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오제중 (지은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6919156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중국문자는 수천 년의 세월을 거치며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한자문화권’이라는 문자를 통한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중국문자는 각 나라와 지역 고유의 서사적인 언어 기록과 문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담아내고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중국문자 인식의 역사
1. 중국문자의 개념
1.1 문자와 문자학(文字學)의 관계

1.2 문자와 부호(符號)의 관계

1.3 문자와 언어(言語)의 관계

1.4 언어문자와 문학(文學)의 관계

2. 중국문자의 기원
3. 중국문자의 구성 요소
3.1 형음의(形音義) 상호 관계

3.2 형음의(形音義) 구성 내용

3.2.1 자형(字形)

3.2.2 자음(字音)

3.2.3 자의(字義)

4. 중국문자의 파생 과정
4.1 고금자(古今字)

4.2 통가자(通假字)

4.3 이체자(異體字)

2장 중국문자 연구의 역사
1. 중국문자의 조자(造字) 원리
1.1 문(文)과 자(字)의 개념

1.2 약정속성(約定俗成)과 음근의통(音近義通)

1.2.1 성훈(聲訓)

1.2.2 우문설(右文說)

2. 육서론(六書論)
2.1 육서(六書)의 명칭과 차례

2.2 육서(六書) 조자설(造字說)과 체용설(體用說)

2.3 육서(六書)의 내용

2.3.1 상형(象形)

2.3.2 지사(指事)

2.3.3 회의(會意)

2.3.4 형성(形聲)

2.3.5 전주(轉注)

2.3.6 가차(假借)

3. 『설문해자』(說文解字)와 중국문자 연구
3.1 중국의 전통 자서(字書)

3.1.1 자서(字書)의 기원과 『사주편』(史?篇)

3.1.2 소학류(小學類) 자서(字書)의 분류

3.2 『설문해자』(說文解字)의 탄생 배경과 표제자(標題字)

3.3 『설문해자』(說文解字) 부수(部首)

3.4 『설문해자』(說文解字) 자의(字義) 해석

3.5 『설문해자』(說文解字) 수록 자형

3.5.1 혹체(或體)

3.5.2 속체(俗體)

3.6 『설문해자』(說文解字) 주음(注音) 방법

3장 중국문자 변화의 역사
1. 고문자(古文字) 단계 자형 변화
1.1 갑골문(甲骨文)

1.2 금문(金文)

1.2.1 한대(漢代) 금문학(金文學)

1.2.2 송대(宋代) 금문학(金文學)

1.2.3 청대(淸代) 금문학(金文學)

1.3 주문(?文)과 고문(古文)

1.3.1 주문(?文)

1.3.2 고문(古文)

1.3.3 전초고문(傳抄古文)

1.4 소전(小篆)

2. 근대문자(近代文字) 이후 자형 변화
2.1 예서(?書)

2.2 해서(楷書)

2.3 초서(草書)

2.4 행서(行書)

2.5 간화자(簡化字)

중국 역사연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오제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사범대학(國立臺灣師範大學)에서 문자학으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버클리대학교(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Center for Chinese Studies)와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ultures)에서 방문학자로 연구를 진행했다. 『한중일 공용한자 808자』(공저) 등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설문해자』를 비롯한 고대 중국어학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원장과 한국중국언어학회 부회장 및 수석학술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중국문자 인식의 역사
1. 중국문자의 개념
1.1 문자와 문자학(文字學)의 관계
중국문자(中國文字) 발전의 역사를 살피기 위해서는 먼저 문자의 개념 및 이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 영역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문자학(文字學)이란 문자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과 개념 그리고 유관 학문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학문 영역은 다시 몇 개의 하위 부류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자형론(字形論)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문자의 자형 변화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동한(東漢) 시대 허신(許愼)이 편찬한 『설문해자』(說文解字)는 중국문자의 조자(造字) 원리인 육서(六書) 이론에 관한 대표적인 자서(字書)이다. 이러한 육서론(六書論)은 문자 발전의 단계와 구조를 연구하는 것으로 청대(淸代) 이후 문자학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이밖에도 『설문해자』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설문학(說文學)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고문자학(古文字學)이란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 등의 고대문자의 종합적인 연구로 이를 통해 문자의 구조 및 정형화된 문자의 정착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문자학의 영역은 학문의 발전에 따라 갑골학(甲骨學), 금문학(金文學), 전국문자학(戰國文字學) 등과 같이 더욱 정교하고 세밀하게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나아가 역사학, 문화학, 고고학 등의 상관 학문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문자학 연구 영역〉

자형론 ? 구형학(構形學) 및 간화(簡化), 번화(繁化) 등의 자형 연구

육서론 ?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등 조자 원리 연구

설문학 ? 『설문해자』 대상 연구

고문자학 ? 갑골학, 금문학, 전국문자학 등 자형 변화 연구

+ 역사학, 문화학, 고고학 등

중국문자를 연구하는 학문을 현재는 일반적으로 문자학이라고 하지만 고대에는 이것을 소학(小學)이라고 불렀다. 이것과 관련하여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 「古者八歲入小學, 故『周官·保氏』掌養國子, 敎之六書, 謂象形, 象事, 象意, 象聲, 轉注, 假借, 造字之本也.」

의 기록에 따르면 고대에는 여덟 살 어린 나이에 소학에 입문하여 문자를 익히고 학관 보씨가 육서를 가르쳤는데 이것이 바로 소학의 기초 과정이다. 또한 소학은 육서를 중국문자를 익히는 기본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육서를 통해 문자의 구조와 유형을 이해하게 되었다. 따라서 후세의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육서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문자와 관련된 학문을 소학(小學)이라고 하게 되었다.

중국문자의 구성 요소는 자형(字形), 자음(字音), 자의(字義)의 세 가지 요소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따라서 고대에는 이러한 세 가지 방면의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서적들을 모두 소학의 영역에 편입하였다. 이후 청대 건륭(乾隆)과 가경(嘉慶) 시기 이래로 소학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각 영역의 내용을 형음의(形音義)로 나누어 분명히 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를 각기 문자학(文字學), 성운학(聲韻學), 훈고학(訓?學)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소학 또는 문자학은 그것의 범주를 광의(廣義)와 협의(狹義)로 나눌 수 있다. 광의의 문자학은 앞서 언급한 형음의(形音義)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자형학(字形學), 음운학(音韻學), 훈고학(訓?學)의 내용이 담겨있다. 이에 반해 협의의 문자학은 주로 자형 위주의 학문 내용만을 다루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문자의 특성상 형음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엄밀한 잣대로 구분하기는 어려우며 여기서 비롯된 개별 학문의 영역 역시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6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