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6869050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3-30
책 소개
목차
글을 엮으며
part 1. 프로 스님들의 이야기
1_ 혜초 스님과 『왕오천축국전』
2_ 천재 번역가, 구마라집 법사
3_ 인도의 허준, 지와카 코마라밧차
4_ 인도의 황진이, 암바팔리
5_ 동양의 콘스탄틴 대제, 아쇼카 대왕
part 2. 붓다의 가계와 혈족
1_ 붓다 암살 작전
2_ 아버지 정반왕의 장례식
3_ 아내 야소다라의 한 맺힌 사부곡
4_ 동생 아난의 여난과 여성 출가
5_ 석가국의 성립 유래와 멸망
part 3. 유명한 스님들
1_ 원효 대사
2_ 나옹 선사의 이중 법맥
3_ 마하 가섭존자, 제2대 불조
4_ 유마 거사의 절대 침묵
5_ 달마 대사, 면벽 9년
6_ 임제 나룻터의 풍광승
7_ 6조 혜능의 전등 비사
part 4. 불교 설화의 교훈
1_ 안수정등 우화
2_ 광덕 스님과 『원왕생가』
3_ 가난한 여인 난타와 모니 공주
4_ 빼어난 외모를 가진 비구니 미묘의 기막힌 인생
5_ 앙굴리마라, 희대의 살인마
part 5. 불교 역사 속의 기이한 일들
1_ 붓다의 쌍신변 이적
2_ 이차돈의 순교
3_ 진묵 대사의 효행
part 6. 불교 이야기
1_ 중국 불교 수난사
2_ 스님에서 황제로 환생한 순치 황제
3_ 빔비사라왕, 불교 제1 공덕주
4_ 붓다의 서른두 가지 모습
글을 마무리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소카 대왕, 동양의 콘스탄틴 대제
『플루타르크 영웅전』 「알렉산더 대왕」 편에 보면 기원전 4세기경 대왕이 인도 서북부(간다라 지방 일대)를 침공했을 때, 인도의 젊은 장교가 알렉산더 대왕에게 마가다국 공격을 건의하는 장면이 있다. 이 젊은 반역 장교가 후일 조국 마가다국의 난다 왕조를 무너뜨리고 기원전 315년에 마우리아 왕조를 일으킨 찬드라 굽타이다.
왕으로 등극한 굽타는 인더스강 근방의 그리스 세력을 일소하고, 시리아의 맹주가 된 알렉산더의 후계자 셀레우코스 리카르도와 자웅을 겨룰 만큼 세력이 강대해졌다. 그는 후일 셀레우코스의 왕녀를 왕비로 맞아들이는 정략혼인으로 셀레우코스와 강화를 맺기까지 한다.
마침내 찬드라굽타는 북으로 히말라야산맥, 남으로 빈디아산맥 너머의 여러 지방, 동으로 벵골만, 서로는 아라비아해에 걸친 통일 제국을 건국해 수도를 파탈리푸트라(화씨성)로 삼아 마우리아 왕조(마우리아는 공작을 뜻함으로 공작 왕조라 한다)를 열었다. 24년간 왕위에 있었으며 철저한 자이나교 신봉자로서 종교적 고행의 삶을 살았다.
석가국의 성립 유래와 멸망
16왕국의 병렬 시대 초기는 쿠루국(kulu)과 판찰라국(Pancala)이 영화를 누렸으나 점차 권력의 이동이 북동부 지역으로 이동했다. 북동부 지역 국가 중 바이살리를 수도로 하는 밧지(Vajii, 왓지)는 절대왕정이 아닌 공화정 형태의 도시국가였는데 브라만들이 지배하고 있었다. 공화정 형태로 유명한 국가가 밧지 이외에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카필라성)의 샤카(shakya, 석가족)가 있었다.
나옹 선사의 이중 법맥
지공은 본래 인도 마가다 국왕의 셋째 왕자였다. 나란타 불교대학을 졸업하고 인도 전역을 순례한 후 중국 원나라로 건너와 대중을 교화하여 천자의 총애까지 받은 고승이었다. 1326년 충숙왕 때 금강산 법기 보살에게 향 공양을 올리기 위해 고려에 들어와 1328년까지 금강산·개경·인천·양산 등을 방문하였다. 나옹은 지공 문하에서 3년간 일심으로 정진하였고 나중 항주 휴휴암과 정자사에서 수행 후 임제종 18대 선맥을 이은 평산 처림을 찾아가 법을 받았다. 그 뒤 다시 지공을 찾아가 세 번째 뵙고 법맥을 이어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