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어 음운변천사 연구

국어 음운변천사 연구

도수희 (지은이)
한국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국어 음운변천사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어 음운변천사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91169191838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24-02-22

책 소개

저자가 국어학에 입문한 시기는 국어학계가 중세 국어의 음운론 연구에 애착하여 있던 때였다. 저자도 그처럼 풍미하던 한시기의 세찬 조류에 휩쓸려 석사학위 논문으로 ‘모음조화고’(1963)를 썼다.

목차

머리말

제1부 : 음운변화 원리론
음운탈락 규칙의 경쟁성에 대하여
음운변화의 잠재(潜在)기능에 대하여
음운변화 현상의 상반성(相反性)에 대하여

제2부 : 음운변천사 논고
고대 국어의 음운변화에 대하여
‘ㅎ, ㆅ’의 구개음화에 관한 여러 문제
국어 음운사에서 부음 y의 기능에 대하여

제3부 : 음운론과 문자론
반치음(ㅿ)에 대한 여러 문제
국어 모음조화의 오산 문제
합용 병서에 관한 연구
각자 병서에 관한 연구

제4부
차자표기어 해석법
지명어 차자표기 해석법
『삼국유사』 「할주지명」의 음운론적 해석 문제
이두어(吏讀語)의 음운변화에 대하여
염독 이차돈(猒髑異次頓)의 해석 문제
Rule Reordering in Middle Korean Phonology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어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형태소이다. 그 형태소를 구성하는 의미 있는 최소 단위가 음운이다. 따라서 어휘 변화는 형태소를 구성하는 음운변화로부터 비롯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어학의 모든 분야는 음운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래서 저자는 음운론의 중요성을 절감하며 재삼 강조하게 된다. 그런 차원에서 앞으로 이 소저(小著)가 음운론을 토대로 하여 진행되는 국어학 분야의 모든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구(希求)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음운탈락 규칙의 경쟁성에 대하여

1. 서론

1.1. 국어의 음운구조 제약 때문에 겹받침으로 끝나는 어휘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나, 겹받침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혹은 어미가 올 때는 겹받침 중 하나를 탈락시킨다. 그 구체적인 예를 들면

(1) a b

흙 → 흘 흙 → 흑

닭 → 달 /ㄺ/→[ㄹ] 닭 → 닥 /ㄺ/→[ㄱ]

흙도 → 흘도 흙도 → 흑도

닭도 → 달도 닭도 → 닥도

(2) a b

굵다 → 굴다 굵다 → 국다

굵고 → 굴고 /ㄺ/→[ㄹ] 굵고 → 국고 /ㄺ/→[ㄱ]

넓다 → 널다 넓다 → 넙다

넓고 → 널고 /ㄼ/→[ㄹ] 넓고 → 넙고 /ㄼ/→[ㅂ]

와 같은 a·b 두 방향의 변화현상이 곧 그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이 a·b의 두 탈락 현상을 놓고 학자에 따라서는 a에다 초점을 맞추어 이를 울림 동화(開口調音原則)로만 분석하려 하였는가 하면 이와는 반대로 이를 간극도 동화(閉口調音原則)로만 기술하려는 획일적인 방안만을 모색하여 왔다. 이와 같은 집착 때문에 자음군 중 1자음 탈락현상을 분석기술하는데 어느 한 규칙(울림도 동화규칙 혹은 간극도 동화 규칙)만 적용하여 문제를 풀다가 적용된 규칙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남게 되면 그것들을 예외로 돌리거나 아니면 궁리한 끝에 최초의 규칙을 깁고 기우는 방법으로 누더기 규칙을 만들어 어떻게 하여서든 해결하려고 최선을 다하여 왔다. 그러나 앞에서 예시한 a·b의 현상은 두 규칙(開口調音原則과 閉口調音原則) 중 어느 한 규칙만으로는 양쪽을 모두 포괄하여 만족스럽게 기술할 수 없다는 점을 문제로 삼고자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5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