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69956925
· 쪽수 : 658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5
초록/9
Abstract/12
주요 용어 및 약어/15
제1장 중국 남방 민족과 민족 언어 23
1.1 중국 남방의 민족 23
1.2 중국 남방의 민족 언어 25
1.2.1 중국티베트어계 언어/25
1.2.2 오스트로아시아어계 언어/28
1.2.3 오스트로네시아어계 언어/29
1.3 남방 민족과 남방 민족 언어의 관계 31
제2장 어순 유형학 연구의 이론 원칙 35
2.1 어순 유형학의 보편성 연구 35
2.2 어순 유형학의 기본 형식 38
2.3 어순 유형학의 기본 형식에 관한 해석 47
2.3.1 통사론적 해석/47
2.3.2 의미론적 해석/50
2.3.3 선형적 해석/52
2.3.4 통시적 해석/53
2.4 어순 유형학에 관한 기타 형식 57
2.4.1 언어 유형과 기본 형식의 괴리/57
2.4.2 기본 형식과 관련된 기타 대응성/60
2.4.3 기본 형식 외의 대응성/61
2.4.4 어순 유형학의 복합 형식/62
2.5 추후 논의가 필요한 문제 63
2.5.1 기본 어순 이론/63
2.5.2 관련 범주의 확정/67
2.5.3 전망/69
2.6 어순 유형학 연구의 매개변수 70
2.7 어순 유형 매개변수 73
2.8 연구 범위 74
2.9 자료 출처 75
제3장 티베트버마어족 언어의 어순 유형 77
3.1 티베트버마어족 언어의 기본 어순 유형 78
3.1.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78
3.1.2 동사와 양태부사의 어순/80
3.1.3 동사와 부정부사의 어순/83
3.1.4 형용사와 정도부사의 어순/92
3.1.5 형용사와 부정부사의 어순/100
3.1.6 전치사와 후치사의 어순/105
3.1.7 동격어 구조의 어순/126
3.1.8 차등 비교문의 어순/129
3.2 티베트버마어족 언어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 150
3.2.1 명사와 명사의 어순/150
3.2.2 명사와 속격의 어순/161
3.2.3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176
3.2.4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186
3.2.5 명사와 양사 구조의 어순/195
3.2.6 명사와 관계사절의 어순/232
3.3 소결론 251
3.3.1 기본 어순 유형/251
3.3.2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254
제4장 캄타이어족 언어의 어순 유형 259
4.1 캄타이어족 언어의 기본 어순 유형 260
4.1.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260
4.1.2 동사와 양태부사의 어순/261
4.1.3 형용사와 정도부사의 어순/266
4.1.4 동사와 형용사, 부정부사의 어순/272
4.1.5 개사의 어순/276
4.1.6 차등 비교문의 어순/285
4.2 캄타이어족 언어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 292
4.2.1 명사와 명사의 어순/292
4.2.2 명사와 속격의 어순/299
4.2.3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307
4.2.4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310
4.2.5 명사와 양사 구조의 어순/313
4.2.6 명사와 관계사절의 어순/338
4.3 소결론 349
4.3.1 기본 어순 유형/349
4.3.2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353
제5장 몽몐어족 언어의 어순 유형 359
5.1 몽몐어족 언어의 기본 어순 유형 360
5.1.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360
5.1.2 동사와 양태부사의 어순/361
5.1.3 동사와 부정부사의 어순/363
5.1.4 형용사와 정도부사의 어순/365
5.1.5 형용사와 부정부사의 어순/369
5.1.6 개사의 어순/370
5.1.7 동격어 구조의 어순/375
5.1.8 차등 비교문의 어순/378
5.2 몽몐어족 언어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 382
5.2.1 명사와 명사의 어순/382
5.2.2 명사와 속격의 어순/391
5.2.3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395
5.2.4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398
5.2.5 명사와 양사 구조의 어순/403
5.2.6 명사와 관계사절의 어순/421
5.3 소결론 424
제6장 거양어군 언어의 어순 유형 429
6.1 거양어군 언어의 기본 어순 유형 430
6.1.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430
6.1.2 동사와 양태부사의 어순/432
6.1.3 형용사와 정도부사의 어순/433
6.1.4 동사와 형용사, 부정부사의 어순/435
6.1.5 개사의 어순/440
6.1.6 차등 비교문의 어순/449
6.2 거양어군 언어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 454
6.2.1 명사와 명사의 어순/454
6.2.2 속격의 어순/457
6.2.3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459
6.2.4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461
6.2.5 명사와 양사 구조의 어순/462
6.2.6 명사와 관계사절의 어순/475
6.3 소결론 480
6.3.1 기본 어순 유형/480
6.3.2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482
제7장 오스트로아시어계 언어의 어순 유형 487
7.1 오스트로아시어계 언어의 기본 어순 유형 487
7.1.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487
7.1.2 동사와 양태부사의 어순/491
7.1.3 동사와 부정부사의 어순/493
7.1.4 형용사와 정도부사의 어순/495
7.1.5 형용사와 부정부사의 어순/499
7.1.6 개사의 어순/501
7.1.7 차등 비교문의 어순/510
7.2 오스트로아시어계 언어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 514
7.2.2 명사와 속격의 어순/520
7.2.3 명사와 동사의 어순/523
7.2.4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527
7.2.5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530
7.2.6 명사와 양사 구조의 어순/531
7.2.7 명사와 관계사절의 어순/556
7.3 소결론 563
7.3.1 기본 어순 유형/563
7.3.2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566
제8장 타이완 남도어의 어순 유형 571
8.1 타이완 남도어의 기본 어순 유형 572
8.1.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572
8.1.2 동사와 양태부사의 어순/574
8.1.3 동사와 부정부사의 어순/575
8.1.4 형용사와 정도부사의 어순/577
8.1.5 형용사와 부정부사의 어순/580
8.1.6 개사의 어순/582
8.1.7 차등 비교문의 어순/587
8.2 타이완 남도어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 589
8.2.1 명사와 명사의 어순/589
8.2.2 명사와 속격의 어순/594
8.2.3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600
8.2.4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602
8.2.5 명사와 양사 구조의 어순/604
8.2.6 명사와 관계사절의 어순/609
8.3 소결론 615
8.3.1 기본 어순 유형/615
8.3.2 명사구 통사구조의 어순 유형/616
제9장 중국 남방 민족 언어 어순 유형의 비교 619
9.1 남방 민족 언어 어순 유형의 비교 619
9.1.1 중국 남방 민족 언어 기본 어순 유형의 비교/619
9.1.2 중국 남방 민족 언어 명사구 통사구조 어순 유형의 비교/624
9.2 중국 남방 민족 언어 어순 유형의 기본결론 632
부록/635
참고문헌/641
저자 발문/649
역자 후기/6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