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요좌기행, 망국 선비의 만주·시베리아 견문록

[큰글자책] 요좌기행, 망국 선비의 만주·시베리아 견문록

장석영 (지은이), 한길로 (옮긴이)
지만지한국문학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0% 0원
450원
44,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요좌기행, 망국 선비의 만주·시베리아 견문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요좌기행, 망국 선비의 만주·시베리아 견문록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73073243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24-11-08

책 소개

장석영의 시각에 포착된 당대 만주와 러시아 사회의 모습을 잘 담고 있는 동시에 식민지라는 야만의 시대를 살아가야 했던 구지식인들의 복잡한 내면이 잘 드러난 기행문이다.

목차

옮긴이 서문

1912년 정월 19일 임오
1월 20일
1월 21일
1월 22일
1월 23일
1월 25일
1월 29일
1월 30일
2월 1일
2월 2일
2월 3일
2월 4일
2월 5일
2월 6일
2월 7일
2월 11일
2월 12일
2월 13일
2월 14일
2월 15일
2월 16일
2월 17일
2월 27일
2월 29일
3월 1일
4월 1일
4월 14일
4월 18일
4월 22일
4월 23일
4월 24일
4월 25일
4월 27일

재상중화원대통서
재차 중화에 편지 보내고 느낀 바를 읊다
서요좌기행후

원문
참고자료 : 장석영의 기행 여정 총람

해설
참고문헌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장석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회당 장석영은 경북 칠곡 출신으로 자는 순화(舜華), 호는 추관(秋觀)·회당(晦堂)이며 지영(之榮)·석교(碩敎)라고도 불렸다.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조선 중기의 거유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9대손으로 부친은 동부승지·병조참의 등을 지낸 장시표(張時杓, 1819∼1894)다. 퇴계의 성리학풍을 계승한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문하에 들어가 곽종석(郭鍾錫)·이승희(李承熙)등과 더불어 한주학(寒洲學)을 계승하고 전적들을 정리하는 데 노력했다. 특히 한주학이 이단으로 배척받자 이를 공박하며 한주학이 퇴계학을 계승하고 있음을 천명했다. 소위 근대전환기라는 미증유의 시대적 혼란 속에서 장석영의 행적은 대단히 일관적이었다. 1905년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그는 이승희·곽종석 등과 함께 이 조약의 파기와 을사오적의 처형을 강청(强請)하는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를 올렸다. 또 1907년 칠곡 지역의 국채보상회 회장으로 추대되어 이 운동을 조력했다. 1910년 강제병합 후 그는 일제의 소위 ‘은사금’이라는 회유 공작을 단호히 배척했고, 이후 고인이 되어 버린 스승 이진상의 문집 《한주집》과 지기(知己) 이승희의 문집 《대계집(大溪集)》의 교정과 출판에 힘쓰면서도 저술 및 강학 활동을 지속했다. 1919년 3·1운동 직후, 그는 지역 유림인 곽종석·김창숙(金昌淑, 1879∼1962) 등과 협력해 파리만국회의에 보낼 독립청원서 초안을 작성했고 4월 2일 성주 장날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해 구금되었다. 동년 5월 독립청원서 작성과 항일 운동을 이유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고, 10월에 석방되었는데 이때 옥중 항일투쟁 실록인 〈흑산록(黑山錄)〉을 남겼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전적들을 집성하고 집필 및 강학을 이어갔다. 1926년 76세의 나이로 예학 주석서인 《사례태기(四禮汰記)》를 완성했고 이듬해 6월 종명했다. 1977년 건국공로 대통령 표창, 1980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사상과 방법론이 유교적 보수성에 기초하고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고 그 한계도 인정된다. 