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

(수(數)의 상징체계, 시간과 공간)

장재진 (지은이)
민족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 (수(數)의 상징체계, 시간과 공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69075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민족사 학술총서 79권. 장재진 교수의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 『법화경』에 담긴 시간과 공간개념, 그리고 정토라는 이상세계가 어떻게 유토피아적 상상과 연결되는지를 심도 있게 분석한 학술서이다.
붓다의 정토관을 통해 이상사회를 새롭게 사유하다

민족사에서 장재진 교수의 신간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를 출간했다. 이 책은 『법화경』에 담긴 시간과 공간개념, 그리고 정토(淨土)라는 이상세계가 어떻게 유토피아적 상상과 연결되는지를 심도 있게 분석한 학술서이다.
장교수는 특히 정토와 유토피아의 개념적 차이와 철학적 공통점, 그리고 『법화경』의 세계관에 나타나는 시간·공간 구조, 인간 존재에 대한 통찰 등을 통해 이상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그는 정토를 단지 사후세계로 보지 않고, 현실 속에서 구현 가능한 이상사회로 바라보며,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일불승(一佛乘)’ 사상을 통해 인간의 평등성과 성불 가능성을 강조한다.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는 ‘법화경에 담긴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정토의 세계와 유토피아’라는 두 개의 큰 흐름을 중심축으로 삼고, 정토의 세계가 불교적 신앙을 넘어 인류 보편의 이상세계에 대한 열망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법화경의 시간성과 공간성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법화경』의 시간성과 공간성에 대해서는 2장과 3장에서 자세히 다룬다. 특히 ‘겁(劫, kalpa)’이라는 방대한 시간 개념을 단순히 헤아릴 수 없는 모호한 무한의 개념으로 설명하지 않고, 구체적인 실재의 시간, ‘수치(수)’로 환산하여 설명하였다. 실재적 시간으로서의 겁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법화경』에서 언급되는 가장 큰 수인 석가여래가 이미 성불한 세월인 ‘무량무변백천만억나유타아승기겁(無量無邊百千萬億那由他阿僧祗劫)’은 숫자로 환산하면 43.2×10²⁰⁹이며, 붓다가 도를 닦은 기간인 무량억겁(無量億劫)을 숫자로 환산하면 43.2×10⁸⁴이다. 따라서 ‘겁’을 단지 허구가 아니라, ‘시간의 본질을 상징하는 실재적 언어’로 보고 있다.

법화경』의 공간 개념은 시방(十方)과 시방세계(十方世界)를 중심으로 해석된다. 세계는 시공(時空)을 의미하며 세(世)는 시간, 계(界)는 공간을 뜻한다. 따라서 시방의 세계(世界, lokadhātu)는 단순한 공간 개념을 넘어, 사건이 발생하는 의미 있는 장소로서, 붓다의 설법이 펼쳐지는 전 우주를 상징한다. 『법화경』에서 묘사된 공간과 장소, 그리고 그 중심과 전개 양상을 면밀히 살펴보면, 붓다가 언급한 세계는 추상적이고 모호한 장소가 아니라, 실존하는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세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토, 지금 이 자리에서 구현 가능한 현실 유토피아

이 책의 핵심 중 하나는 정토의 세계와 유토피아 개념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4장과 5장에서는 법화경의 정토관이 단지 사후세계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구현 가능한 이상사회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일불승(一佛乘)’의 가르침을 통해 모든 인간 존재의 평등성과 성취 가능성을 강조한다. 사리불의 ‘이구(離垢)’, 마하가섭의 ‘광덕(光德)’, 수보리의 ‘보생(寶生)’ 등 다양한 정토의 세계를 서술하였다.

