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67525451
· 쪽수 : 359쪽
· 출판일 : 2024-12-07
책 소개
목차
서문
범례
1부 총론(總論)
1장 총통방제
1. 총통방제의 정의 | 2. 총통방제의 특징과 장점 | 3. 총통복진법 | 4. 처방을 구성하는 방법
2장 육부와 오장의 생리병리와 방제
1. 육부와 오장의 생리병리 체계 | 2. 육부의 생리병리와 기본방제 | 3. 오장의 생리병리와 기본방제
3장 방제(方劑) 공부
1. 그동안 방제를 공부해 온 과정 | 2. 방제 공부의 시작
4장 오장육부 처방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
1. 고방과 후세방의 중요한 오장육부 기본방제 및 장부처방 | 2. 육부를 소통시키는 침 처방과 한약 처방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 | 3. 오장의 병리를 조절하는 침 처방과 한약 처방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 | 4. 기본적인 가감의 원칙
5장 총통진단과 치료
1. 어떻게 해야 한약 처방을 잘할 것인가? | 2. 총통침법과 총통방제의 공통점과 차이점 | 3. 총통진단과 치료에 대한 간단한 소개
2부 각론(各論): 육부(六腑)
1장 소장(小腸)
1. 소장경락유주 | 2. 소장생리 | 3. 소장의 병리상황 | 4. 소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소장의 기본방제 | 6. 소장의 총통활용처방
2장 방광(膀胱)
1. 방광경락유주 | 2. 방광의 생리 | 3. 방광의 병리상황 | 4. 방광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방광의 기본방제 | 6. 방광의 총통활용처방
3장 담낭(膽囊)
1. 담경락유주 | 2. 담의 생리 | 3. 담의 병리상황 | 4. 담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담의 기본방제 | 6. 담의 총통활용처방
4장 삼초(三焦)
1. 삼초경락유주 | 2. 삼초의 생리 | 3. 삼초의 병리상황 | 4. 삼초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삼초의 기본방제 | 6. 삼초의 총통활용처방
5장 위장(胃腸)
1. 위장경락유주 | 2. 위장의 생리 | 3. 위장의 병리상황 | 4. 위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위장의 기본방제 | 6. 위장의 총통활용처방
6장 대장(大腸)
1. 대장경락유주 | 2. 대장의 생리 | 3. 대장의 병리상황 | 4. 대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대장의 기본방제 | 6. 대장의 총통활용처방
3부 각론(各論): 오장(五臟)
1장 간장(肝臟)
1. 간경락유주 | 2. 간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간의 병리상황 | 4. 간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간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간의 총통활용처방 | 7. 간의 임상사례
2장 심장(心臟)
1. 심경락유주 | 2. 심장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심장의 병리상황 | 4. 심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심장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3장 심포(心包)
1. 심포경락유주 | 2. 심포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심포의 병리상황 | 4. 심포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심포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심장/심포의 총통활용처방 | 7. 심장·심포 임상사례
4장 비장(脾臟)
1. 비장경락유주 | 2. 비장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비장의 병리상황 | 4. 비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비장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비장의 총통활용처방 | 7. 비장의 임상사례
5장 폐장(肺臟)
1. 폐경락유주 | 2. 폐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폐의 병리상황 | 4. 폐의 병리와 총통기본방제 | 5. 폐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폐의 총통활용처방 | 7. 폐의 임상사례
6장 신장(腎臟)
1. 신장경락유주 | 2. 신장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신장의 병리상황 | 4. 신장의 병리와 총통기본방제 | 5. 신장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신장의 총통활용처방 | 7. 신장의 임상사례
맺음말
참고 문헌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총통방제에서는 체열이 낮아서 문제가 생기는 사람들에게 부자, 건강, 육계, 마황, 계피, 생강, 세신, 호로파, 보골지(파고지) 등의 온열제를 사용한다. 상·중·하초로 구분해 보자면 상초의 양허에는 부자, 계지, 생강, 마황, 세신 등을 사용하며 중초의 양허에는 건강, 부자 등을 사용하며 하초의 양허에는 보골지, 호로파, 육계, 부자 등을 사용한다.
이를 다시 오장으로 구분해 보자면 심양허의 경우에는 부자를 중심으로 계지, 생강, 세신 등을 활용하며, 폐양허의 경우에는 마황을 중심으로 계지, 생강, 세신, 부자 등을 활용한다. 비양허의 경우에는 건강을 중심으로 보골지, 부자를 배오하여 사용하고, 신양허와 간양허의 경우에는 육계를 중심으로 호로파, 보골지 부자를 배오하여 활용한다.
