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글씨 쓰기
· ISBN : 9791170292326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23-03-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1단계
자음자 바르게 쓰기
모음자 바르게 쓰기
낱말 바르게 쓰기
문장 바르게 쓰기
2단계
자음자와 모음자를 합한 글자 쓰기
낱말 바르게 쓰기
문장 바르게 쓰기
3단계
받침 있는 글자 쓰기
낱말 바르게 쓰기
문장 바르게 쓰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여러분! 사람은 누구나 바르고 예쁜 글씨 쓰기를 소망합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드물어요. 자신의 마음에 드는 예쁜 글씨체가 저절로 얻어지는 것은 아니거든요. 그러므로 우리가 맨 처음 한글을 배우고 익힐 때부터 우리말과 글을 제대로 읽고 쓰는 습관을 길러, 바르고 예쁜 자신만의 글씨체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바른 글씨, 예쁜 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호흡을 가다듬고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힌 다음, 천천히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을 기울여 반복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그렇게 오랜 시간을 두고 꾸준히 쓰고 또 쓰는 연습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정말 예쁜 자신만의 글씨체를 갖게 된답니다.
또한 글씨 쓰기는 우리 두뇌 발달과 집중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글씨를 잘 쓰면 자연히 공부하고 싶어 하는 마음도 생기게 되겠지요? 그러면서 모든 일에 자신감을 갖게 되고, 다른 과목을 공부할 때도 매우 효과가 좋으므로 쓰기 연습은 단순히 예쁜 글씨를 쓰는 것으로 그치지 않습니다.
여러분! 글씨를 잘 쓴다는 것은 바르고 예쁜 글자의 모양을 갖추는 것이므로 글자의 형태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낱자라 하더라도 자리 잡는 위치와 어떤 모음을 만나느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획의 방향과 길이, 간격 등을 잘 관찰하면서 쓰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면 기역(ㄱ)이 아(ㅏ)를 만나면 ‘가’로 쓰지만, 기역(ㄱ)이 으(ㅡ)를 만나면 ‘그’가 되므로 같은 기역을 쓰더라도 만나는 모음에 따라 달리 써야 하는 거예요.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요?
그리고 또 하나 꼭 기억해야 하는 것은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쓰려고 하지 말고, 각자 자신의 수준에 맞게 적당한 양을 정해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는 거예요. 자칫 욕심을 부리다가는 처음부터 흥미를 잃고 쓰기 연습을 게을리 할 수 있거든요.
다시 한 번 말하지만 글씨를 바르고 예쁘게 쓰는 것은 짧은 시간의 연습만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아요. 하루에 15분 정도의 시간을 투자하여 꾸준히, 성실하게 반복 연습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이 책을 만난 모두가 바른 글씨, 예쁜 글씨를 쓸 수 있을 거예요.
<일러두기>
1. 쓰기의 목적
글 쓰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일로, 붓이나 펜, 연필과 같이 선을 그을 수 있는 도구로 종이 따위에 획을 그어서 일정한 글자의 모양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2. 쓰기의 바른 자세
글씨를 단정하게 쓰려면 먼저 마음의 긴장을 풀고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다음과 같이 바른 자세를 취합니다.
먼저 어깨의 힘을 빼고 등이 구부러지지 않은 곧은 자세로 상체를 세웁니다. 머리는 약간 앞으로 숙여서 눈과 종이와의 거리를 30센티미터 정도 유지합니다. 왼손은 자연스럽게 펴서 종이 왼쪽 위에 가볍게 올려놓고 오른손 손목 부분이 종이에 가볍게 닿게 하여 부드럽게 씁니다.
3. 연필 잡는 법
글씨를 쓸 연필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고 가운뎃손가락은 안쪽을 받치며 쓰는데, 이때 종이의 면과 연필의 기울기는 45~60도 정도를 유지하여 너무 힘을 주지 말고 가볍게 손목을 움직이는 것이 가장 좋은 자세입니다.
4. 한글 쓰기의 특성
한글은 글자의 짜임새가 한자와는 다르기 때문에 글씨를 쓰는 요령도 약간씩 다릅니다. 한글은 그 선이 부드럽고 자연스럽기 때문에 모든 획은 대체로 한자의 획보다 모나지 않고 부드럽게 써야 하며, 글자의 주된 역할을 하는 세로획은 가늘게 내리긋듯 쓰되, 일부러 끝을 구부리지 말고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리긋듯이 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