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7041112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2-09-2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대한민국은 [ ] 국가
01 : 대한민국은 아열대 국가
1200년 만에 가장 빨리 개화한 벚꽃 | 현상금 50만 원 명태를 찾아라 | 식물의 대이동
02 : 대한민국은 물 부족 국가
물을 물 쓰듯 하면 안 됩니다 | 눈에 보이지 않는 물 ‘가상수’ | 데이 제로(Day Zero)
03 : 대한민국은 기후악당 국가
배달에 필요한 탄소발자국 | 푸드 마일리지(Food Mileage)
2장 기후 변화를 늦추기 위한 노력
01 : 그레타 툰베리
툰베리의 등장 | 기후를 위한 학교 파업
02 : 지구를 지키는 단체들
그린피스|세계자연기금|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쿨맵시란? |온맵시란?
03 : 지구촌 사람들의 결의
COP26 | 우리나라가 가라앉고 있어요
3장 미래의 식량 곤충
01 : 지구온난화의 주범
주범은 트림과 방귀 | 알쏭달쏭 방귀세
02 : 영화 속의 식용곤충
설국열차의 단백질 바
03 : 어쩌다 곤충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단백질 보충원 | 지구까지 생각한 미래 먹거리
04 : 아낌없이 주는 곤충
곤충의 재발견 | 정부에서 인정한 식용곤충 10종
4장 가짜에서 진짜까지
01 : 고기가 아닌 고기
식물성 고기 | 고기를 실험실에서 | 세포로 만든 참치회
02 : 인공 고기
3D프린터로 고기를 | 메탄가스를 줄인 진짜 고기
03 : 세포배양과 유전자 기술
세포배양 vs 유전자 변형(GMO) vs 고기 | 세포배양 vs 줄기세포
04 : 이미 제3차 세계전쟁 중
배양 vs 양식 | 종자 전쟁 VS 세포 전쟁
5장 미래 농부
01 : 식물공장
마션의 감자밭을 우리 집으로 | 일석삼조(맑은 공기, 싱싱한 채소, 미세먼지는 덤으로)
02 : 물류 혁명
주차장을 식물공장으로 |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03 : 저장 창고와 온실은 역사 속으로
농산물 저장 창고와 온실 | 농약뿐만 아니라 사라질 각종 약품 | 스마트 팜
04 : Any Where / Any Time / Any Plant
시공간을 초월한 식물공장 | 상용화를 위한 해결 과제
6장 미래 먹거리
01 : 6차 산업화의 준비
6차 산업화 | 필요한 기술력 |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02 : 반복되는 역사
수소 vs 탄소 | 프랑크푸르트 선언 | 붉은 깃발법(Red Flag Act)
03 : 미래 먹거리 = 생존
식량의 무기화 |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 FTA와 WTO 농산물 개방 | 개도국을 넘어 선진국으로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한민국의 기후가 아열대 기후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바나나, 망고, 강황, 파파야, 커피, 구아바 등 다양한 작물들을 농가에서 재배하여 수확하고 있습니다. 아열대 과일을 한국산으로 맛볼 수 있게 되었다고 무조건 좋아해야 할까요? 예전부터 재배되던 과수 작물은 나무를 옮겨 심거나 잘라야 할지도 모릅니다.
2019년 글로벌 퓨처 위크는 9월 20일 금요일과 9월 27일 금요일을 중심으로 150개국 이상에서 4,500건의 파업을 기록했습니다. 세계 역사상 가장 큰 기후 공격일 가능성이 큰 9월 20일 파업에는 약 400만 명의 시위대가 모였고, 그중 상당수는 독일에서 140만 명을 포함한 학생들이었습니다. 9월 27일, 이탈리아에서 100만 명이 넘는 시위대와 캐나다에서 수십만 명의 시위대가 시위에 참여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단 한 명의 학생이 시작한 기후를 위한 학교 결석 행동이 이처럼 커질 줄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레타 툰베리는 이 파업 이전에 환경 공부를 많이 했었고, 이를 통해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알고 있었습니다.
방귀세를 내면 소를 키우는 사람들이 줄어들까요? 키우는 소를 줄이지 못하니 사료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인 메탄가스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초류가 함유된 사료를 먹은 소가 배출하는 메탄가스의 80% 가까이가 줄어들었다고 하니 언젠가는 방귀세가 없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부 채식주의자들은 육식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도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육식을 포기할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