339
2. 글 이해와 작업 기억 343
문장 통합 344│목표 관련 정보 347│작업 기억 용량과 읽기 능력 348
3. 선행 지식과 이해 349
글 이해에서 선행 지식의 역할 349│선행 지식의 활성화 351
14장 문제 해결 355
1. 문제 유형 356
2. 문제 해결 단계 358
3. 문제 표상 362
기능적 고착 362│문제 제시와 문제 표상 364
4. 문제 해결 전략 367
문제 공간과 어림법 367│마음 갖춤새 효과 370│유추 371│통찰 374
5. 전문성 377
전문성의 특징 378│전문성의 발달과 유형 381
15장 판단과 의사 결정, 추리 385
1. 판단과 의사 결정 386
판단의 정확성 386│어림법 389│대안 제시 393│의사 결정 394
2. 추리 396
연역 추리 397│귀납 추리 405
3. 제한된 합리성 409
핵심 용어 412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