다만, 그의 ‘보수성’은 그 배경 및 의의와 더불어 언급될 때 보다 선명해진다. 그는 소위 ‘개명(開明)’이라는 이유로, 수 세기에 걸쳐진 지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일시에 부정하고 단절하는 것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여겼다. 이른바 ‘근대’의 숨겨진 이면에 주목했고 ‘전근대’라는 논리를 통한 자기부정을 용인하지 않았던 것이다. 오히려 그는 이것을 중요한 한국 전통으로 여기고 이를 계승해 후세에 전수해야 하는 것 역시 당대 유림에게 부여된 시대적·역사적 사명으로 인지했다. 또한 그의 보수성은, 소위 진보와 문명을 내세워 일제에 대한 훼절을 합리화하고 나아가 민족의 독립을 요원하게 만드는 일체의 타협을 배격하는 것이었다. 결국 일본 제국주의를 향한 그의 비타협적 태도는 이 시기 전통지식인의 일관된 유교적 저항의 전형이자 선비 정신의 표본을 보여 준다 하겠다. 다시 말하면, 그는 상황의 변화와 무관하게 자신의 평소 신념을 묵묵히 실천하며 유자로서의 소명을 다하는 동시에, 노구의 몸에도 개의치 않고 조국의 독립에 일조하려 했던 당대 유교 지성의 본질을 행동으로 보여 준 것이다.
펼치기
한길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대학 시절 철학을 전공했고 대학원 진학 후, 한문학을 전공해 〈1910~20년대 재중(在中) 지식인의 한문학 연구〉(2020)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일강제병합 100년 한일청년학생포럼 한국위원회 실무책임,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 해외구술자료사업 〈두 개의 ‘이름’을 통해 보는 ‘재일조선인’의 역사〉 연구책임자, 중국인민대학교 방문학자, 동국대학 강사 등을 지냈다. 현재 길림대학 한국(조선)어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한인문학회 편집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청구야담》을 번역(공역)했고 〈한계 이승희의 한시에 나타난 도해 전후 시정의 전개〉, 〈장석영의 러시아 체험을 통해 본 근대기 중화사상의 일면〉, 〈1910년대 지방 유림의 중국 이주 과정과 귀향의 동인 고찰〉, 〈1910년대 중국 심양 이주 한인의 삶과 문학〉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길림성 성도(省都) 장춘에 위치한 대학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강의하며 근대 한문학, 근대 중국 기행문, 이산문학 등에 관심을 경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평양의 북쪽, 압록강의 동쪽에 서간도(西間島)라 이르는 곳이 있는데 땅이 수천 리에 달한다. 바로 우리 단군의 옛 강토였는데 오래 전 군(郡)이 폐해져 만주 사람들이 점거하고 있다. 수십 년 사이 한국 사람들이 가혹한 정치에 고통받자 이곳으로 유랑한 자가 매우 많았고, 나라가 망한 이후에는 뜻이 있는 선비들이 멀리서 왔다가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 한다. 세상에 전하기로, ‘산천이 깊고 토지가 비옥해 머물 만하다’고 한다. 임자년(1912) 봄, 우리는 세상을 피해 제법 일 없이 지내고 있었다. 이에 참봉 서덕일(徐德一)·삼척(三陟) 하은거(河殷巨)·홍와(弘窩) 이대형(李大衡)·김해(金海) 감영팔(甘英八)·이의중(李義仲) 군과 그 땅을 돌아보고 머물 만한 곳을 복지(卜地)하기로 약조했다. 이렇게 함께 요양(遼陽)을 역람(歷覽)하게 되었다.

- 《요좌기행》의 첫머리


1시경 다시 표를 사서 차에 오르니 사람이 매우 많았다. 드디어 기차가 출발했는데, 안동으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동쪽으로 가다가 서쪽 방향으로 곧장 향하며 왔던 길을 다시 찾아 마치 돌개바람처럼 내달렸다. 갈수록 의심이 들고 걱정됐지만 또한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이윽고 대석교에 도착해 열차가 또 정차하자 차 속의 사람들이 편편(翩翩)히 하차하는데 빈 차에 나만 홀로 앉아 있을 수 없어 사람들을 따라 차에서 내렸다. 차에서 내려 보니 사람들은 모두 흩어져 갔지만, 나는 따라 나갈 곳이 없어 방황하며 머뭇머뭇하니 마치 돌아갈 곳 없는 궁인(窮人) 같았다.

- 《요좌기행》 4월 25일자 일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