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91169191838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24-02-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 음운변화 원리론
음운탈락 규칙의 경쟁성에 대하여
음운변화의 잠재(潜在)기능에 대하여
음운변화 현상의 상반성(相反性)에 대하여
제2부 : 음운변천사 논고
고대 국어의 음운변화에 대하여
‘ㅎ, ㆅ’의 구개음화에 관한 여러 문제
국어 음운사에서 부음 y의 기능에 대하여
제3부 : 음운론과 문자론
반치음(ㅿ)에 대한 여러 문제
국어 모음조화의 오산 문제
합용 병서에 관한 연구
각자 병서에 관한 연구
제4부
차자표기어 해석법
지명어 차자표기 해석법
『삼국유사』 「할주지명」의 음운론적 해석 문제
이두어(吏讀語)의 음운변화에 대하여
염독 이차돈(猒髑異次頓)의 해석 문제
Rule Reordering in Middle Korean Phonology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음운탈락 규칙의 경쟁성에 대하여
1. 서론
1.1. 국어의 음운구조 제약 때문에 겹받침으로 끝나는 어휘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나, 겹받침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혹은 어미가 올 때는 겹받침 중 하나를 탈락시킨다. 그 구체적인 예를 들면
(1) a b
흙 → 흘 흙 → 흑
닭 → 달 /ㄺ/→[ㄹ] 닭 → 닥 /ㄺ/→[ㄱ]
흙도 → 흘도 흙도 → 흑도
닭도 → 달도 닭도 → 닥도
(2) a b
굵다 → 굴다 굵다 → 국다
굵고 → 굴고 /ㄺ/→[ㄹ] 굵고 → 국고 /ㄺ/→[ㄱ]
넓다 → 널다 넓다 → 넙다
넓고 → 널고 /ㄼ/→[ㄹ] 넓고 → 넙고 /ㄼ/→[ㅂ]
와 같은 a·b 두 방향의 변화현상이 곧 그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이 a·b의 두 탈락 현상을 놓고 학자에 따라서는 a에다 초점을 맞추어 이를 울림 동화(開口調音原則)로만 분석하려 하였는가 하면 이와는 반대로 이를 간극도 동화(閉口調音原則)로만 기술하려는 획일적인 방안만을 모색하여 왔다. 이와 같은 집착 때문에 자음군 중 1자음 탈락현상을 분석기술하는데 어느 한 규칙(울림도 동화규칙 혹은 간극도 동화 규칙)만 적용하여 문제를 풀다가 적용된 규칙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남게 되면 그것들을 예외로 돌리거나 아니면 궁리한 끝에 최초의 규칙을 깁고 기우는 방법으로 누더기 규칙을 만들어 어떻게 하여서든 해결하려고 최선을 다하여 왔다. 그러나 앞에서 예시한 a·b의 현상은 두 규칙(開口調音原則과 閉口調音原則) 중 어느 한 규칙만으로는 양쪽을 모두 포괄하여 만족스럽게 기술할 수 없다는 점을 문제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