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91168101302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글과 예술
1. 한글의 기본적인 기능
2.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정확한 이해
3. 한글의 과학성
4. 한글과 서예
5. 한글과 그림
6. 한글 폰트에 대한 단상
제2장 디지털 시대의 한글 서체에 대하여
1. 서론
2. 서예의 특징
3. 한글 서예와 한글
4. 디지털 시대의 한글의 기능
5. 디지털 시대의 한글 서체에 대한 몇 가지 제언
6. 맺음말
제3장 정보화 시대와 한글 글꼴 개발
1. 우리나라의 언어생활과 문자생활
2. 의사전달 방식의 변천
3. 말과 문자의 표현 방식의 차이
4. 문자와 그림의 표현 방식의 차이
5. 문장부호의 창안
6. 문자의 변형(특히 한글의 변형)
7. 한글 글꼴의 다양성
8. 정보화 시대의 한글 운용 방법의 특징
9. 정보화 시대의 한글 글꼴의 개발
10. 맺음말
제4장 한국의 종교와 한글 서체
1. 시작하는 말
2.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한글 서체
3. 한글 서체의 역사적 변화
4. 한글 서체의 분류
5. 한국의 종교
6. 종교 관련 한글 문헌
7. 종교 관련 한글 문헌의 한글 서체
8. 마무리
제5장 훈민정음체에서 궁체까지
1. 시작하는 말
2. 한글과 예술
3. 한글과 서예
4. 한글 서예와 한자 서예
5. 한글 서체사의 연구 목적
6. 한글 서예사 연구를 위한 준비
7. 훈민정음해례본체
8.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9. 훈민정음과 서체
10. 한글 서체의 첫 단계 변화
11. 한글 서체의 두 번째 단계 변화
12. 15세기 한글 문헌의 서영
13. 16세기 이후의 한글 서체의 변화
14. 17세기 이후의 한글 서체의 변화
15. 한글 서체 변화의 종합적 기술
16. 궁체
17. 마무리
제6장 한글 자형의 변천사
1. 머리말
2. 한글 자형의 변화
3. 맺음말
제7장 한글 자형의 표준화에 대하여
1. 서언
2. 한글 자형 및 서체에 대한 연구 현황
3. 한글 자형에 대한 교육 현황
4. 한글 자형의 사용 실태
5. 글자 표준안 제정의 원리
6.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및 자형의 변천
7. 한글 자형의 표준안 제시
8. 변이형의 허용 범위 문제
9. 결어
제8장 한글 서예 서체 명칭 통일 방안
1. 머리말
2. 한글 서체 연구의 현황
3. 한글 서체 이름의 불통일의 한 이유
4. 한글 서체 이름의 통일과 전문용어의 표준화
5. 한글 서체 명칭의 혼란상
6. 서체 명칭의 혼란상의 원인
7. 한글 서체 명칭 통일의 이유
8. 한글 서체 명칭의 정비 단계
9. 서체 명칭의 정비 기준
10. 한글 서체 분류에 대한 의견
11. 마무리
제9장 조선시대 언간과 한글 서예로의 효용성
1. 서론
2. 언간의 특징
3. 언간과 서예 교육
4. 언간 서체의 종류
5. 언간 자료집
6. 언간 서체의 선택
7. 맺음말
제10장 언간 서체자전 편찬에 대하여
1. 머리말
2. 언간 서체자전의 편찬 목적 및 용도
3. 목적에 따른 서체자전 편찬의 방향
4. 마무리
제11장 꽃뜰 이미경 선생님의 한글 서예사적 위치
1. 들어가는 말
2. 한글 서예사와 한글 서체사
3. 꽃뜰 선생님은 한글 궁체를 완성시켰다
4. 꽃뜰 선생님은 한글 서예를 한자 서예로부터 독립시켰다
5. 꽃뜰 선생님은 보는 한글 서예에서 보고 듣는 한글 서예로 발전시켰다
6. 꽃뜰 선생님의 한글 서예는 말하는 듯 쓴 서예다
7. 마무리
제12장 국어학자가 본 한글 서예계의 과제
1. 머리말
2. 국어국문학과 한글 서예
3. 국어학자가 본 한글 서예인의 과제
4. 한글 서체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과제
5. 궁체
6. 민체
7. 궁체와 민체
8. 한글 서예 교과서의 문제
9. 맺음말
제13장 『훈민정음 언해본』의 어제 서문을 통해 본 한글 서예 작품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2. 『훈민정음 언해본』의 구조
3. 맺는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