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91171980369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4-10-23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수행방법 8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1
1. 문화정책 관련 주요 선행연구 11
2. 선행연구와 본 연구 비교 13
제2장 지역학 및 인문정신문화 정책 동향 분석 15
제1절 지역학의 특성과 동향 17
1. 지역학의 개념과 대상 17
2. 지역학의 특성 및 지역문제 인식 19
3. 정책적 측면의 지역학 동향 22
제2절 인문정신문화 정책 동향 36
1. 정책 추진 배경과 제도화 36
2. 기본계획 및 정책사업의 주요 내용 42
3. 유관 부처 정책 동향 52
제3절 지역학 관련 인문정신문화 사업 사례 58
1. 국학 진흥 정책기반 조성사업 사례 58
2. 지역 관련 인문프로그램 운영 사례 65
제4절 소결 72
제3장 인문정신문화 사업에 관한 인식 및 의견 분석 79
제1절 언론보도 및 일반 국민 인식 분석 81
1. 분석 개요 81
2. 언론보도 분석 86
3. 일반 국민 인식 분석 96
4. 인문프로그램 체험자 인식 분석 107
제2절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 분석 114
1. 조사 개요 114
2. 지역학에 관한 인식 115
3. 인문정신문화 사업에 관한 인식 123
4. 지역학과 연계한 사업 발전방안 제안 127
제3절 소결 132
제4장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137
제1절 조사 문항 설계 139
1. 시사점 종합 분석 139
2. 조사 내용 및 문항 선정 142
제2절 조사 결과 분석 143
1. 조사 개요 143
2. 인문정신문화 정책에 대한 인식 144
3. 도출된 정책방향의 관련성ㆍ적합성 평가 154
4. 정책방안별 중요성ㆍ시급성 평가 156
5. 정책 방향ㆍ방안에 대한 자유 의견 182
제3절 소결 185
제5장 인문정신문화 사업 발전방안 제안 187
제1절 정책 방향 및 방안 선정 189
1. 지역학과 연계한 ‘사업 발전’의 개념 189
2. 정책 방향과 방안의 조정 및 선정 190
제2절 지역과 삶의 의미 제고를 위한 연계 193
1. 필요성 및 의의 193
2. 문화여가 활동과 지역 인문프로그램 연계 강화 194
3. 지역의 사회문제 해소를 위한 인문 활동 활성화 199
4. 지역교육과정에 지역학 연계 인문프로그램 운영 202
제3절 지역 인문정신문화 발굴ㆍ공유를 위한 연계 204
1. 필요성 및 의의 204
2. 지역 인문정신문화 자료 발굴ㆍ수집ㆍ보전 지속 및 체계화 205
3. 인문프로그램 운영자 대상의 지역 이해 교육 운영 209
4. 생활인구 대상의 지역 이해 및 인문체험 프로그램 운영 212
5. 지역학 연계를 위한 인문협력체계 구축 215
제4절 지역 정체성 및 자긍심 제고를 위한 연계 221
1. 필요성 및 의의 221
2. 지역학 성과를 활용한 지역 인문콘텐츠 개발 222
3. 지역 인문정신문화 기반의 지역학 진흥 224
제6장 결론 229
제1절 연구 결과 231
제2절 정책 제언 235
참고문헌 / 239
ABSTRACT / 243
부록 / 245
부록1. 지역학 진흥 조례 현황 / 247
부록2. 설문조사 양식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