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미생물학
· ISBN : 9791170682080
· 쪽수 : 770쪽
· 출판일 : 2025-01-02
책 소개
목차
SECTION I. 총론
Chapter 01. 임상미생물학적 진단법
Chapter 02. 감염분자진단법
Chapter 03. 임상미생물검사실 자동화
Chapter 04. 임상미생물검사실 질관리와 인증
Chapter 05. 임상미생물학적 진단검사적정사용
SECTION II. 세균학
Chapter 06. 세균의 분류, 유전학, 대사학
Chapter 07. 검체 채취, 운송 및 전처리
Chapter 08. 항균제와 항균제 내성기전
Chapter 09. 항균제감수성검사
Chapter 10. 항균제 내성의 분자진단
Chapter 11. Staphylococcus 및 관련 그람양성알균
Chapter 12. Streptococcus
Chapter 13. Enterococcus
Chapter 14. Bacillus 및 기타 호기성 아포형성균
Chapter 15. 아포 무형성 그람양성막대균: Corynebacterium, Listeria, Erysipelothrix
Chapter 16. Mycobacterium, Nocardia, 기타 호기성 actinomycetes
Chapter 17. 까다로운 그람음성막대균: Neisseria, Haemophilus
Chapter 18. Enterobacterales
Chapter 19. Vibrio, Aeromonas 및 관련 그람음성막대균
Chapter 20. Pseudomonas, Acinetobacter 및 기타 비발효 그람음성막대균
Chapter 21. Bordetella , Francisella , Brucella
Chapter 22. Legionella
Chapter 23. 혐기균 개론
Chapter 24. Peptostreptococcus, Finegoldia, Anaerococcus, Veillonella 및 기타 혐기성 알균
Chapter 25. Clostridia 및 기타 혐기성 아포비형성 그람양성막대균
Chapter 26. Bacteroides , Porphyromonas , Prevotella , Fusobacterium 및 혐기성 아포비형성 그람음성막대균
Chapter 27. Campylobacter, Arcobacter, Helicobacter 및 기타 나선균
Chapter 28. Mycoplasma , Ureaplasma
Chapter 29. Rickettsia , Orientia ·
Chapter 30. Chlamydia
Chapter 31. Erlichia, Anaplasma, 기타 세포내 기생균
SECTION III. 바이러스학
Chapter 32. 바이러스 총론
Chapter 33. 바이러스 진단법
Chapter 34. 호흡기 바이러스
Chapter 35. 위장관 바이러스
Chapter 36. 간염바이러스
Chapter 37. Measles Virus, Mumps Virus, Rubella Virus
Chapter 38. HIV, HTLV
Chapter 39. Herpesvirus
Chapter 40. Adenovirus
Chapter 41. Human Papillomavirus
Chapter 42. Polyomavirus, Parvovirus
Chapter 43. Poxvirus
Chapter 44. 기타 RNA 바이러스
Chapter 45. 항바이러스제와 항바이러스제 내성
Chapter 46. 프리온 질환
SECTION IV. 진균학
Chapter 47. 진균학 총론
Chapter 48. Candida
Chapter 49. Candida 외 효모균
Chapter 50. Aspergillus
Chapter 51. 접합균류
Chapter 52. 초자양진균
Chapter 53. 갈색진균
Chapter 54. 피부사상균
Chapter 55. 두형태 진균
Chapter 56. Pneumocystis jirovecii
Chapter 57. 항진균제와 항진균제 감수성검사
SECTION V. 기생충학
Chapter 58. 기생충 총론
Chapter 59. 국내에서 중요한 주요 선충류 감염증
Chapter 60. 국내에서 중요한 주요 흡충류 감염증
Chapter 61. 국내에서 중요한 주요 조충류 감염증
Chapter 62. 국내에서 중요한 주요 원충류 감염증
Chapter 63. 주요 의용절지동물류
Chapter 64. 국제보건에서 중요한 주요 기생충 감염증
SECTION VI. 의료관련감염관리
Chapter 65. 정상균무리와 인체감염
Chapter 66. 의료관련감염관리
Chapter 67. 유행감시, 조사 및 대응
Chapter 68. 감시배양
Chapter 69. 역학적 균주 형별분석
Chapter 70. 소독과 멸균
Chapter 71. 환경관리
Chapter 72. 생물안전
Chapter 73. 고위험병원체 관리
SECTION VII. 부록
Chapter 74. 임상미생물학 실습
Chapter 75. 유행조사 사례
Chapter 76. 중요한 약어 및 용어풀이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교과서는 국내 감염병 역학 자료와 임상미생물검사실 현장의 데이터 및 시각 자료를 모아서 만들었고 학회 창립 후 국내 임상미생물학의 역사와 최신 경향까지 모두 집대성하여 널리 사용할 만한 교과서가 되었다. 특히 의학과, 간호학과, 임상병리학과 등 임상미생물학의 개념부터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을 위해 미생물과 감염병 전반을 균형 있게 다루고자 했고, 임상 및 역학적 의미와 이를 검사실적 진단과 연결 지어 이해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후반부에 임상미생물학과 감염유행조사 실습, 까다로운 용어집 등 부록을 학습자료로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시각자료가 풍부한 특성을 살려서 ebook으로도 제작하여 교수와 학생들의 수업자료로서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임상미생물검사를 담당하는 임상병리사, 진단검사의학 전공의들이 수련을 받는 데 기본 필수서적으로도 부족함이 없도록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의 틀을 따라 총론, 세균학, 바이러스학, 진균학, 기생충학으로 섹션화했고, 감염관리 섹션을 추가하여 감염관리에서 최근 임상미생물학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경향을 반영하였다. 각 섹션에서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구성된 집필진들이 최신 경향을 반영한 검사법과 판독 및 해석을 검사실 현장의 자료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지역화와 국제화를 동시에 추구한 교과서라고 자부할 수 있다.
대한임상미생물학회 회장 이위교
이사장 김미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