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6810009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1-09-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판소리의 일반적 접근
이야기와 노래의 결합 원리
판소리 사설의 형성과 미학
판소리의 정서와 차별화 전략
2부 신재효와 정현석의 판소리 이론
신재효와 판소리의 사대법례(四大法例)
정현석의 판소리에 대한 생각
판소리 영역의 확대와 <오섬가(烏蟾歌)>
3부 판소리의 웃음과 웃기기 전략
판소리의 웃기기 전략과 웃음의 유형
<삼국지연의>의 웃음과 <적벽가>의 웃음
4부 판소리의 변화와 유파
판소리 작품의 선택과 탈락 원리
<적벽가>와 <삼국지연의>의 거리
중고제(中古制)의 개념과 지향
5부 판소리의 확장
판소리계소설의 파생
창극(唱劇)의 출현
북한 가극의 판소리 수용
주(註)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야기 문학에서 서정을 수용하면서 판소리는 서정을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본질로 인정하게 되었다. 이는 달리 말하면 이야기 문학이 가지고 있는 현실의 모방이나 사실성의 구현이라는 서사의 중요한 특성을 판소리가 포기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춘향이나 심청, 그리고 흥부는 이야기의 세계 속에서 세계에 대한 우월성을 기본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존재들이다. 어떠한 난관이 있어도 그들은 이를 극복하고, 소망을 이루는 인물들인 것이다. 무협지의 주인공이 결코 죽지 않고 자신의 목표한 바를 기어코 이루는 것처럼, 그들은 결코 좌절하지 않고 목표를 향하여 매진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 이야기의 향유자들이 결과가 그러하도록 예정하고, 그것에 대하여 전혀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판소리는 본래 이야기의 예술적 성취를 위해 기존의 음악을 끌어들이면서 이루어졌다. 이야기가 이야기만으로 존재하고 있을 때, 판소리는 이야기에 음악을 끌어들였던 것이다. 따라서 그 음악에 익숙한 집단을 향유층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이미 존재하고 있는 이야기와 음악의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예술을 창조하였고, 이를 통하여 기존의 향유층을 끌어들인 것이 바로 판소리가 출발하면서 선택한 전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