심양허를 해결하는 기본 본초의 활용은 계지감초탕, 자감초탕, 진무탕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폐양허를 해결하는 기본 본초의 활용은 마황부자세신탕, 계마각반탕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양허를 해결하는 기본 본초의 활용은 이중탕 사신환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양허를 해결하는 기본 본초의 활용은 사역탕, 팔미환, 우귀음, 사신환, 호로파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간양허를 해결하는 기본 본초의 활용은 난간전, 조경종옥탕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창출 12 천궁 백지 세신 강활 고본 감초 4]
신출산(神朮散)은 무로산풍에 의한 두통과 항강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무로산풍이란 산중에서 생기는 안개, 이슬 등의 음습한 외사를 말한다. 신출산을 구성하고 있는 본초의 구성을 보면 무로산풍의 실체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신출산에서는 창출이 12g으로 군약으로 사용된 것이 포인트이다. 이 경우에는 외감에 의한 습울과 한사로 보았기에 평위산을 중심으로 가감하지 않고 창출만 군약으로 부각된 것이다. 창출은 피모에 작용하여 외습을 발산시키는 작용이 있다.
천궁과 백지는 양명경의 인경약이며 두통과 가벼운 한습을 치료한다. 세신은 말초순환을 촉진하며 한습을 치료한다. 고본과 강활은 거풍습하여 두통을 치료한다. 고본은 따뜻한 성질로 풍한습의 외사를 발산시키며, 두정통(頭頂痛)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신출산의 군약인 창출과 좌사약으로 배합된 천궁, 백지, 세신, 고본, 강활 등은 모두 따뜻한 성질을 가진 한약재이다. 이리하여 무로산풍이란 차가운 습기가 있는 바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대비하여 흔히 두통에 많이 사용하는 만형자는 서늘한 성질로 습비경련을 치료하고, 청리두목(淸利頭目)하는 효능이 있다. 두통을 해결하는 좌사약으로 사용되는 본초들은 한열을 구분하여 숙지할 필요가 있다. 신출산에서 사용되는 천궁, 백지, 세신, 강활, 고본은 모두 따뜻한 성질의 약으로 풍한습을 발산시키는 효능을 가진다. 반면에 만형자, 박하, 감국, 시호, 승마, 갈근 등은 서늘한 성질을 가진 약으로 소산풍열(疏散風熱)하는 효능을 가진다. 환자가 호소하는 두통의 원인에 따라 한열을 구별하여 좌사약을 사용해야 한다. 신출산은 총통침법의 [여태 상양-]와 같다.
44세 여성으로 2024년 2월에 보약을 처방받으러 내원하였다. 기운이 없고 운동하고 나면 몹시 피곤해지며, 입이 마르고 건조한 느낌이라 하였다. 오풍, 도한, 조열(더웠다 추웠다 함)이 있고 밤에 누웠을 때 등이 뜨거운 느낌이 올 1월부터 시작되었다 했다. 시야가 뿌였게 보이고 탈모가 많아졌다고 했다. 손이 더운 느낌이고 소화 잘 안되고 부글거린다 하였다. 가스도 많이 찬다고 하였다.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고 올 1월에 생리혈 양이 많았고 2월에 많이 줄었다고 했다.
설진(舌診)에서 특이한 소견은 없었다. 복진을 해 보니 [좌중부 3 우중부 2 좌황수 2 좌 거궐 1/중완 2 좌천추 1]이었다. 위 환자는 폐기허와 폐음허의 병리를 가진 환자로 판단하고, 다음과 같이 한약을 처방하였다.
[황기 12 맥문동 8인삼 사삼 백출 당귀 숙지황 백작약 지골피 지모 6 생감초 후박 오미자 대조 4]
한 달간의 복약 후 확인해 보니 기운이 많이 회복되었고 배 속 부글거림이 사라졌으며 화장실도 잘 가고 잠도 잘 자며, 생리혈이 밝은 붉은색으로 변화되었고 어혈이 없다고 하였다. 밤에 땀이 안 나고 등에 열감이 없으며 식욕도 좋고 시야가 밝아졌다고 하였다. 탈모 증상도 많이 줄었다고 좋아했다. 추가 처방을 원해서 다음과 같이 처방하였다.
[황기 10 맥문동 8 인삼 사삼 백출 당귀 숙지황 백작약 6 지골피 지모 생감초 후박 오미자 대조 4]
위 환자는 그 이후 가족들을 데리고 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