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AI와 영어 교육](/img_thumb2/979117307263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2635
· 쪽수 : 101쪽
· 출판일 : 2024-12-23
책 소개
목차
인공지능 영어 교육으로의 대전환
01 AI 시대, 영어 교육의 필요성
02 영어 유치원 열풍과 영어 격차
03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따라잡기
04 AI 혁신과 새로운 대학 수능 영어 평가
05 자동 언어 평가: AI를 통한 영어 평가와 피드백의 진화
06 AI 융합 시대의 글로벌 영어 교육 트렌드
07 AI 시대, 영어 교사의 디지털 역량
08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기 영어 학습 앱 분석
09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효과적인 영어 학습법
10 AI로 그리는 하이터치 하이테크 영어 교육
저자소개
책속에서
두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인지적 부담감 증가와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모국어 외에 다른 언어를 함으로써 얻는 장점은 상당하며, 이는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앞으로 AI 도구의 발전으로 번역과 의사소통이 점점 더 자동화되겠지만, 외국어 학습은 여전히 중요한 학습 과정으로 남을 것이다. 왜냐하면 AI 도구가 편리함을 제공하더라도, 외국어 학습을 통해 얻는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은 대체될 수 없기 때문이다.
-01_“AI 시대, 영어 교육의 필요성” 중에서
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우려는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기술적 의존으로 인한 자율성 저하다. AI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약화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격차 문제로, 경제적 여건이나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일부 학생들은 AI 학습 도구에 접근하지 못해 교육 격차가 심화할 수 있다. 이미 사회 경제적 격차로 생긴 영어 격차(English Divide)도 문제인데, AI 격차(AI Divide)까지도 더해질 수 있다. 셋째, 인간적 상호작용 부족이다. AI 중심의 학습은 교사와 학생 간, 학생들 간의 소통이 줄어들어 영어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넷째, 창의성 제한으로, AI가 정형화된 피드백을 제공하여 창의적 사고를 충분히 자극하지 못할 수 있다.
-03_“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따라잡기” 중에서
한국에서 세인트존스대학의 GB 모델의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2019년 인천대가 GB 기반 토의 세미나를 도입하면서 한국형 GB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인천대는 그레이트북스센터를 설치하고,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며, 이를 통해 지역 사회 교육에도 기여하고 있다.
-06_“AI 융합 시대의 글로벌 영어 교육 트렌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