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술/음료/차 > 술
· ISBN : 979117263642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5-11-10
책 소개
와인의 기초 상식을 다루는 책과는 다르다. 이 책은 와인의 종주국 프랑스 내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부르고뉴’에만 오롯이 집중한다. 유명한 샤블리와 꼬뜨 도르는 물론, 그동안 와인 서적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꼬뜨 샬로네즈, 마꼬네, 그리고 그곳의 모든 마을 단위까지 살핀다. 게다가 국내에서 출간된 와인 전문도서로는 최초로, QR 영상을 통해 저자들이 직접 촬영한 부르고뉴 명품 포도밭 풍경을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다. 여러모로 이 책이 특별한 이유이다.
덧붙이자면, 저자들의 본업은 와인이 아니다. 그렇지만 이들의 와인을 향한 애정과 관심은 매우 각별하다. 책을 쓰는 내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시선을 유지하려 애썼다. 무릇 와인 여정의 종착역은 부르고뉴라 한다. 이 책이 그 마지막 여정의 충직한 안내자 역할을 함께해 줄 것이다.
‘부르고뉴를 알면, 와인이 보인다’
이 책은 와인을 사랑하는 이들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마지막 관문, 부르고뉴 와인을 가장 체계적이고도 입체적으로 풀어낸 결과물이다.
와인 교양서답게 역사, 지리, 기후, 품종 등 기본기를 짚는 것은 물론, 부르고뉴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떼루아’와 ‘끌리마’ 개념을 깊이 있게 해설하며, 프랑스 와인 규정 체계와 AOC 분류도 상세히 소개한다. 나아가 샤블리부터 마꼬네까지, 부르고뉴 와인 협회가 구분하는 5개 주요 지역의 모든 마을 단위 AOC를 빠짐없이 다뤘고, 각 장에는 실제 와인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례들을 흥미롭게 풀어낸 미니토픽을 배치해 읽는 재미도 더했다.
이 책의 가장 특별한 점은, QR 영상을 통해 독자 스스로가 현지 포도밭과 마을을 눈으로 보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저자들이 직접 부르고뉴 현지에서 촬영한 영상은 단순한 시청각 자료를 넘어, 책의 설명을 실감형 체험으로 확장시킨다. 와인 전문서로는 국내 최초의 시도다.
또한 책 말미에는 부르고뉴 와인 페어링 가이드, 한식과의 매칭, 보관법과 시음법, 와인 축제와 박물관 정보까지 풍부하게 담겨있어, 독자들이 와인을 ‘공부’하는 데서 멈추지 않고, 실제로 ‘즐기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부르고뉴를 어려워했던 독자에겐 든든한 나침반이, 부르고뉴를 사랑하는 이들에겐 넓은 지도 한 장이 되어줄 책이다. 이 책 한 권이면, 부르고뉴 와인의 전체 지형이 그려진다.
목차
책의 구성과 일러두기
시작하는 이야기: 부르고뉴 와인 이해하기
제1장 부르고뉴(Bourgogne) 와인의 개요
1. 부르고뉴 와인 산지
2. 부르고뉴 와인의 역사
3. 부르고뉴 와인 산업의 주체
제2장 부르고뉴 떼루아와 끌리마
1. 부르고뉴와 떼루아
2. 끌리마의 의미
3. 토양과 기후: 떼루아의 본질
4. 주요 포도 품종
미니토픽 1: 포도밭 속 작은 이야기 - 끌로, 끌리마, 리외디, 그리고 떼루아
제3장 부르고뉴 와인의 품질 기준과 AOC
1. 프랑스 와인의 품질 등급
2. AOC 생산 조건과 규정
3. 부르고뉴 AOC 등급 분류
4. 부르고뉴 와인 라벨
미니토픽 2: 부르고뉴 AOC 위반 사례 ? 규범을 위반한 오래된 관행
제4장 샤블리와 그랑 오세루아
1. 샤블리(Chablis)
2. 샤블리 주변의 주요 빌라주 AOC
미니토픽 3: 부르고뉴 와인 생산자의 상속법 문제 ? 상속과 분할, 그리고 도멘의 해체
제5장 꼬뜨 드 뉘
1. 마르사네(Marsannay)
2. 픽생(Fixin)
3. 주브레-샹베르탱(Gevrey-Chambertin)
4. 모레-쌩-드니(Morey-Saint-Denis)
5. 샹볼-뮈지니(Chambolle-Musigny)
6. 부조(Vougeot) 마을과 끌로 드 부조(Clos de Vougeot)
7. 본-로마네(Vosne-Romanee)
8. 뉘-쌩-조르주(Nuits-Saint-Georges)
미니토픽 4: 포도 줄기, 포함할 것인가 vs. 제거할 것인가?!
제6장 꼬뜨 드 본
1. 뻬르낭-베르즐레스(Pernand-Vergelesses)
2. 라두아(Ladoix)
3. 알록스 꼬르통(Aloxe-Corton)
4. 사비니-레-본(Savigny-les-Beaune), 쇼레-레-본(Chorey-les-Beaune)
5. 본(Beaune)
6. 뽀마르(Pommard)
7. 볼네(Volnay)
8. 쌩-로맹(Saint-Romain), 몽뗄리(Monthelie), 오세-뒤레스(Auxey-Duresses)
9. 뫼르소(Meursault)
10. 블라니(Blagny)
11. 쌩-토뱅(Saint-Aubin)
12. 쀨리니 몽라셰(Puligny-Montrachet)
13. 샤사뉴 몽라셰(Chassagne-Montrachet)
14. 상트네(Santenay), 마랑주(Maranges)
미니토픽 5: 오가닉, 비오디나믹, 내추럴 와인의 차이 ? 땅과 와인 사이의 철학
제7장 꼬뜨 샬로네즈
제8장 마꼬네
1. 레지오날 등급의 마꼬네 와인: 마꽁, 마꽁-빌라주
2. 빌라주(Villages) 등급의 마꼬네 마을들
제9장 부르고뉴 지방 명칭 와인(Regional AOC)
1. 부르고뉴 AOC 와인(Bourgogne)
2. 부르고뉴 알리고떼 와인(Bourgogne Aligote)
3. 크레망 드 부르고뉴 와인(Cremant de Bourgogne)
4. 부르고뉴 무쒜 와인(Bourgogne Mousseux)
5. 꼬또 부르기뇽 와인(Coteaux Bourguignons)
6. 부르고뉴 빠스-뚜-그랭 와인(Bourgogne Passe-Tout-Grains)
7. 부르고뉴 지방 명칭(Regional AOC)의 보완적 지리명칭(DGC: Denomination Geographique Complementaire) 와인
미니토픽 6: 부르고뉴 피노 누아의 대안
제10장 부르고뉴 와인 즐기기
1. 부르고뉴 와인 구매와 보관
2. 와인 시음: 시각, 후각, 미각의 활용
3. 부르고뉴 와인과 음식의 조화
미니토픽 7: 한식에 부르고뉴 와인 페어링(pairing)
제11장 부르고뉴 와인의 성공 요인과 미래
1. 부르고뉴 와인 축제와 행사
2. 부르고뉴 와인 꽁프레리(Confrerie)
3. 부르고뉴 와인 학교(Ecole des Vins de Bourgogne)
4. 부르고뉴 와인 및 끌리마 박물관(La Cite des Climats et vins de Bourgogne)
미니토픽 8: 와인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Index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