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68900202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2-08-26
목차
저자의 간곡한 호소!
Ⅰ. 루터가 아니라 바울이 옳다!
1. 오직 믿음인가? 회개와 믿음인가?
(1) 바울은 로마서에서 회개와 믿음을 강조했다!
(2) 로마서 2장은 회개를 강조한 회개장이다!
1) 로마서 2:1-5
2) 로마서 2:6-11
3) 로마서 2:12-16
4) 로마서 2:17-27
5) 로마서 2:28-29
2. 루터가 주장한 ‘오직 믿음’, 과연 성경적인가?
(1) 나도 오래도록 ‘오직 믿음’에서 온전히 자유하지 못했다!
(2) 오직 믿음은 성경에 단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1) 로마서 1:17
2) 로마서 3:27
3) 로마서 4:13
4) 갈라디아서 2:16
5) 빌립보서 3:9
(3) 오직 믿음이 아니라면 왜 로마서 3장 이후 믿음만 강조했는가?
(4) 놀랍게도 성경에는 더 많은 구원의 조건들이 나온다.
1) 조나단 에드워즈의 예리한 지적
2) 은혜를 조금도 훼손하지 않는 구원의 조건들!
3) 설교자들에게 나타나는 기이한 현상!
3. 바울이 로마서에서 주장한 참 & 온전한 복음!
(1) 로마서에는 칭의 교리에 대해 모순처럼 보이는 두 종류의 말씀이 나온다.
1) 믿음과 은혜를 강조하는 구절들!
① 3-5장에 나오는 믿음을 강조하는 구절들!
② 3-5장에 나오는 은혜를 강조하는 구절들!
2) 순종의 필요성과 버림받음을 경고하는 구절들!
① 6-8장에 나오는 순종을 강조하는 구절들!
② 6-8장에 나오는 버림받을 수 있음을 경고하는 구절들!
(2) 바울은 각각 다른 것을 상대로 복음을 변호하고 있었다!
(3) 두 가지를 합해야 바울이 전한 온전한 복음이 된다!
(4) 로이드 존스의 말은 복음에 대한 온전한 시금석이 아니다!
(5) 루터의 복음이 아니라 바울의 복음으로 돌아가자!
Ⅱ. 칼빈이 아니라 바울이 옳다!
1. 로마서 5장 9-10절
(1) 로마서 4:25
1) 전통적인 견해
2) 새로운 견해!
3) 나의 견해!
(2) 로마서 5:9-10
(3) 그렇다면 한 번 구원은 영원하다는 말이냐?
1) 이 구절들의 위치가 견인의 교리를 설명할 곳이 아니다.
2) 그 사실을 12절의 “그러므로”가 뒷받침해준다.
3) 견인을 설명한 것이면 바울의 다른 글들과 모순이 된다.
4) 이 구절들 안에서 견인의 조건들을 찾아볼 수 없다.
(4) 전혀 생각하지 못한 변수!
1) 이 문구의 “그”는 하나님인가 예수님인가?
2) 이 문구는 ‘생명 안에서’인가 ‘살아나심으로 말미암아’인가?
3) 이 문구는 부활이 주는 생명인가 부활하신 예수님의 변호인가?
(5) 제발 유명 설교자의 그럴듯한 설명에 속지 말라!
2. 로마서 8장 29-30절
(1) 이 구절이 해석이 불가능할 정도로 어려울 수밖에 없는 이유!
(2) 하나님의 은혜로 경험한 성경해석의 기적!
1) 정말 “영화롭게”가 하나님의 자녀로 삼아주신 것을 뜻하나?
2)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이 어떻게 영화롭게 된 것인가?
(3) 하나님이 주신 초유의 해석에 대한 예상 반론!
3. 로마서 8장 31-39절
(1) 이 단락은 칼빈이 주장하는 견인의 교리를 다룬 것이 아니다!
1) 믿는 자가 버림받을 수 있느냐 없느냐는 이미 종결된 문제다!
2) 전통적인 것은 잘못된 해석에 근거한 해석이다.
3) 이 단락은 견인의 교리가 아니라 고난을 다뤘다!
(2) 이 단락의 진짜 의미를 찾기 위한 고된 여정!
1) 첫 해석 - 막연하고 기본적인 이해!
2) 두 번째 해석 - 매력적인 견해!
3) 세 번째 해석 - 바른 해석이라고 착각했던 견해!
4) 최종적인 해석 - 은혜로 깨달은 이 단락의 참 의미!
4. 사람의 계명 - 최종 확인사살!
(1) 바울의 확신은 그 교회 성도들의 상태에 근거한 것이다!
(2) 다른 교회의 성도들에겐 바울이 그런 확신을 갖지 않았다!
(3) 그 성구들이 나오는 책에 버림받을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있다!
부록 1. 로마서 3-8장의 장 구분에 대한 연구!
부록 2. “사망에 이르는 죄”에 대한 심층연구!
1. 고의로 범하는 죄(참고. 레 4:2, 5:1; 민 15:30-31, 18:22)
2. ‘죽음에 이르게 하는 죄’라는 가톨릭의 견해
3. 육체적인 죽음의 징계를 받는 죄
4. 복음을 고의로 완고하게 거부하는 죄
5. 성령을 모독하는 죄
(1) 그 죄를 짓는 자가 신자냐 불신자냐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2) 목사라고 다 거듭난 사람인가? 그렇지 않다!
(3) 성령모독죄는 누가 짓느냐가 아니라 죄질의 문제다.
6. 히브리서 6장 4-6절에 나오는 배교
7. 적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미혹된 죄
(1) 요즘 대세인 이 해석은 옳은 것이 아니다!
1) 헬라어사전의 이 죄에 대한 설명!
2)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에 대한 원어 비교!
3)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와 사망과의 관계!
4) 기도를 금하는 구약의 성경구절들!
5) 성경의 다른 곳에 나오는 이단에 대한 지침!
6) 그들의 설명에 나타나 있는 모순!
(2) “사망에 이르는 죄”가 그것이 아니라면 과연 어떤 죄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