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감염
· ISBN : 9791169489102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24-01-30
목차
CHAPTER 1 감염관리의 필요성과 감염관리 체계
1. 개요
2. 감염관리의 목적
3. 감염관리 체계
1) 전담 조직
2) 감염관리 프로그램
4. 지속 가능한 감염관리
CHAPTER 2 감염감시와 유행조사
1. 개요
2. 토착과 유행
3.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4. 의료관련감염의 원인균
5. 의료관련감염의 종류
6. 의료관련감염의 증가 원인
7. 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8. 유행조사 및 관리의 목적
9. 유행조사 시 주의사항
10. 유행발생 사례
11. 유행의 확인
12. 유행조사의 방법
1) 사례 정의
2) 사례 발견
3) 유행 확인
4) 기술역학
5) 가설 설정
6) 가설 검정
7) 자료 분석
8) 임상미생물검사
9) 환경감시
10) 결과 해석
11) 관리 방법의 도입 및 평가
12) 조사자료의 보고
13. 결론
CHAPTER 3 손위생
1. 개요
2. 손위생의 중요성
3. 손위생의 개념
4. 손위생 제제
1) 비누
2) 피부소독제
5. 손위생 방법
1) 내과적 손위생
2) 외과적 손위생
6. 손위생을 해야 하는 경우
1) 환자 접촉 전
2) 청결/무균 처치 전
3) 체액(혈액) 노출 위험 후
4) 환자 접촉 후
5)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7. 손위생 증진 전략
1) 시스템 개선
2) 교육과 훈련
3) 모니터링과 피드백
4) 리마인드
5) 안전문화
CHAPTER 4 격리
1. 개요
2. 감염의 전파 기전
3. 격리지침의 개정 배경
1) 신종감염병 발생
2) 기존 병원체의 재유행
3)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
4) 생물테러의 위협
4. 격리지침의 변천
5. 격리주의 적용
1) 신종감염병과 격리주의
6. 표준주의
1) 표준주의의 구성요소
7. 전파경로별 주의
1) 접촉주의
2) 비말주의
3) 공기주의
8. 결론
CHAPTER 5 소독과 멸균
1. 개요
2. 소독과 멸균의 중요성과 목적
3. 주요 용어 정의
4. 기구 세척 시 주의사항
5. 미생물에 대한 소독제의 효과
1) 아포가 있는 세균
2) 결핵균
3) 비지질성 소형 바이러스
4) 진균
5) 일반 세균
6) 지질성 중형 바이러스
6. 기구 위험도와 특성에 따른 소독 수준과 멸균
1) 감염의 위험도에 따른 의료기구 분류
2) 소독제 승인 기구
3) 멸균과 소독 수준 분류
7. 멸균의 종류 및 특성
1) 고온 멸균
2) 저온 멸균
8. 소독 수준별 분류
1) 높은 수준의 소독
2) 중간 수준의 소독
3) 낮은 수준의 소독
9. 기구의 소독과 멸균 알고리즘
10. 기타 소독 방법과 특성
11. 소독과 멸균 고려사항
1) 의료기구의 재사용
2) 소독제 선택
3) 물질안전보건자료
4) 감시
12. 결론
CHAPTER 6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관리
1. 개요
2. 요로감염의 특성
3. 요로감염의 정의
4. 소변 배양 시 주의사항
5. 요로카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