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6714056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1-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왜 글을 써야 할까?
1 세계의 대학이 글쓰기를 강조하는 까닭은?
2 이과 전공생에게도 꼭 필요한 글쓰기 능력
3 학교 밖에서도 글쓰기는 계속된다
4 생각의 중심을 잡아주는 글쓰기의 힘
5 메타버스에서도 글쓰기가 필요해
6 디지털 미디어 그리고 글쓰기
글쓰기 실험실 - 태초에 그림이 있었다
2장 글을 쓰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들
1 문학부터 비문학까지, 다양한 글의 종류
2 글의 뼈대를 잡아주는 구조 짜기
3 한눈에 쏙 들어오는 문장 쓰기
4 말과 글의 법칙, 정확한 문법 익히기
5 헷갈리는 맞춤법과 띄어쓰기
6 글쓰기 전 준비운동
글쓰기 실험실 - 성격에 맞는 글쓰기 훈련법이 따로 있다면?
3장 실전 글쓰기: 어떻게 쓸까?
1 구상하기
2 개요 짜기
3 자료 조사하기
4 첫 문장, 첫 단락 쓰기
5 내용 전개하기
6 마무리하기
7 퇴고하기
8 글쓰기의 윤리
글쓰기 실험실 – 설계도 그려? 말어?
4장 종류별 글쓰기: 오늘은 글 쓰는 날
1 일상의 기록물, 수필
2 책으로 공부머리 틔우기, 서평
3 정확하고 선명한 정보 전달력, 뉴스 기사
4 사람 사는 이야기, 인터뷰
5 전략적으로 설득하기, 자기소개서
6 본질을 꿰뚫는 힘, 논술
글쓰기 실험실 – 로봇 저널리즘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판단력은 생각에서 나옵니다. 디지털 시대에서 눈 뜨고 코 베이지 않으려면 나만의 ‘생각의 힘’을 길러야 합니다. 모르는 사람이 디지털 기술로 홀린다 해도 단호히 대처해 나가려면 말입니다. 특히 가상의 세계가 펼쳐지는 미래 사회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소통 부족으로 오해가 빚어져 다툼이 벌어지거나 판단에 장애를 겪거나 금융 사기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정보의 맥락 이해가 부족해서입니다. 대면보다 텍스트로 질문을 하는 경우가 더 늘어나는데 상대방이 보낸 문자를 이해하지 못해 실수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일수록 글쓰기를 멈춰서는 안 됩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그 생각을 압축해서 표현하는 글쓰기는 지금부터 길러야 할 능력이자 기술입니다.
― <1-6 디지털미디어 그리고 글쓰기> 중에서
찰나의 순간을 잡아둘 수 있는 메모법을 알려드릴게요. 먼저 키워드와 기호를 이용하는 메모법입니다. 키워드를 중심으로 써놓고 뒤에 물음표(?)나 느낌표(!) 등의 기호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의문점을 정리할 때는 물음표, 강조하고 싶을 때는 느낌표를 사용하는 식입니다. 이렇게 해두면 키워드를 쓸 때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표시할 수 있답니다. 앞 글자만 따서 간략하게 메모할 수도 있습니다. 영어의 경우 사람(P), 매출(S), 책(B)과 같이 첫 문자만 쓰는 형식이죠. 메모를 할 때에는 주로 명사와 숫자 중심으로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논쟁이 벌어진 상황에서는 찬반 의견을 중심으로 기록해 두어야 합니다.
― <2-6 글쓰기 전 준비운동>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