저자는 또한 『법화경』에서 묘사된 정토의 세계를 서양의 유토피아 사상, 동양의 무릉도원, 유가에서 말하는 대동세계 등과 비교하며 법화경이 단지 내세 지향적인 신앙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적 실천을 촉구하는 사상임을 강조한다. 이상사회는 단순히 미래에 실현될 꿈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의 수행과 깨달음을 통해 구현 가능한 실천적 이상임을 밝히는 것이다.

『법화경』이 제시하는 세계는 정적이고 추상적인 이상이 아니다. 그것은 사건과 인식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열리는 가능성의 세계다. 고정된 시공간 구조가 아니라, 인연과 작용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성되는 장이며, 정토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수행과 전환의 자리로 기능한다. 이때 ‘일불승’은 모든 존재가 성불할 수 있는 보편적 가능성을 상징하며, 이상세계는 외부가 아닌 우리 내면에서 실현될 수 있는 현실임을 말하고 있다.

《법화경의 세계와 유토피아》는 단순한 경전 해설이나 교리 중심의 설명을 넘어서, 『법화경』을 다층적인 철학적 틀로 분석하고 현대적 언어로 재해석한 점에서 독창적이다. 불교와 수학, 우주론을 접목해 시간과 공간 개념을 보다 철학적으로 탐색하고, 정토와 유토피아의 개념을 창의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법화경이 말하는 정토를 ‘지금 이 자리에서 구현 가능한 현실 유토피아’라는 것이다.

목차

⚫ 책을 내며
⚫ 요약

Ⅰ. 들어가며 : ‘시간과 공간’에 대한 통찰의 가치와 이상세계

Ⅱ. 『법화경』의 시간과 수(數)의 상징체계
1. 『법화경』의 시간개념과 수(數)에 대한 인식
1) 시간개념과 수의 관계
2) 『법화경』 각 품에 나타난 겁(劫)과 수(數)
2. 『법화경』의 겁(劫)과 수(數)에 내재한 시간개념
1) 수명과 존재의 기간
2) 시간의 상징으로 표현된 수
3) 특정한 사건이 진행된 기간

Ⅲ. 『법화경』의 공간(空間)과 시방(十方)
1. 『법화경』의 공간·장소·방위에 대한 인식
1) 공간의 장소화를 통한 존재의 관계성
2)『법화경』의 ‘방위’ 개념과 공간분할의 의미
2. 『법화경』의 시방(十方)과 시방세계(十方世界)
1) 붓다의 편재(遍在)와 일불승(一佛乘)의 시방
2) 붓다의 광명(光明)과 육종진동(六種震動)의 시방
3) 중생의 이익과 수(數)의 많음을 상징하는 시방
4) 사방·사유·상하로 구분되어 묘사된 시방

Ⅳ. 『법화경』의 세계와 정토(淨土)
1. 『법화경』의 수기(授記)와 정토(淨土)
2. 『법화경』의 과거·미래불과 정토(淨土)

Ⅴ. 『법화경』의 정토(淨土)와 유토피아니즘
1. 신화적 관점에서 본 공간·장소·방위의 상징
2. 공간·장소·방위의 상징과 제불 정토
3. 『법화경』의 정토와 제불 정토, 유토피아와 이상세계
4. 『법화경』의 세계, 이상세계관과 유토피아니즘

Ⅵ. 마무리 : 『법화경』에서 수(數)의 상징체계로 본 ‘시공간표현수(時空間表現數)’와 정토 세계

⚫ 참고문헌
⚫ 색인

저자소개

장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25년 현재 동명대학교 미디어대학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국립한국해양대학교에서 국제지역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 동아시아의 종교다원주의와 유토피아』(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최우수학술도서), 『상수학과 역의 원리』, 『상수학과 부의 원리』, 『4차 산업혁명과 종교문화콘텐츠』 등이 있다.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전문위원(미래분과), 부산광역시 민선 7기 인수위원(문화분야), 부산광역시 지역방송발전위원회 위원장, 부산경남대표방송(KNN) 시청자위원, (사)한국인도학회 부회장, (사)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도가도교학회 부회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